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시빅 크라우드펀딩을 활용한 지역활성화 방안 연구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T15685092

      • 저자
      • 발행사항

        서울: 광운대학교 대학원, 2020

      • 학위논문사항

        학위논문(박사)- -- 광운대학교 대학원 , 도시계획부동산학과 , 2020.8

      • 발행연도

        2020

      • 작성언어

        한국어

      • DDC

        307.333 판사항(23)

      • 발행국(도시)

        서울

      • 기타서명

        A study on regional vitalization using civic crowdfunding

      • 형태사항

        xii, 251 p.: 삽도, 표; 27 cm.

      • 일반주기명

        지도교수 : 이춘원
        참고문헌 수록

      • UCI식별코드

        I804:11012-200000346249

      • 소장기관
        • 광운대학교 중앙도서관 소장기관정보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우리나라는 저출산, 고령화로 인한 도시쇠퇴가 지속되면서 인구소멸
      지역의 증가, 도시의 노후화, 산업구조의 변화, 사회·경제적 여건변화 등
      복합적 쇠퇴문제에 직면해 있다. 따라서 열악한 지방정부의 재원확보 방
      안은 물론 다양한 주체가 참여하는 지속가능한 지역커뮤니티 활성화 방
      안이 필요한 상황이다.
      이러한 상황에서 크라우드펀딩을 통해 공공프로젝트를 지원하여 지역
      사회문제를 해결하는 시빅 크라우드펀딩의 잠재력에 주목할 필요가 있
      다. 시빅 크라우드펀딩은 정부와 민간이 상호협력을 통해 창의적 아이디
      어를 발굴하고 공공자원을 효율적으로 활용하는 합리적인 의사결정을 위
      한 방안으로 활용가치가 크다.
      본 연구는 국내에서 시빅 크라우드펀딩의 필요성이 대두되는 논의의
      근거를 찾아보고, 시빅 크라우드펀딩의 잠재력과 일반적 특성을 살펴본
      다. 또한 정부 주도의 하향식 정책 추진의 한계와 지방정부의 역할을 직
      시하면서 시빅 크라우드펀딩의 참여 의도를 분석하고 성공적으로 활용되
      고 있는 해외 현황 고찰 및 분석을 통하여 궁극적으로 지역활성화를 위
      한 시빅 크라우드펀딩의 활용방안을 제언한다.
      실증분석을 통하여 플랫폼 특성, 참여자 특성, 기부 동기 특성이 사회
      적 유용성에 미치는 영향과 사회적 유용성이 참여 의도에 미치는 영향
      관계를 분석한 결과 플랫폼 특성, 참여자 특성, 기부 동기 특성 모두 사
      회적 유용성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며, 사회적 유용성을 매개하여 참여
      의도에도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세부적인 구조모형
      결과는 매개변수인 사회적 유용성이 참여 의도에 미치는 영향력이 가장
      높은 것으로 나타났고, 참여자 특성, 플랫폼 특성, 기부 동기 특성 순으로
      영향력이 큰 것으로 분석되었으며, 참여 의도에 대한 참여 특성의 직·간접
      효과는 참여자 특성, 플랫폼 특성, 기부 동기 특성 순으로 사회적 유용성
      을 매개하여 참여 의도에 간접효과를 나타내는 것으로 확인하였다.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시빅 크라우드펀딩 활용방안을 제언한다.
      첫째, 시빅 크라우드펀딩은 시민에 의한, 시민을 위한 지역활성화 방안
      으로 활용하여야 한다. 둘째, 지역활성화를 위한 지역사회 소통의 장으로
      시빅 크라우드펀딩 전문 플랫폼을 구축하여야 한다. 셋째, 공공사업에 대
      한 타당성 검증과 공공재정의 효율적 사용을 위한 도구로 활용하여야 한
      다. 넷째, 지방정부의 공공사업을 위한 재원확보 방안으로 활용하여야 한
      다. 다섯째, 지역사회 공공프로젝트를 위한 정부-민간 공동기획 및 정부
      -민간 자금매칭 방안으로 활용하여야 한다. 여섯째, 농·어촌 개선사업과
      마을만들기사업을 지원하는 방안으로 활용하여야 한다. 일곱째, 공공부문
      의 창업·벤처기업을 지원하는 방안으로 활용하여야 한다. 여덟째, 정부
      후원방식의 시빅 크라우드펀딩 대회 개최, 경연대회, 성공기업 박람회,
      스타트업 지분투자 추진 등과 연계하여 활용하여야 한다.
      번역하기

      우리나라는 저출산, 고령화로 인한 도시쇠퇴가 지속되면서 인구소멸 지역의 증가, 도시의 노후화, 산업구조의 변화, 사회·경제적 여건변화 등 복합적 쇠퇴문제에 직면해 있다. 따라서 열악�...

