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우수등재

      백제토기 반(盤)의 출현 과정과 성격 = The Developmental Process and Characteristics of Baekje Period Plates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7990041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본고에서는 백제 반(盤) 자료를 집성하고, 이를 바탕으로 속성 검토 및 형식 분류를 통해 백제 반의 변천양상을 살펴보았다. 더불어 주변 국가 자료와 비교를 통해 백제 반의 기원 및 출현 과...

      본고에서는 백제 반(盤) 자료를 집성하고, 이를 바탕으로 속성 검토 및 형식 분류를 통해 백제 반의 변천양상을 살펴보았다. 더불어 주변 국가 자료와 비교를 통해 백제 반의 기원 및 출현 과정을 파악하고, 출토맥락을통해 백제 사회 내에서 반의 성격을 파악해 보았다. 먼저 백제 반의 속성 분석을 통해 태토, 굽 유무, 심도가 시간적 특성을 보이는 속성임을 파악하고 이를조합하여 6개의 형식으로 분류하였다. 그리고 선후관계를 파악할 수 있는 자료를 검토하여 4단계를 설정하였다.Ⅰ단계는 반이 등장하는 단계로 무굽(원저·평저)의 조질 및 중질의 태토로 제작된 심도Ⅰ형의 반 가1 형식만 확인된다. Ⅱ단계는 가1 형식이 이어지면서 새로운 유굽(B형식)의 반과 심도 Ⅱ형의 가2와 나1 형식이등장한다. Ⅲ단계에는 가1 형식은 점차 소멸되고, 가2·나1 형식이 이어지면서 새로운 가3 형식이 등장한다. 가3 형식은 기존과 달리 정질의 태토를 사용하여 제작된 반이다. Ⅳ단계는 기존의 형식이 이어지면서 가4, 나2 형식이 새롭게 등장한다. 가4, 나2 형식의 태토는 매우 정선되었으며 물레성형을 통해 제작되었고, 심도가낮아진다. 이를 바탕으로 백제 반의 등장과 성격을 살펴본 결과 반은 백제 한성기부터 등장하였으며, 고구려 토기제작의 기술적인 면과 중국 문화에 일부 영향을 받았음을 알 수 있었다. 또한 백제 내에서 반은 일상생활 용기로서 보편적인 사용이 이루어졌다고 보기는 어려웠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paper presents the results of research in which Baekje plate data were collected, its properties analyzed, and typological changes over time were identified. In addition, the origin and appearance of Baekje plates were identified through comparis...

      This paper presents the results of research in which Baekje plate data were collected, its properties analyzed, and typological changes over time were identified. In addition, the origin and appearance of Baekje plates were identified through comparisons with examples from neighboring countries, and the characteristics of plates within Baekje society were identified through an examination of the excavated context. Firstly, an analysis of the properties of plates revealed that the base clay, presence of a foot, and plate depth were the properties demonstrating temporal characteristics. Based on this, the plates were classified into six types by combining the corresponding properties. In addition, by comparing sequence when possible (for both the plates and associated artifacts), four temporal stages were established. Stage I was when the plate first appeared, and only the ‘Ga 1-type’, a footless plate (rounded-bottom and flat bottom) with a type I depth and made of fine-grained and coarsegrained base clay, was identified. In Stage II, plates of the ‘Ga 1-type’ made of coarsegrained and medium-grained base clay continued to be manufactured, as in Stage I. However, unlike Stage I, footed plates (B type) were newly identified, and plates with a type II depth (lower than the type I depth) were also manufactured. In Stage III the ‘Ga 1-type’ plate gradually disappeared, and as the ‘Ga 2-type’ and ‘Na 1-type’ plates continued to be used, a new ‘Ga 3-type’ appeared. The newly introduced ‘Ga 3-type’ at this time was a plate made using fine-grained base clay, unlike previous examples. In Stage IV, the existing ‘Ga 2-type’, ‘Ga 3-type’, and ‘Na 1-type’ continued to be used, and the new ‘Ga 4-type’ and ‘Na 2-type’ plates, which were different from the previous examples, appeared. Very carefully selected base clay was used for the ‘Ga 4-type’ and ‘Na 2-type’ plates, which were manufactured using the throwing technique, and the depth of the plates became shallower. As a result of the examinination of the appearance and characteristics of Baekje plates, it was established that plates appeared from Baekje’s Hanseong period and were partially influenced by the technical aspects of Goguryeo pottery production and Chinese culture. In addition, plates were used as ritual equipment in Baekje, and it is unlikely that they were universally used as containers in everyday life.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Ⅰ. 머리말 Ⅱ. 반의 정의와 출토 유적 현황 Ⅲ. 반의 분석과변천 양상 Ⅳ. 백제 반의 출현 과정과 성격 Ⅴ. 맺음말
      • Ⅰ. 머리말 Ⅱ. 반의 정의와 출토 유적 현황 Ⅲ. 반의 분석과변천 양상 Ⅳ. 백제 반의 출현 과정과 성격 Ⅴ. 맺음말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김낙중, "한국고고학에서 기원과 계통의 연구 —삼국시대" 한국고고학회 (102) : 274-305, 2017

