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적 본 연구의 목적은 대학교 인문사회계열 신입생들의 고등학교 수학 과목의 학업성취를 분석하는 데 있다. 방법 이를 위해 고등학교 수학과 교육과정의 성취기준에 맞추어 19문항으로 ...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https://www.riss.kr/link?id=A109505294
2025
-
373
KCI등재
학술저널
345-354(10쪽)
0
상세조회0
다운로드국문 초록 (Abstract)
목적 본 연구의 목적은 대학교 인문사회계열 신입생들의 고등학교 수학 과목의 학업성취를 분석하는 데 있다. 방법 이를 위해 고등학교 수학과 교육과정의 성취기준에 맞추어 19문항으로 ...
목적 본 연구의 목적은 대학교 인문사회계열 신입생들의 고등학교 수학 과목의 학업성취를 분석하는 데 있다.
방법 이를 위해 고등학교 수학과 교육과정의 성취기준에 맞추어 19문항으로 이루어진 검사지를 이용하여 S대학교 신입생의 수학과 학업성취를 검사하였다. 인문사회계열 신입생의 고등학교 수학과 학업성취를 알아보기 위해 고전검사이론의 난이도를 사용하였으며, 출신 고등학교의 유형 및 과목에 따른 학업성취는 비모수검정인 Kruskal-Wallis 검정과 Mann-Whitney 검정을 이용하였다.
결과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인문사회계열 신입생의 고등학교 수학과 학업성취는 낮은 편이다. 19문항에 대한 평균 정답률은 39.35%에 불과하였으며, 13문항은 교육과정 평가기준에서 제시한 수준보다 어려운 문제로 분석되었다. 둘째, 일반계고등학교를 졸업한 신입생의 학업성취가 특성화고등학교와 해외고등학교를 졸업한 신입생보다 높게 나타났다. 셋째, 수학 과목의 학업성취가 수학Ⅰ과 수학Ⅱ보다 높게 나타났다.
결론 결과로부터 도출한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인문사회계열을 신입생들의 수학과 학업성취는 낮은 편이었다. 둘째, 인문계고등학교를 졸업한 신입생에 비해 특성화고등학교 또는 해외고등학교를 졸업한 신입생의 학업성취가 낮게 나타났다. 셋째, 수학 과목에 비해 수학Ⅰ과 수학Ⅱ의 학업성취가 낮게 나타났다. 따라서 대학교에서는 인문사회계열 대학생이 전공 교과목을 학습하는 데 필요한 수학 내용 지식을 분석하고 그 지식을 이해할 수 있도록 학생 맞춤형 교수학습 프로그램을 제공할 필요가 있다. 또한 교육과정의 변화 등을 고려하여 대학 신입생의 고등학교 수학 학업 성취를 지속적으로 측정하고 이를 환류하는 시스템을 구축해야 할 필요가 있다.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Objective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understanding of the high school mathematics contents of freshmen majoring in the humanities and social sciences. Methods To this end, a test consisting of 19 questions was administered to asse...
Objective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understanding of the high school mathematics contents of freshmen majoring in the humanities and social sciences.
Methods To this end, a test consisting of 19 questions was administered to assess the mathematics academic achievement of freshmen at S University, aligned with the achievement standards of the high school mathematics curriculum. To examine the mathematical academic achievement of humanities and social sciences freshmen from high school, the difficulty levels based on classical test theory were used. Academic achievement according to the type of the high school and subject was analyzed using Kruskal-Wallis test and Mann-Whitney test.
Results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 academic achievement in high school mathematics among freshmen in the humanities and social sciences is low. The average correct answer rate for the 19 questions was only 39.35%, and 13 questions were analyzed as being more difficult than the standards presented in the curriculum evaluation criteria. Second, freshmen who graduated from general high schools showed higher academic achievement than those who graduated from specialized high schools and overseas high schools. Third, academic achievement in mathematics was higher than in Mathematics I and Mathematics II.
Conclusions Universities need to analyze the mathematical content knowledge required for humanities and social sciences students to learn their major subjects and provide customized teaching and learning programs to help students understand that knowledge. Additionally, it is necessary to continuously measure the high school mathematics academic achievement of new university students in consideration of changes in the curriculum and to establish a system for feedback.
목차 (Table of Contents)
중장년 재직자가 인식한 조직문화가 직무만족에 미치는 영향: 조직특성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영재교육 프로그램이 일반학생의 과학 흥미와 과학적 태도에 미치는 영향
중학생의 부모양육태도와 스마트폰 중독에 관한 메타분석적 경로분석: 자아존중감과 자기통제력의 매개효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