      우리나라는 저출산, 고령화로 인한 도시쇠퇴가 지속되면서 인구소멸
      지역의 증가, 도시의 노후화, 산업구조의 변화, 사회·경제적 여건변화 등
      복합적 쇠퇴문제에 직면해 있다. 따라서 열악한 지방정부의 재원확보 방
      안은 물론 다양한 주체가 참여하는 지속가능한 지역커뮤니티 활성화 방
      안이 필요한 상황이다.
      이러한 상황에서 크라우드펀딩을 통해 공공프로젝트를 지원하여 지역
      사회문제를 해결하는 시빅 크라우드펀딩의 잠재력에 주목할 필요가 있
      다. 시빅 크라우드펀딩은 정부와 민간이 상호협력을 통해 창의적 아이디
      어를 발굴하고 공공자원을 효율적으로 활용하는 합리적인 의사결정을 위
      한 방안으로 활용가치가 크다.
      본 연구는 국내에서 시빅 크라우드펀딩의 필요성이 대두되는 논의의
      근거를 찾아보고, 시빅 크라우드펀딩의 잠재력과 일반적 특성을 살펴본
      다. 또한 정부 주도의 하향식 정책 추진의 한계와 지방정부의 역할을 직
      시하면서 시빅 크라우드펀딩의 참여 의도를 분석하고 성공적으로 활용되
      고 있는 해외 현황 고찰 및 분석을 통하여 궁극적으로 지역활성화를 위
      한 시빅 크라우드펀딩의 활용방안을 제언한다.
      실증분석을 통하여 플랫폼 특성, 참여자 특성, 기부 동기 특성이 사회
      적 유용성에 미치는 영향과 사회적 유용성이 참여 의도에 미치는 영향
      관계를 분석한 결과 플랫폼 특성, 참여자 특성, 기부 동기 특성 모두 사
      회적 유용성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며, 사회적 유용성을 매개하여 참여
      의도에도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세부적인 구조모형
      결과는 매개변수인 사회적 유용성이 참여 의도에 미치는 영향력이 가장
      높은 것으로 나타났고, 참여자 특성, 플랫폼 특성, 기부 동기 특성 순으로
      영향력이 큰 것으로 분석되었으며, 참여 의도에 대한 참여 특성의 직·간접
      효과는 참여자 특성, 플랫폼 특성, 기부 동기 특성 순으로 사회적 유용성
      을 매개하여 참여 의도에 간접효과를 나타내는 것으로 확인하였다.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시빅 크라우드펀딩 활용방안을 제언한다.
      첫째, 시빅 크라우드펀딩은 시민에 의한, 시민을 위한 지역활성화 방안
      으로 활용하여야 한다. 둘째, 지역활성화를 위한 지역사회 소통의 장으로
      시빅 크라우드펀딩 전문 플랫폼을 구축하여야 한다. 셋째, 공공사업에 대
      한 타당성 검증과 공공재정의 효율적 사용을 위한 도구로 활용하여야 한
      다. 넷째, 지방정부의 공공사업을 위한 재원확보 방안으로 활용하여야 한
      다. 다섯째, 지역사회 공공프로젝트를 위한 정부-민간 공동기획 및 정부
      -민간 자금매칭 방안으로 활용하여야 한다. 여섯째, 농·어촌 개선사업과
      마을만들기사업을 지원하는 방안으로 활용하여야 한다. 일곱째, 공공부문
      의 창업·벤처기업을 지원하는 방안으로 활용하여야 한다. 여덟째, 정부
      후원방식의 시빅 크라우드펀딩 대회 개최, 경연대회, 성공기업 박람회,
      스타트업 지분투자 추진 등과 연계하여 활용하여야 한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As urban decay continues due to low birth rate and aging
      population, Korea faces complex deterioration problems that include
      increasing number of regions experiencing depopulation, declining
      cities, restructuring industries, and changing social and economic
      conditions. Therefore, Korea must find ways not only to secure
      financial resources for struggling local governments, but also devise
      sustainable measures to vitalize local communities that involve
      various entities and agents.
      Amid this situation, the potential of civic crowdfunding, which
      solves social problems by supporting public projects through
      crowdfunding, is worth exploring. civic crowdfunding has its greatest
      value as a tool for encouraging creative ideas through government -
      private sector cooperation and promoting reasonable decision-making
      that allows for efficient allocation of public resources.
      This research attempts to find the basis for the discussion that
