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만성정신장애인을 대상으로 한 복합운동 프로그램이 기초체력, 스트레스 대처능력, 대인관계 변화에 미치는 효과성에 관한 연구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T11014311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의 목적은 만성정신장애인을 대상으로 복합운동프로그램의 효과성을 살펴보기 위하여 실시되었다. 연구의 기대효과로는 복합운동프로그램의 필요성을 제시하고, 신체적 건강증진은 물론, 스트레스 대처능력의 변화와 대인관계 기능향상으로 인하여 성공적인 사회복귀를 돕기 위함이다.
      복합운동프로그램의 대상자는 전라남도 N·H병원에서 입원치료를 받고 있는 만성정신장애인을 대상으로 실험집단 12명과 통제집단 12명 총 24명으로 구성하였다.
      연구기간은 2006년 4월 7일부터 2006년 7월 14일까지였으며, D대학교 체력증진센터에서 매주 금요일 13:30∼16:30까지 3시간동안 14주 진행하였다.
      복합운동프로그램의 효과성에 대한 검증으로 기초체력, 스트레스 대처능력, 대인관계의 변화 순으로 하였으며, 기초체력검사항목으로는 체중(kg), 체지방률(%), 악력(kg), 배근력(kg), 좌전굴곡(㎝), 사이드스텝(회/20sec), 전신반응테스트(mass), 서전트점프(㎝), 최대산소섭취량(㎖/kg/min), 폐활량(㎖)등을 측정하였고, 사회재활기술의 변화 중 스트레스대처능력과 대인관계변화를 검증하기 위해 사용한 척도는 스트레스 대처방법(PBA), 대인관계변화척도(RCS)를 사용하였다.
      동일한 척도로 복합운동프로그램 시작 전에 사전조사를 실시하였으며, 프로그램 종료 후 사후조사를 실시하여 나타난 경과를 분석의 자료로 활용하였다.
      연구결과의 분석은 두 집단간의 인구학적 동질성여부를 알아보기 위하여 X² 검증을 실시하였다. 두 집단간의 프로그램 실시 전과 후의 차를 검증하기위하여 독립표본 t-검정과 함께 각 집단내의 유의미한 차이를 알아보기 위하여 paired t-검증 실시하였으며 연구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복합운동 프로그램에 참여한 실험집단은 통제집단과 비교하여 심폐지구력과 근지구력, 유연성은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를 보인 반면, 근력, 민첩성 및 순발력에서는 유의한 차이는 보이지 않았으나 통제집단에 비해 높게 나타났다.
      둘째, 복합운동프로그램에 참여한 실험집단은 통제집단에 비해 스트레스 대처능력에서 통계적으로 유의미하게 향상된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복합운동 프로그램에 참여한 실험집단은 통제집단에 비해 대인관계에 있어서 긍정적으로 증진되었으며 통계적으로 유의미하게 향상된 것으로 나타났다.
      이를 종합해 보면, 만성정신장애인을 대상으로 한 복합운동프로그램은 기초체력과 스트레스대처능력의 향상과 더불어 대인관계에서 긍정적인 향상이 입증되었다.
      그러므로 복합운동프로그램은 만성화 과정에 있는 정신장애인에게 신체적, 정신적 및 사회·재활적 기능향상에 도움이 되어 이들의 성공적인 사회복귀에 도움이 될 것으로 사료된다.
      이러한 연구결론을 바탕으로 다음과 같이 제언을 하고자 한다.
      첫째, 대부분의 만성정신장애인들은 입원치료를 받고 있는 기간은 물론 퇴원 후 가정이나 사회에서 외부활동을 포함한 신체적 움직임이 부족한 상태이다. 따라서 복합운동프로그램을 입원중심시설에서 치료하는 만성정신장애인뿐만 아니라 주간 보호 및 정신보건시설의 환자를 대상으로 지속적이고 체계적인 적용이 필요하다.
