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표의 모호성에 관한 국내 연구성과는 그동안 다수 축적됐음에도 불구하고, 유사 개념인 목표의 상충성에 관한 연구성과는 상대적으로 매우 미흡하다. 조직의 특정 목표가 다른 목표와 충...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국문 초록 (Abstract)
목표의 모호성에 관한 국내 연구성과는 그동안 다수 축적됐음에도 불구하고, 유사 개념인 목표의 상충성에 관한 연구성과는 상대적으로 매우 미흡하다. 조직의 특정 목표가 다른 목표와 충...
목표의 모호성에 관한 국내 연구성과는 그동안 다수 축적됐음에도 불구하고, 유사 개념인 목표의 상충성에 관한 연구성과는 상대적으로 매우 미흡하다. 조직의 특정 목표가 다른 목표와 충돌할 경우, 개인은 그 목표(전자)에 온전히 몰입하기 어렵고, 이는 조직효과성에 부정적 영향을 미친다. 이처럼 목표의 상충성 관리에 대한 필요성에 초점을 두어, 본 연구는 목표 상충성의 조직효과성에 대한 영향력을 살펴보는 가운데, 정책기능의 조절 효과를 검증하고자 하였다. 서울시 본청 및 지방자치단체 공무원들을 대상으로 수집한 설문자료를 활용하여 다중 회귀분석을 하였다. 분석 결과, 조직의 목표 상충성은 조직효과성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조절 변수와 관련하여, 규제 및 재분배기능은 조직효과성에 대한 목표 상충성의 부정적 효과를 ‘회피’하며, 분배기능은 목표 상충성의 부정적 영향을 유의미하게 ‘강화’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또한 스텝기능은 목표 상충성과 조직효과성 간의 부정적인 관계를 ‘중화’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동안 국내 행정학 연구에서 간과되어 온 맥락으로서의 정책기능을 조직효과성 연구에 접목하였다는 점에서 본 연구의 의의가 있다.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Although the field of public administration has accumulated many research results regarding goal ambiguity, little research has empirically assessed the implications of goal conflict for organizational effectiveness. This study proposes and examines m...
Although the field of public administration has accumulated many research results regarding goal ambiguity, little research has empirically assessed the implications of goal conflict for organizational effectiveness. This study proposes and examines models of organizational effectiveness that specifically account for goal conflict and the moderating effects of policy functions. This empirical research utilized quantitative data from survey questionnaires administered in city hall as well as in nine autonomous district governments in Seoul, Korea. The findings suggest that goal conflict has a negative effect on organizational effectiveness. However, policy functions can avoid, strengthen, or neutralize the negative effects of goal conflict. That is, the regulatory and redistributive functions avoid the negative effect of goal conflict on organizational effectiveness. On the other hand, the distributive function strengthens the effect. Lastly, the staff function neutralizes (or nullifies) goal conflict’s negative effect on organizational effectiveness. This study is critical because it connects policy function as context, which has been an area mostly neglected by public administration scholars, with organizational effectiveness.
집단 간 접촉, 공식적지지와 다문화 수용 태도:다층모형의 적용을 통한 개인 및 지역요인 효과 검증
여성의 경력목표설정 영향요인에 관한 연구:직급별 차이를 중심으로
경쟁심이 내재적 동기에 미치는 영향:공기업 종사자를 중심으로
정책형성에서 행정부처의 자율성과대통령의 정책추진력:상보적 관계의 가능성과 의미 탐색