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고⋅당 전쟁문학 「설인귀전」과 설인귀 전설의 내용적 상관관계에 관한 비교 고찰

      한글로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에서는 국립도서관본 계열 「설인귀전」과 설인귀 전설에 나타난 모티프 상의 유사성과 그 내용적 상관관계에 관해 중점적으로 고찰을 시도해보았다.
      첫째, 파주 일대에서 전승되는 설인귀 전설은 설인귀라는 하나의 자아가 현실 세계와의 사이에서 겪는 갈등의 본질을 이 대식 화소를 통해 상징적으로 형상화하고 있다는 점에서 국립도서관본 계열 「설인귀전」과 동일한 양상을 보여준다. 대식 화소의 공유와 미의식적 유사성은 국립도서관본 계열 「설인귀전」의 성립 및 형성 과정에 설인귀 전설이 미친 영향을, 즉 둘사이의 교섭양상의 맥을 짚어볼 수 있게 한다.
      둘째, 국립도서관본 계열 「설인귀전」의 외삼촌 박대담은 거의 유사한 형태 그대로 설인귀 전설 속에서 등장하며, 서사구조 내부의 기능도 동일하다. 외삼촌 박대담은 설인귀 전설의 향유층이 특별히 흥미를 가지고 향유한 모티프로, 국립도서관본 계열 「설인귀전」의 외삼촌 박대담이 이 설인귀 전설의 그것과 상관관계를 맺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게 된다.
      셋째, 소를 위협하는 짐승을 퇴치하고 농경을 원활하게 만드는 설인귀의 무용은 무속신앙의 관습에서 봤을 때 풍요를 기원하는 농경제의의 한 장면을 연상시키는 측면이 있는 것으로, 파주 일대에서 전승되고 있는 설인귀 풍속신앙 전설의 제향 구조와 거의 유사한 형태를 보여주고 있다. 국립도서관본 계열 「설인귀전」의 병기 획득 모티프가 소 몰아 밭 갈기와 큰 짐승퇴치하기 화소와 전후의 맥락 속에서 인과성을 가지고 연결되어 있다는 것은 「설인귀전」의 이 계열본 형성 과정에 있어서 설인귀 전설이 중요한 한 원천으로 작용했음을 알 수 있다.
      넷째, 「설인귀정동」 42회본에는 용마 획득 장면이 등장하지 않는데다, 특별한 서사적인 의미를 차지하지 않지만, 국립도서관본 계열 「설인귀전」과 설인귀 전설에서는 이 모티프가 영웅적인 장수란 모름지기 용마를 얻어서 타고 다녀야 한다는 관념은 한국의 전통적인 아기장수 전설에 나오는 용마 모티프와 관련되어 중요한 서사적인 의미를 차지하고 있다.
      국립도서관본 계열 「설인귀전」의 형성과정에서 아기장수 전설의 미의식을 흡수한 설인귀 전설의 용마 획득 모티프가 중요한 역할을 했음을 확인할 수 있다.
      번역하기

      본 연구에서는 국립도서관본 계열 「설인귀전」과 설인귀 전설에 나타난 모티프 상의 유사성과 그 내용적 상관관계에 관해 중점적으로 고찰을 시도해보았다. 첫째, 파주 일대에서 전승되...