      2 국립문화재연구소, "풍납토성 Ⅺ" 2009

      3 국립문화재연구소, "풍납토성 ⅩⅤ" 2013

      4 국립문화재연구소, "풍납토성 ⅩⅢ" 2012

      5 국립부여박물관, "신과의 만남, 백제의 제사"

      6 서울대학교박물관, "시루봉보루 Ⅱ" 2013

      7 金鍾萬, "사비시대 백제토기 연구" 서경문화사 2004

      8 朴淳發, "사비 도성의 공간구조: 사비도성과 정림사, 定林寺 역사문화적 가치와 연구현황" 국립문화재연구소·부여군 39-64, 2008

      9 백제고도문화재단, "부여 화지산유적: 2015~2016 2·3차 발굴조사" 2018

      10 국립부여박물관, "부여 정암리 가마터(Ⅱ)" 1992

      1 김낙중, "한국고고학에서 기원과 계통의 연구 —삼국시대" 한국고고학회 (102) : 274-305, 2017

      2 국립문화재연구소, "풍납토성 Ⅺ" 2009

      3 국립문화재연구소, "풍납토성 ⅩⅤ" 2013

      4 국립문화재연구소, "풍납토성 ⅩⅢ" 2012

      5 국립부여박물관, "신과의 만남, 백제의 제사"

      6 서울대학교박물관, "시루봉보루 Ⅱ" 2013

      7 金鍾萬, "사비시대 백제토기 연구" 서경문화사 2004

      8 朴淳發, "사비 도성의 공간구조: 사비도성과 정림사, 定林寺 역사문화적 가치와 연구현황" 국립문화재연구소·부여군 39-64, 2008

      9 백제고도문화재단, "부여 화지산유적: 2015~2016 2·3차 발굴조사" 2018

      10 국립부여박물관, "부여 정암리 가마터(Ⅱ)" 1992

      11 한국문화재재단, "부여 쌍북리 325번지 유적" 2020

      12 金鍾萬, "백제토기의 신연구" 서경문화사 2007

      13 金鍾萬, "백제토기의 생산유통과 국제성" 서경문화사 2020

      14 土田純子, "백제토기 동아시아 교차편년 연구" 서경문화사 2014

      15 李在珍, "백제사비기 흑색토기 자배기에 대한 연구" 고려대학교 대학원 2012

      16 국립문화재연구소, "백제 한성지역 유물 자료집"