      둘째, 만성정신장애인의 성공적 사회복귀를 위해 필수적인 복합운동프로그램이 적용되기 위해서는 국가의 제도적이고 행정적인 지원이 필요하다. 또한 정신보건관련 전문가와 행정가들이 복합운동프로그램 적용에 대한 적극적인 지원과 이해가 필요하다.
      셋째, 정신보건사회복지사가 정신사회재활프로그램을 진행·관리하고 있으나 인원 부족 및 의료보험 청구의 횟수제한으로 인해 전문적인 관리가 어려운 실정이다. 복합운동프로그램을 만성정신장애인에게 적용하기 위해서는 전문 인력양성 및 보강을 위한 적절한 교육과 훈련이 필요하다.
      넷째, 복합운동과 함께 식이요법, 행동수정프로그램을 적용시켜 이에 따른 효과성을 검증하여 만성정신장애인의 욕구에 맞는 적절한 서비스프로그램을 개발하여야 할 것이다.
      다섯째, 본 연구는 특정기관 입원환자를 대상으로 연구하였으나 향후 퇴원환자, 지역사회거주환자, 기타사회복지시설 환자를 대상으로 지속적이고 체계적인 복합운동프로그램을 적용하여 장기간 추적관찰과 프로그램 효과검증이 필요하다.
      번역하기

      본 연구의 목적은 만성정신장애인을 대상으로 복합운동프로그램의 효과성을 살펴보기 위하여 실시되었다. 연구의 기대효과로는 복합운동프로그램의 필요성을 제시하고, 신체적 건강증진...

      본 연구의 목적은 만성정신장애인을 대상으로 복합운동프로그램의 효과성을 살펴보기 위하여 실시되었다. 연구의 기대효과로는 복합운동프로그램의 필요성을 제시하고, 신체적 건강증진은 물론, 스트레스 대처능력의 변화와 대인관계 기능향상으로 인하여 성공적인 사회복귀를 돕기 위함이다.
      복합운동프로그램의 대상자는 전라남도 N·H병원에서 입원치료를 받고 있는 만성정신장애인을 대상으로 실험집단 12명과 통제집단 12명 총 24명으로 구성하였다.
      연구기간은 2006년 4월 7일부터 2006년 7월 14일까지였으며, D대학교 체력증진센터에서 매주 금요일 13:30∼16:30까지 3시간동안 14주 진행하였다.
      복합운동프로그램의 효과성에 대한 검증으로 기초체력, 스트레스 대처능력, 대인관계의 변화 순으로 하였으며, 기초체력검사항목으로는 체중(kg), 체지방률(%), 악력(kg), 배근력(kg), 좌전굴곡(㎝), 사이드스텝(회/20sec), 전신반응테스트(mass), 서전트점프(㎝), 최대산소섭취량(㎖/kg/min), 폐활량(㎖)등을 측정하였고, 사회재활기술의 변화 중 스트레스대처능력과 대인관계변화를 검증하기 위해 사용한 척도는 스트레스 대처방법(PBA), 대인관계변화척도(RCS)를 사용하였다.
      동일한 척도로 복합운동프로그램 시작 전에 사전조사를 실시하였으며, 프로그램 종료 후 사후조사를 실시하여 나타난 경과를 분석의 자료로 활용하였다.
      연구결과의 분석은 두 집단간의 인구학적 동질성여부를 알아보기 위하여 X² 검증을 실시하였다. 두 집단간의 프로그램 실시 전과 후의 차를 검증하기위하여 독립표본 t-검정과 함께 각 집단내의 유의미한 차이를 알아보기 위하여 paired t-검증 실시하였으며 연구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복합운동 프로그램에 참여한 실험집단은 통제집단과 비교하여 심폐지구력과 근지구력, 유연성은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를 보인 반면, 근력, 민첩성 및 순발력에서는 유의한 차이는 보이지 않았으나 통제집단에 비해 높게 나타났다.