      본 연구에서는 국립도서관본 계열 「설인귀전」과 설인귀 전설에 나타난 모티프 상의 유사성과 그 내용적 상관관계에 관해 중점적으로 고찰을 시도해보았다.
      첫째, 파주 일대에서 전승되는 설인귀 전설은 설인귀라는 하나의 자아가 현실 세계와의 사이에서 겪는 갈등의 본질을 이 대식 화소를 통해 상징적으로 형상화하고 있다는 점에서 국립도서관본 계열 「설인귀전」과 동일한 양상을 보여준다. 대식 화소의 공유와 미의식적 유사성은 국립도서관본 계열 「설인귀전」의 성립 및 형성 과정에 설인귀 전설이 미친 영향을, 즉 둘사이의 교섭양상의 맥을 짚어볼 수 있게 한다.
      둘째, 국립도서관본 계열 「설인귀전」의 외삼촌 박대담은 거의 유사한 형태 그대로 설인귀 전설 속에서 등장하며, 서사구조 내부의 기능도 동일하다. 외삼촌 박대담은 설인귀 전설의 향유층이 특별히 흥미를 가지고 향유한 모티프로, 국립도서관본 계열 「설인귀전」의 외삼촌 박대담이 이 설인귀 전설의 그것과 상관관계를 맺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게 된다.
      셋째, 소를 위협하는 짐승을 퇴치하고 농경을 원활하게 만드는 설인귀의 무용은 무속신앙의 관습에서 봤을 때 풍요를 기원하는 농경제의의 한 장면을 연상시키는 측면이 있는 것으로, 파주 일대에서 전승되고 있는 설인귀 풍속신앙 전설의 제향 구조와 거의 유사한 형태를 보여주고 있다. 국립도서관본 계열 「설인귀전」의 병기 획득 모티프가 소 몰아 밭 갈기와 큰 짐승퇴치하기 화소와 전후의 맥락 속에서 인과성을 가지고 연결되어 있다는 것은 「설인귀전」의 이 계열본 형성 과정에 있어서 설인귀 전설이 중요한 한 원천으로 작용했음을 알 수 있다.
      넷째, 「설인귀정동」 42회본에는 용마 획득 장면이 등장하지 않는데다, 특별한 서사적인 의미를 차지하지 않지만, 국립도서관본 계열 「설인귀전」과 설인귀 전설에서는 이 모티프가 영웅적인 장수란 모름지기 용마를 얻어서 타고 다녀야 한다는 관념은 한국의 전통적인 아기장수 전설에 나오는 용마 모티프와 관련되어 중요한 서사적인 의미를 차지하고 있다.
      국립도서관본 계열 「설인귀전」의 형성과정에서 아기장수 전설의 미의식을 흡수한 설인귀 전설의 용마 획득 모티프가 중요한 역할을 했음을 확인할 수 있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paper studied on the sameness of motive and distinctions of contents that appears equally in between the series of「Seol-in-gui-chon」 that make 「Seol-in-gui-chon」 as the representatives being in national library of Korea and the Seolingui legend. The motives, that appears equally in between the series of 「Seol-in-gui-chon」 that make 「Seol-in-gui-chon」 as the representatives being in national library of Korea and the Seolingui legend, is arranged as three aspects.
      The first is big-eating motive The second is the ill-treatment motive of maternal uncle The third is the arms-getting motive and the swift horse-getting notive.
      번역하기

      This paper studied on the sameness of motive and distinctions of contents that appears equally in between the series of「Seol-in-gui-chon」 that make 「Seol-in-gui-chon」 as the representatives being in national library of Korea and the Seolingui ...

      This paper studied on the sameness of motive and distinctions of contents that appears equally in between the series of「Seol-in-gui-chon」 that make 「Seol-in-gui-chon」 as the representatives being in national library of Korea and the Seolingui legend. The motives, that appears equally in between the series of 「Seol-in-gui-chon」 that make 「Seol-in-gui-chon」 as the representatives being in national library of Korea and the Seolingui legend, is arranged as three aspects.
      The first is big-eating motive The second is the ill-treatment motive of maternal uncle The third is the arms-getting motive and the swift horse-getting notive.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논문 요약>
      • Ⅰ. 들어가는 말
      • Ⅱ. 대식 모티프
      • Ⅲ. 외삼촌의 박대 모티프
      • Ⅳ. 병기 획득 모티프
      • <논문 요약>
      • Ⅰ. 들어가는 말
      • Ⅱ. 대식 모티프
      • Ⅲ. 외삼촌의 박대 모티프
      • Ⅳ. 병기 획득 모티프
      • Ⅴ. 용마 획득 모티프
      • Ⅵ. 나오는 말
      • <참고 문헌>
      • Abstract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