      calls for the need of civic crowdfunding in the local communities. It
      also studies the potential and characteristics of civic crowdfunding.
      Furthermore, by acknowledging the role of local government, squarely
      facing the limitations of government-led top-down policy drives,
      exploring participating intention of civic crowdfunding, and assessing
      successful ongoing cases around the world, this research ultimately
      proposes ways to utilize civic crowdfunding for local community
      vitalization.
      Through empirical analysis, this study analyzes how platform
      characteristics, participant characteristics, and donating motivation
      characteristics affect social usefulness and in turn, how social
      usefulness affects participating intention. The result shows that
      platform, participant, and donating motivation characteristics all
      significantly affect social usefulness, and by mediating social
      usefulness, they significantly impact participating intention as well.
      Detailed structural models show that social usefulness, a parameter,
      has the greatest influence on participating intention, followed by
      participant, platform, and donating motivation characteristics. By
      mediating social usefulness, participant characteristics has the greatest
      indirect effects on participating intention, followed by platform
      characteristics and donating motivation characteristics.
      Based on the research, recommendations on ways to utilize civic
      crowdfunding are as follow.
      First, civic crowdfunding should be utilized as a regional
      vitalization tool for the people and by the people. Second, a
      specialized civic crowdfunding platform that creates an atmosphere of
      communication for local vitalization should be established. Third, civic
      crowdfunding should serve as a mean to verify the feasibility of
      public project and efficiently utilize public funding. Fourth, it should
      be utilized as government’s fundraising mean for its public projects.
      Fifth, it should serve as a system that provides government and
      private sector's joint project planning and fund-matching for local
      projects. Sixth, it should be utilized as a tool for village-building or
      farming·fishing village regeneration. Seventh, it should be used as a
      mean to support startups and ventures in the public sector. Eighth, it
      should be linked and employed together with various measures, such
      as hosting government-sponsored civic crowdfunding contests,
      promoting equity investments for startups, and holding exhibitions
      that showcase successful businesses.
      번역하기