      둘째, 복합운동프로그램에 참여한 실험집단은 통제집단에 비해 스트레스 대처능력에서 통계적으로 유의미하게 향상된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복합운동 프로그램에 참여한 실험집단은 통제집단에 비해 대인관계에 있어서 긍정적으로 증진되었으며 통계적으로 유의미하게 향상된 것으로 나타났다.
      이를 종합해 보면, 만성정신장애인을 대상으로 한 복합운동프로그램은 기초체력과 스트레스대처능력의 향상과 더불어 대인관계에서 긍정적인 향상이 입증되었다.
      그러므로 복합운동프로그램은 만성화 과정에 있는 정신장애인에게 신체적, 정신적 및 사회·재활적 기능향상에 도움이 되어 이들의 성공적인 사회복귀에 도움이 될 것으로 사료된다.
      이러한 연구결론을 바탕으로 다음과 같이 제언을 하고자 한다.
      첫째, 대부분의 만성정신장애인들은 입원치료를 받고 있는 기간은 물론 퇴원 후 가정이나 사회에서 외부활동을 포함한 신체적 움직임이 부족한 상태이다. 따라서 복합운동프로그램을 입원중심시설에서 치료하는 만성정신장애인뿐만 아니라 주간 보호 및 정신보건시설의 환자를 대상으로 지속적이고 체계적인 적용이 필요하다.
      둘째, 만성정신장애인의 성공적 사회복귀를 위해 필수적인 복합운동프로그램이 적용되기 위해서는 국가의 제도적이고 행정적인 지원이 필요하다. 또한 정신보건관련 전문가와 행정가들이 복합운동프로그램 적용에 대한 적극적인 지원과 이해가 필요하다.
      셋째, 정신보건사회복지사가 정신사회재활프로그램을 진행·관리하고 있으나 인원 부족 및 의료보험 청구의 횟수제한으로 인해 전문적인 관리가 어려운 실정이다. 복합운동프로그램을 만성정신장애인에게 적용하기 위해서는 전문 인력양성 및 보강을 위한 적절한 교육과 훈련이 필요하다.
      넷째, 복합운동과 함께 식이요법, 행동수정프로그램을 적용시켜 이에 따른 효과성을 검증하여 만성정신장애인의 욕구에 맞는 적절한 서비스프로그램을 개발하여야 할 것이다.
      다섯째, 본 연구는 특정기관 입원환자를 대상으로 연구하였으나 향후 퇴원환자, 지역사회거주환자, 기타사회복지시설 환자를 대상으로 지속적이고 체계적인 복합운동프로그램을 적용하여 장기간 추적관찰과 프로그램 효과검증이 필요하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experiment was conducted to figure out the effectiveness of the Complex Exercise Program upon chronic psychiatric patients. It is expected to bring up the necessity of the program, to improve their body condition, and to help them to come to the society successfully by being prescribed the remedy : how to cope with the stress and keep the relationships with people.
      The program is made up of a group of conductors, 12, and a group of 12 listed patients who are being treated for the present at the N·H Hospital in JaollaNamdo, totally numbered 24.
      The experiment was kept undergone from April, 7, 2006 to July, 14, 2006, and conducted 3 hours for 14 weeks in a row, from at 13:30 to 16:30 every Fridays at the Centre of Physical Development.
      In order to assure the effectiveness of the Complex Excercise Program, physical fitness, capability on the stress, social relationship were conducted respectively ; weight(kg), Body fat(%), Grip Strength(kg), Back muscle strength (kg), Flexion(cm), Side-step(a time / 20sec), Body reaction test(mass), Jump test (cm), Peak Vo2(ml,kg,min), FVC were done on Physical fitness. To measure the ability of coping with the stress and social relationship, of the social rehabilitation skills, PBA, RCS were conducted.
      As the same standards, after conducting the pretest, we utilized the materials analysis obtained by the post-test after the program.