      17 朴永民, "백제 사비기유적 출토 고구려계토기" 2002 : 223-238, 2002

      18 山本孝文, "백제 사비기 토기양식의 성립과 전개" 국립부여문화재연구소 129-160, 2005

      19 나인정, "백제 사비기 전달린 완의 등장과 전개" 전북대학교 대학원 2018

      20 채송이, "백제 사비기 대상파수부토기의 변천과 사용" 한국전통문화대학교 2019

      21 우진영, "백제 반(盤)의 출현 과정과 성격" 전북대학교 대학원 2021

      22 국립공주박물관, "무령왕릉을 格物하다: 무령왕릉 발굴 40주년 기념 특별전시도록" 2011

      23 공주대학교박물관, "공산성 성안마을 제8차 발굴조사: 百濟時代 王宮關聯 遺蹟Ⅴ" 2019

      24 양시은, "고구려의 한강유역 지배방식에 대한 검토" 중부고고학회 9 (9): 31-64, 2010

      25 국립문화재연구소, "고구려의 토기" 2016

      26 宋文佳, "魏晉十六國北朝陶瓷初步硏究" 吉林大學 2008

      27 朴淳發, "高句麗와 百濟 : 泗沘樣式 百濟土器의 形成 背景을 中心으로, 고구려와 동아시아 : 문물교류를 중심으로" 고려대학교박물관 14 : 33-39, 2005

      28 박선미, "高句麗遺蹟 출토 화폐 검토" 고구려발해학회 47 : 107-134, 2013

      29 국립부여박물관, "陵寺: 6~8차 발굴조사보고서" 2007

      30 류기정, "鎭川 三龍里·山水里窯 土器의 流通에 관한 硏究(下)" 16 : 2003

      31 한남대학교중앙박물관, "鎭川 三龍里·山水里 土器 窯址群" 2006

      32 "說文解字"

      33 金容周, "百濟 臺附碗 硏究" 충북대학교 대학원 2016

      34 金容民, "百濟 泗沘期土器에 대한 一考察 : 扶蘇山城 出土 土器를 중심으로" 31 : 1998

      35 土田純子, "百濟 土器의 編年 硏究 : 三足器·高杯·뚜껑을 중심으로" 忠南大學校 2003

      36 국립부여문화재연구소, "王宮里: 發掘中間報告 Ⅶ" 2010

      37 국립부여문화재연구소, "王宮里: 發掘中間報告 Ⅴ" 2006

      38 국립부여문화재연구소, "王宮里 Ⅹ" 2015

      39 朴淳發, "泗沘都城" 忠南大學校百濟硏究所·大田地方國土管理廳 2003

      40 츠치다준코, "泗 樣式土器에서 보이는 高句麗土器의 影響에 대한 검토" 한국고고학회 (72) : 118-159, 2009

      41 국립공주박물관, "武寧王陵 新報告書Ⅵ" 2021

      42 국립부여문화재연구소, "扶餘軍守里寺址 Ⅰ" 2010

      43 忠南大學校博物館, "扶餘官北里百濟遺蹟 發掘報告(Ⅱ)" 1999

      44 충청문화재연구원, "扶餘 雙北里 현내들·北浦 遺蹟" 2009

      45 백제문화재연구원, "扶餘 雙北里 602-10번지 遺蹟" 2010

      46 충남대학교박물관, "扶餘 東南里遺蹟" 2013

      47 백제문화재연구원, "扶餘 東南里百濟生活遺蹟" 2014

      48 국립부여문화재연구소, "扶餘 定林寺址" 2011

      49 국립부여문화재연구소, "扶餘 官北里百濟遺蹟 發掘報告 Ⅳ" 2009

      50 충청문화재연구원, "扶餘 佳塔里·旺蒲里·軍守里 遺蹟" 2003

      51 부여군문화재보존센터, "扶餘 佳塔里 358-2番地 遺蹟" 2010

      52 국립부여문화재연구소, "宮南池 Ⅱ: 現 宮南池 西北便一帶" 2001

      53 서울대학교박물관, "夢村土城 西南地區發掘調査報告" 1989

      54 安承周, "公山城 百濟推定王宮址 發掘調査報告書" 公州師範大學博物館·忠淸南道 1987

      55 山本孝文, "三國時代 律令의 考古學的 硏究" 서경 2006

      56 "三國史記"

      57 Andrew Middleton, "Recent developments in ceramic petrology" 81 : 211-261, 1991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3 평가예정 계속평가 신청대상 (등재유지)
      2018-01-01 평가 우수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201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4-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3-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1-07-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1.49 1.49 1.24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1.32 1.4 2.51 0.36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