      As urban decay continues due to low birth rate and aging population, Korea faces complex deterioration problems that include increasing number of regions experiencing depopulation, declining cities, restructuring industries, and changing social and ec...

      As urban decay continues due to low birth rate and aging
      population, Korea faces complex deterioration problems that include
      increasing number of regions experiencing depopulation, declining
      cities, restructuring industries, and changing social and economic
      conditions. Therefore, Korea must find ways not only to secure
      financial resources for struggling local governments, but also devise
      sustainable measures to vitalize local communities that involve
      various entities and agents.
      Amid this situation, the potential of civic crowdfunding, which
      solves social problems by supporting public projects through
      crowdfunding, is worth exploring. civic crowdfunding has its greatest
      value as a tool for encouraging creative ideas through government -
      private sector cooperation and promoting reasonable decision-making
      that allows for efficient allocation of public resources.
      This research attempts to find the basis for the discussion that
      calls for the need of civic crowdfunding in the local communities. It
      also studies the potential and characteristics of civic crowdfunding.
      Furthermore, by acknowledging the role of local government, squarely
      facing the limitations of government-led top-down policy drives,
      exploring participating intention of civic crowdfunding, and assessing
      successful ongoing cases around the world, this research ultimately
      proposes ways to utilize civic crowdfunding for local community
      vitalization.
      Through empirical analysis, this study analyzes how platform
      characteristics, participant characteristics, and donating motivation
      characteristics affect social usefulness and in turn, how social
      usefulness affects participating intention. The result shows that
      platform, participant, and donating motivation characteristics all
      significantly affect social usefulness, and by mediating social
      usefulness, they significantly impact participating intention as well.
      Detailed structural models show that social usefulness, a parameter,
      has the greatest influence on participating intention, followed by
      participant, platform, and donating motivation characteristics. By
      mediating social usefulness, participant characteristics has the greatest
      indirect effects on participating intention, followed by platform
      characteristics and donating motivation characteristics.
      Based on the research, recommendations on ways to utilize civic
      crowdfunding are as follow.
      First, civic crowdfunding should be utilized as a regional
      vitalization tool for the people and by the people. Second, a
      specialized civic crowdfunding platform that creates an atmosphere of
      communication for local vitalization should be established. Third, civic
      crowdfunding should serve as a mean to verify the feasibility of
      public project and efficiently utilize public funding. Fourth, it should
      be utilized as government’s fundraising mean for its public projects.
      Fifth, it should serve as a system that provides government and
      private sector's joint project planning and fund-matching for local
      projects. Sixth, it should be utilized as a tool for village-building or
      farming·fishing village regeneration. Seventh, it should be used as a
      mean to support startups and ventures in the public sector. Eighth, it
      should be linked and employed together with various measures, such
      as hosting government-sponsored civic crowdfunding contests,
      promoting equity investments for startups, and holding exhibitions
      that showcase successful businesses.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제1장 서 론 1
      • 제1절 연구의 배경 및 목적1
      • Ⅰ 연구의 배경 1
      • Ⅱ 연구의 목적 6
      • 제2절 연구의 범위 및 방법 7
      • 제1장 서 론 1
      • 제1절 연구의 배경 및 목적1
      • Ⅰ 연구의 배경 1
      • Ⅱ 연구의 목적 6
      • 제2절 연구의 범위 및 방법 7
      • Ⅰ 연구의 범위 7
      • Ⅱ 연구의 방법 8
      • 제2장 일반적 고찰 및 선행연구 분석 13
      • 제1절 지역활성화와 주민참여 13
      • Ⅰ 지역활성화 13
      • Ⅱ 주민참여 18
      • 제2절 크라우드펀딩 21
      • Ⅰ 시빅테크와 시빅해킹 21
      • Ⅱ 크라우드소싱과 크라우드펀딩 30
      • 제3절 시빅 크라우드펀딩 61
      • Ⅰ 시빅 크라우드펀딩의 개념 61
      • Ⅱ 시빅 크라우드펀딩의 모델과 유형 64
      • Ⅲ 시빅 크라우드펀딩 캠페인의 특성과 특징 69
      • Ⅳ 시빅 크라우드펀딩의 역할 76
      • 제4절 선행연구 분석 88
      • Ⅰ 지역활성화에 관한 선행연구 88
      • Ⅱ 시빅 크라우드펀딩에 관한 선행연구 91
      • Ⅲ 선행연구와의 차별성 99
      • 제3장 시빅 크라우드펀딩의 현황 분석101
      • 제1절 해외 현황 101
      • 제2절 국내 현황 143
      • 제3절 시사점 150
      • 제4장 실증 분석 154
      • 제1절 조사 개요 154
      • Ⅰ 연구 모형 154
      • Ⅱ 연구 가설 155
      • Ⅲ 변수의 선정 157
      • 제2절 자료 수집 및 분석 방법 161
      • Ⅰ 자료 수집 및 설문의 구성 161
      • Ⅱ 자료 분석 방법 162
      • 제3절 실증 분석 결과 163
      • Ⅰ 기초통계량 163
      • Ⅱ 탐색적 요인분석 및 신뢰도 분석 168
      • Ⅲ 인구통계학적 특성에 따른 차이 검정 173
      • Ⅳ 구조방정식 모형 검정 197
      • 제4절 분석 결과 208
      • 제5장 결 론 211
      • 제1절 연구의 결론 211
      • 제2절 연구의 한계 214
      • 참고문헌 216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논문관계도