      The x² was conducted to sort out the demographic homogeneous possibility between the two groups. To see the differences between the results before and after the program, the independent sample "t" as well as "paired t", which is to find out the similarity, were done, and it reads:
      First, while there were quite a few differences on cardiorespiratory endurance, muscle endurance, flexibility statistically, there were few differences on muscle strength, quickness, and reaction power ; compared with the managing group.
      Second, the conductor group was statistically bought up with quite a little improvement about the ability to cope with the stress.
      Third, the conductor group showed more positive improvement on the relationship with people than the other group did.
      So as to sum all thess up, the Complex Exercise Program test on the chronic psychiatric patients are proved positive on the relationship with people and on the ability to deal with the stress.
      Hence, this program is expected to be helpful for these patients chronically suffering from the disability to improve their physical, mental, social, and rehabilitating ability.
      I would like to make suggestions below, based on the conclusion from the experiment.
      First, most of the chronic psychiatric patients need more physical mobility while not only being at the hospital but also outside it. Thus, it is necessary the patients be treated systemically and steadily, being in the hospital.
      Second, the government should consider the systemic and financial support on this matter to make the Complex Exercise Program applied sooner rather than later. In addition, the experts to the Health Care Law and the politicians ought to look deeply how the program is vital.
      Third, the Mental Health Social workers are managing and leading the Mental Social Rehabilitation Program, yet despite the paucity of workers and of the limits of the number of Medical Insurance requests expertised management on it is out of control. The appropriate educations and disciplines, that is, are necessary to strengthen and raise the workers to apply the Complex Excercise Program to the chronic psychiatric patients.
      Fourth, verifying the effectiveness brought by adjusting the changed program, we should develop the service program which is good enough for the patients.
      In the end, we should keep it in mind that we came up with this conclusion by studying only the patients who are in a certain hospital, which means it is requested to verify and experiment the program's effectiveness for a long period by adjusting the systemic Complex Exercise Program to the various range of people.
      번역하기

      This experiment was conducted to figure out the effectiveness of the Complex Exercise Program upon chronic psychiatric patients. It is expected to bring up the necessity of the program, to improve their body condition, and to help them to come to the ...

      This experiment was conducted to figure out the effectiveness of the Complex Exercise Program upon chronic psychiatric patients. It is expected to bring up the necessity of the program, to improve their body condition, and to help them to come to the society successfully by being prescribed the remedy : how to cope with the stress and keep the relationships with people.
      The program is made up of a group of conductors, 12, and a group of 12 listed patients who are being treated for the present at the N·H Hospital in JaollaNamdo, totally numbered 24.
      The experiment was kept undergone from April, 7, 2006 to July, 14, 2006, and conducted 3 hours for 14 weeks in a row, from at 13:30 to 16:30 every Fridays at the Centre of Physical Development.
      In order to assure the effectiveness of the Complex Excercise Program, physical fitness, capability on the stress, social relationship were conducted respectively ; weight(kg), Body fat(%), Grip Strength(kg), Back muscle strength (kg), Flexion(cm), Side-step(a time / 20sec), Body reaction test(mass), Jump test (cm), Peak Vo2(ml,kg,min), FVC were done on Physical fitness. To measure the ability of coping with the stress and social relationship, of the social rehabilitation skills, PBA, RCS were conducted.
      As the same standards, after conducting the pretest, we utilized the materials analysis obtained by the post-test after the program.
      The x² was conducted to sort out the demographic homogeneous possibility between the two groups. To see the differences between the results before and after the program, the independent sample "t" as well as "paired t", which is to find out the similarity, were done, and it reads:
      First, while there were quite a few differences on cardiorespiratory endurance, muscle endurance, flexibility statistically, there were few differences on muscle strength, quickness, and reaction power ; compared with the managing group.
      Second, the conductor group was statistically bought up with quite a little improvement about the ability to cope with the stress.
      Third, the conductor group showed more positive improvement on the relationship with people than the other group did.
      So as to sum all thess up, the Complex Exercise Program test on the chronic psychiatric patients are proved positive on the relationship with people and on the ability to deal with the stress.
