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연구는 중학생의 스마트폰 중독과 정서적 안정성 및 대인관계만족도의 관계를 살펴보고, 스마트폰 중독과 대인관계만족도의 관계에서 정서적 안정성의 매개효과를 검증하는 것이 목적...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https://www.riss.kr/link?id=T14417306
원주 : 상지대학교 평화안보·상담심리대학원, 2017
학위논문(석사) -- 상지대학교 평화안보·상담심리대학원 , 상담심리학과 상담심리전공 , 2017. 2
2017
한국어
강원특별자치도
55 ; 26 cm
지도교수: 김완일
0
상세조회0
다운로드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는 중학생의 스마트폰 중독과 정서적 안정성 및 대인관계만족도의 관계를 살펴보고, 스마트폰 중독과 대인관계만족도의 관계에서 정서적 안정성의 매개효과를 검증하는 것이 목적...
본 연구는 중학생의 스마트폰 중독과 정서적 안정성 및 대인관계만족도의 관계를 살펴보고, 스마트폰 중독과 대인관계만족도의 관계에서 정서적 안정성의 매개효과를 검증하는 것이 목적이다. 이를 위하여 강원도 W시에 소재하는 3개 중학교 343명의 학생을 대상으로 다음과 같은 척도를 실시하였다.
스마트폰 중독을 측정하기 위해 한국정보화진흥원(2011)에서 개발한자가 진단 청소년 스마트폰 중독 척도를 사용하였으며, 대인관계만족도를 측정하기 위해 은혁기(2001)가 제작한 대인관계만족도 척도를 사용하였다. 정서적 안정성을 측정하기 위해서 한국적성연구소(1988)에서 개발한 Big 5 성격특성 척도지의 5요인 중 하나인 정서적 안정성을 추출한 것으로 사용하였다.
본 연구를 위해 수집된 자료의 기술 통계치와 단순 상관관계를 알아보기 위해 SPSS/WIN 19.0 프로그램을 사용하였다. 그리고 매개효과의 유의성 검증을 위해 Baron과 Kenny(1986)의 매개효과 검증과 Sobel test를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각 변인들의 상관관계를 살펴보면, 스마트폰 중독과 대인관계만족도는 유의한 부적상관이 나타났으며, 스마트폰 중독과 정서적 안정성도 부적상관이 나타났다. 그리고 정서적 안정성은 대인관계만족도와 유의한 정적상관이 나타났다.
둘째, 정서적 안정성이 스마트폰 중독과 대인관계만족도의 관계를 부분 매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위의 결과를 종합해보면, 먼저 스마트폰 중독 수준이 높을수록 정서적 안정성 수준은 낮아지고, 대인관계만족도 수준도 낮아짐을 알 수 있다. 그리고 정서적 안정성 수준이 높을수록 대인관계만족도 수준이 높아지는 것을 알 수 있다. 다음으로 스마트폰 중독이 대인관계만족도에 직접 영향을 줄 뿐만 아니라, 정서적 안정성을 매개로 하여 대인관계만족도에 간접적으로 영향을 미친다는 것을 의미한다. 이러한 결과는 대인관계만족도 수준이 낮아서 힘들어 하는 중학생을 상담할 때 스마트폰 중독 수준을 낮춰 줄 뿐만 아니라 정서적 안정성도 높여줄 필요가 있음을 시사한다.
주요어: 스마트폰 중독, 대인관계만족도, 정서적 안정성
목차 (Table of Conten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