      1 김민중, 김민중, "계약법", 신론사, 2015

      2 권대중, "도시재생론", 송설사, 2012

      3 정석, "천천히 재생", ㈜매디치미디어, 2019

      4 송지준, "통계분석방법", 21세기사, 2017

      5 권대중, 주민호, 조상배, "“도시재생의 이해”", 부연사, 2018

      6 민인식, 최필선, "기초통계와 회귀분석", ㈜지필미디어, 2018

      7 김계수, "『R-구조방정식 모델링』", 한나래아카데미, 2015

      8 윤민섭, "“P2P금융에 관한 법적 연구”", 금융법연구, 제9권 제2호, 2012

      9 김연미, "“벤처창업과 크라우드펀딩”", 정보법학, 제16권 제2호, 2012

      10 김수영, "구조방정식 모형의 기본과 확장", 학지사, 2016

      1 김민중, 김민중, "계약법", 신론사, 2015

      2 권대중, "도시재생론", 송설사, 2012

      3 정석, "천천히 재생", ㈜매디치미디어, 2019

      4 송지준, "통계분석방법", 21세기사, 2017

      5 권대중, 주민호, 조상배, "“도시재생의 이해”", 부연사, 2018

      6 민인식, 최필선, "기초통계와 회귀분석", ㈜지필미디어, 2018

      7 김계수, "『R-구조방정식 모델링』", 한나래아카데미, 2015

      8 윤민섭, "“P2P금융에 관한 법적 연구”", 금융법연구, 제9권 제2호, 2012

      9 김연미, "“벤처창업과 크라우드펀딩”", 정보법학, 제16권 제2호, 2012

      10 김수영, "구조방정식 모형의 기본과 확장", 학지사, 2016

      11 노경섭, "제대로 알고 쓰는 논문 통계분석", 한빛아카데미, 2019

      12 김세을, "콘텐츠, 플랫폼(Platform)을 만나다", (사)콘텐츠경영학회, 2019

      13 이승훈, "“민주주의와 시민주체의 형성”", 사회이론, 제43권, 한국사회 이론학회, 2013

      14 안성호, "“우리나라 지방분권화의 논거”", 한국행정학보, 제27권 제3 호, 1993

      15 윤민섭, "“P2P 대출의 법제화에 대한 연구”", 경제법연구, 제16권 제3 호, 2017

      16 이경호, "번역, (Daren C. Brabham), 크라우드소싱", 한울출판사, 2018

      17 김원준, 최석웅, 이두연, 강재원, "크라우드펀딩성공을 위한 실증분석", 벤처창업연구, 제12권 제2호, 2017

      18 김진희, 최시영, 손용수, "번역, (Klaus Schwab), 4차 산업혁명의 충격", 흐름출판, 2016

      19 김영도, 정현석, "크라우드펀딩 자금조달의 유효성 분석", 금융연구, 제32권 제3호, 2018

      20 김나랑, 홍순구, 이현미, "“온라인 주민참여 활성화 방안 연구”", 지방 정부연구, 제18권 제4호, 2015

      21 현석, "“유럽 금융제도 규제분석 및 시사점”", 유럽금융시장포커스, 년 여름호, 2014, 2014

      22 황홍섭, "“지역개념을 활용한 지역화 학습방안”", 사회과교육, 제56권 제4호, 2017

      23 이춘원, "“부동산 거래와 블록체인에 대한 소고”", 부동산법학, 제23권 제2호, 2019

      24 김광수, 이동필, "“일본의 지역활성화 관련 정책과 사례”", 한국농촌경 제연구원, 1-206, 2010

      25 김상준, 최석현, 김정훈, "“사회연대국가모델과 공공서비스 혁신”", 경기 연구원기본연구, 1-118, 2017

      26 김한준, "“스마트시대, 도시계획의 확장 및 전환”", 공간과사회, 제27 권 제1호, 2017

      27 안종희, "번역, (Richard Florida), 도시는 왜 불평등한가", 매경출판, 2018

      28 김용선, "“대림동 중국동포타운 지역활성화 연구”", 한국외국어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청구논문, 2017