      Hence, this program is expected to be helpful for these patients chronically suffering from the disability to improve their physical, mental, social, and rehabilitating ability.
      I would like to make suggestions below, based on the conclusion from the experiment.
      First, most of the chronic psychiatric patients need more physical mobility while not only being at the hospital but also outside it. Thus, it is necessary the patients be treated systemically and steadily, being in the hospital.
      Second, the government should consider the systemic and financial support on this matter to make the Complex Exercise Program applied sooner rather than later. In addition, the experts to the Health Care Law and the politicians ought to look deeply how the program is vital.
      Third, the Mental Health Social workers are managing and leading the Mental Social Rehabilitation Program, yet despite the paucity of workers and of the limits of the number of Medical Insurance requests expertised management on it is out of control. The appropriate educations and disciplines, that is, are necessary to strengthen and raise the workers to apply the Complex Excercise Program to the chronic psychiatric patients.
      Fourth, verifying the effectiveness brought by adjusting the changed program, we should develop the service program which is good enough for the patients.
      In the end, we should keep it in mind that we came up with this conclusion by studying only the patients who are in a certain hospital, which means it is requested to verify and experiment the program's effectiveness for a long period by adjusting the systemic Complex Exercise Program to the various range of people.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목차 = Ⅰ
      • 표목차 = Ⅳ
      • 그림목차 = Ⅴ
      • 논문개요 = Ⅰ
      • 제1장 서론 = 1
      • 목차 = Ⅰ
      • 표목차 = Ⅳ
      • 그림목차 = Ⅴ
      • 논문개요 = Ⅰ
      • 제1장 서론 = 1
      • 제1절 문제 제기 = 1
      • 제2절 연구의 목적 = 3
      • 제3절 연구가설 = 3
      • 제4절 연구의 제한점 = 4
      • 제2장 이론적 배경 = 5
      • 제1절 정신장애와 만성정신장애의 개념 = 5
      • 2절 만성정신장애의 유형 = 8
      • 1. 정신분열증(Schizophrenia) = 8
      • 2. 정동장애(Affective disorder) = 9
      • 3. 알코올리즘 및 알코올성 정신장애 = 10
      • 제3절 복합운동에 대한 개념 = 10
      • 1. 복합운동의 개념 = 10
      • 2. 복합운동 프로그램 = 11
      • 3. 체력 = 13
      • 4. 최대 산소 섭취량 (maximal oxygen uptake : VO_(2max) = 15
      • 제4절 복합운동과 스트레스대처능력·대인관계의 상관관계 = 16
      • 1. 복합운동과 스트레스대처능력 = 16
      • 2. 복합운동과 대인관계 = 18
      • 제3장 연구방법 = 20
      • 제1절 연구 대상 및 자료수집 = 20
      • 제2절 조사도구 및 실험방법 = 22
      • 제3절 복합운동프로그램 내용 및 진행과정 = 26
      • 제4절 자료분석방법 = 32
      • 제4장 연구결과 =
      • 제1절 연구 대상자의 일반적인 특성 = 33
      • 1. 인구·사회학적 특성의 동질성 분석 = 33
      • 2. 정신장애 관련 특성의 동질성 분석 = 35
      • 제2절 결과 분석 = 37
      • 1. 기초체력에 대한 가설 검증 = 38
      • 2. 스트레스 대처능력에 대한 가설 검증 = 42
      • 3. 대인관계변화에 대한 가설 검증 = 46
      • 제3절 프로그램 전체평가기록 = 50
      • 제5장 논의 = 62
      • 1. 기초체력에 미치는 효과 = 62
      • 2. 스트레스대처능력에 미치는 효과 = 64
      • 3. 대인관계변화에 미치는 효과 = 66
      • 제6장 결론 및 제언 = 67
      • 참고문헌 = 70
      • 〈설문지〉 = 77
      • Abstract = 90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