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국립현대미술관의 공공성 강화를 위한 미술관교육 방향 연구 = Direction of Museum Education for Reinforcing the Publicness of the Museum of Modern and Contemporary Art, Korea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6966953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는 교육의 공공성 조건을 다시 살펴보고 변화된 박물관학의 흐름 속에서 미술관 기능과 미술관 교육의 공공성 강화 방안으로서 ‘모두를 위한 미술관’이 되기 위해 나아가야 할 방향에 대하여 제시하였다. 공공성 실현을 위한 대표적인 미술관교육 사업으로는 문화소외계층 사업을 꼽을 수 있다. 분석사례로 국립현대미술관에서 2017년 개편과정을 거쳐 공공성 강화를 위해 집중적으로 추진하고 있는 <문화접근성 향상을 위한 미술관교육 사업> 운영사례를 살펴보았다. 문화소외계층이란 문화예술을 향유하고 창작하며 보호받을 수 있는 인간의 기본 권리에서 배제된 대상으로 사회취약계층을 포함하는 광범위한 개념이다. 사각지대에 놓인 일반 시민에게 가까이 다가갈 수 있는 미술관이 되고, 미술관 내에서도 문화접근성을 높일 수 있는 환경을 만들 수 있도록 노력함으로써 보다 확장된 의미의 미술관 교육을 추구하며 ‘모두를 위한 미술관’이 되고자 노력한다. 본 연구를 통해 문화예술의 사회적 가치 실현과 역할을 요구받는 근래 공공성이라는 화두를 다시금 던지며, 미술관이 ‘모두를 위한 미술관’으로서의 역할을 수행해야 함을 강조하였다.
      번역하기

      본 연구는 교육의 공공성 조건을 다시 살펴보고 변화된 박물관학의 흐름 속에서 미술관 기능과 미술관 교육의 공공성 강화 방안으로서 ‘모두를 위한 미술관’이 되기 위해 나아가야 할 방...

      본 연구는 교육의 공공성 조건을 다시 살펴보고 변화된 박물관학의 흐름 속에서 미술관 기능과 미술관 교육의 공공성 강화 방안으로서 ‘모두를 위한 미술관’이 되기 위해 나아가야 할 방향에 대하여 제시하였다. 공공성 실현을 위한 대표적인 미술관교육 사업으로는 문화소외계층 사업을 꼽을 수 있다. 분석사례로 국립현대미술관에서 2017년 개편과정을 거쳐 공공성 강화를 위해 집중적으로 추진하고 있는 <문화접근성 향상을 위한 미술관교육 사업> 운영사례를 살펴보았다. 문화소외계층이란 문화예술을 향유하고 창작하며 보호받을 수 있는 인간의 기본 권리에서 배제된 대상으로 사회취약계층을 포함하는 광범위한 개념이다. 사각지대에 놓인 일반 시민에게 가까이 다가갈 수 있는 미술관이 되고, 미술관 내에서도 문화접근성을 높일 수 있는 환경을 만들 수 있도록 노력함으로써 보다 확장된 의미의 미술관 교육을 추구하며 ‘모두를 위한 미술관’이 되고자 노력한다. 본 연구를 통해 문화예술의 사회적 가치 실현과 역할을 요구받는 근래 공공성이라는 화두를 다시금 던지며, 미술관이 ‘모두를 위한 미술관’으로서의 역할을 수행해야 함을 강조하였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study reexamines the elements of publicness in education and proposes strategies for museum education to pursue the creation of “museums for all” as a means to strengthen the functions of museums and the public nature of their education under the changing landscape of museology. The requirements for publicness in education have long been discussed within the field of education studies. Among the required elements suggested within the existing scholarship, the pursuit of equality, difference, and autonomy within a community are drawing particular attention now that the social roles and responsibilities of museums are growing in importance. Realizing equality is one of the core social responsibilities of museum education that supports the basic right to culture, and projects for culturally disadvantaged people allow museums to pursue their social responsibility to guarantee publicness. In this sense, the roles of museum education programs as means of enhancing the publicness of museums should be reexamined. This study investigates the case of the “museum education project for improved accessibility of culture,” implemented by the Museum of Modern and Contemporary Art, Korea (MMCA) following its reorganization of education programs in 2017. In the hope of helping museums to fulfil their social role through a refinement of museum education, this article presents the following suggestions to create “museums for all” that embody the publicness of museums. First, museums should discover new culturally underprivileged targets for education programs and provide them with opportunities to enjoy culture in daily life. Second, as discussions over cultural diversity are growing increasingly active in Korean society, it has become necessary to open museums for all in terms of cultural diversity. Third, museums should actively foster cooperation with related institutions and experts to operate education programs through new cooperative governance. Fourth, museum education should not target only specific groups in new programs. Rather than establishing exclusive special programs, museums should host programs that are open to anyone and develop content that considers different methods of operation according to participants’ unique conditions for enjoying culture. Fifth, museum education should design programs for self-directed learning.
      번역하기

      This study reexamines the elements of publicness in education and proposes strategies for museum education to pursue the creation of “museums for all” as a means to strengthen the functions of museums and the public nature of their education under...

      This study reexamines the elements of publicness in education and proposes strategies for museum education to pursue the creation of “museums for all” as a means to strengthen the functions of museums and the public nature of their education under the changing landscape of museology. The requirements for publicness in education have long been discussed within the field of education studies. Among the required elements suggested within the existing scholarship, the pursuit of equality, difference, and autonomy within a community are drawing particular attention now that the social roles and responsibilities of museums are growing in importance. Realizing equality is one of the core social responsibilities of museum education that supports the basic right to culture, and projects for culturally disadvantaged people allow museums to pursue their social responsibility to guarantee publicness. In this sense, the roles of museum education programs as means of enhancing the publicness of museums should be reexamined. This study investigates the case of the “museum education project for improved accessibility of culture,” implemented by the Museum of Modern and Contemporary Art, Korea (MMCA) following its reorganization of education programs in 2017. In the hope of helping museums to fulfil their social role through a refinement of museum education, this article presents the following suggestions to create “museums for all” that embody the publicness of museums. First, museums should discover new culturally underprivileged targets for education programs and provide them with opportunities to enjoy culture in daily life. Second, as discussions over cultural diversity are growing increasingly active in Korean society, it has become necessary to open museums for all in terms of cultural diversity. Third, museums should actively foster cooperation with related institutions and experts to operate education programs through new cooperative governance. Fourth, museum education should not target only specific groups in new programs. Rather than establishing exclusive special programs, museums should host programs that are open to anyone and develop content that considers different methods of operation according to participants’ unique conditions for enjoying culture. Fifth, museum education should design programs for self-directed learning.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Ⅰ. 서론
      • Ⅱ. 미술관교육과 공공성에 대한 이론과 담론 고찰
      • 1. 교육 공공성의 개념과 조건
      • 2. 확장된 미술관교육과 공공성
      • Ⅲ. 국립현대미술관 <문화접근성 향상을 위한 미술관교육 사업> 사례
      • Ⅰ. 서론
      • Ⅱ. 미술관교육과 공공성에 대한 이론과 담론 고찰
      • 1. 교육 공공성의 개념과 조건
      • 2. 확장된 미술관교육과 공공성
      • Ⅲ. 국립현대미술관 <문화접근성 향상을 위한 미술관교육 사업> 사례
      • 1. 장애인, 치매환자와 가족 교육
      • 2. 학교 밖 청소년 교육프로그램 <미술관 구석구석>
      • 3. 민관 협력을 통한 공공성 확보
      • Ⅳ. 결론 및 제언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