      29 김혜정, "“지역사회 시민의 참여활동과 영향요인”", 한국행정학보, 제 46권 제2호, 2012

      30 김세련, "“크라우드펀딩의 법적 문제와 개선 방향”", 전남대학교 법학 전문대학원 박사학위청구논문, 2017

      31 곽현, 이호근, "크라우드펀딩 분야의 국내외 연구동향 분석", 정보화 정책, 제21권 제4호, 2014

      32 강현철, "R을 활용한 인과모형과 구조방정식 모형 분석", 자유아카데미, 2019

      33 박준형, "“주민공동체가 주인이 되는 도시재생 뉴딜”", 국토, 제6권 제 12호, 2018

      34 소진광, "공간정의 관점에서의 지역격차와 지역균형발전", 한국지역 개발학회지, 제30권 제4호, 2018

      35 김세용, "“도시계획의 패러다임 변화와 전자 주민참여”", 건축, 제51권 제9호, 2007

      36 천창민, "“미국의 증권형 크라우드펀딩 규제와 시사점”", 자본시장연 구원, 제15권 제8호, 2015

      37 김필두, 최인수, "“주민자치형 공공서비스에 대한 탐색적 연구”", 한국 지방행정연구원 연구보고서 제-3권, 2018, 2018

      38 김가융, 조상미, "“한국 모금기관의 투명성에 관한 탐색적 연구”", 한 국지역사회복지학, 제50권, 2014

      39 김영도, "크라우드펀딩(crowdfunding) 제도의 도입과 발전방향", 한 국금융연구원, 2014

      40 이주원, "“도시재생 뉴딜 정책이 현황과 정책 개선 방향”", 한국부동 산분석학회 전문가세션, 2019

      41 안옥희, 조영미, "“인구소멸지역 의성군의 지역활성화 방안 연구”", 한 국주거학회 추계학술발표, 제30권 제2호, 2018

      42 천창민, "“증권형 크라우드펀딩 제도의 구축방향과 과제”", 자본시장 연구원, 2013

      43 이규정, 홍대식, 최승재, "“인터넷 비즈니스 공정 환경 제도개선 방안 연구”", 방송통신정책연구 11-진흥-라-03, 2011

      44 윤민섭, "“자금조달수단으로서 Crowdfunding에 관한 법적연구”", 기업법연구, 제26권 제2호, 2012

      45 윤민섭, "“非금융형 크라우드펀딩의 법적 문제와 개선방안”", 저스티 스, 통권 제142호, 2014

      46 이윤환, 정우택, "“개발제한구역법상 토지이용 활성화에 관한 연구”", 한국법학회, 2019

      47 윤민섭, "“크라우드펀딩의 제도화와 소비자 보호방안 연구”", 한국소 비자원 정책연구보고서, 2013

      48 김태훈, 조정진, "번역, (John Stossel), 왜 정부는 하는 일마다 실패하 는가", 글로세움, 2012

      49 김병섭, 최은미, 최성주, "「국민행복, 삶의 질, 그리고 공공서비스의 관계 연구", 한국행정학보, 제49권 제4호, 2015

      50 윤호, "“구조방정식을 이용한 도시이미지의 결정요인 연구”", 부동산 학보, 제44권, 2011

      51 이석환, "“기초자치단체 사회복지지출의 불평등에 관한 연구”", 한국 공공관리학보, 제33권 제1호, 2019

      52 정하용, "지방자치시대의 지역사회개발과 주민참여 활성화 방안", 한국지역개발학회지, 제19권 제3호, 2007

      53 김휘정, "“문화예술 분야 크라우드펀딩의 쟁점과 활성화 방향”", 예 술경영연구, 제23권, 2012

      54 이운용, "“타운매니지먼트 수법을 통한 지역활성화 방안 연구”", 중앙 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청구논문, 2018

      55 윤민섭, "“투자형 크라우드펀딩의 제도화를 위한 입법적 제언”", 증권 법연구, 제14권 제1호, 2013

      56 유재훈, "“대중의 지혜를 내 것으로 크라우드소싱에 성공하려면”", LG Business Insight, Weekly 포커스, 2010

      57 유창한, 현은정, "“문화예술 분야의 보상형 크라우드펀딩 성공결정요 인”", 문화경제연구, 제21권 제3호, 2018

      58 이방무, "“십시일반으로 함께 만들어 나가는 지역공동체 활성화”", 지 방행정, 제65권, 2016

      59 김익환, "“크라우드펀딩을 활용한 부동산투자 활성화 방안 연구”", 상 명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청구논문, 2019

      60 최가인, "번역, (富士通總硏經濟硏究所), 플랫폼 비즈니스의 최전선", 비제이퍼블릭, 2014

      61 권혁근, 서상혁, "“개방적 혁신을 위한 크라우드소싱 사례연구와 시사 점”", 한국기술혁신학회 년 춘계학술대회, 2011, 2011

      62 이종인, "“증권형 크라우드펀딩의 투자자 보호를 위한 법적 연구”", 동아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청구논문, 2019

      63 천창민, "“증권형 크라우드펀딩 제도 도입 1년의 성과와 법적 과제”", 금융법연구, 제14권 제2호, 2017

      64 나현호, "조신, “주식형 크라우드펀딩 성공 요인에 관한 실증 분석”", 한국혁신학회지, 제14권 제1호, 2019

      65 강대웅, "“개인투자조합 및 크라우드펀딩 입법안에 대한 비교 검토”", 국제법무, 제7권 제1호, 2015

      66 정광식, "“부동산 크라우드펀딩 활성화를 위한 제도개선 방안 연구”", 수원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청구논문, 2017

      67 박우영, 이상용, "“크라우드펀딩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관한 탐색적 연구”", e-비지니스, 제17권 제4호, 2016

      68 김이탁, 이재준, 이영은, 이문기, 김현수, "“도시재생에서 도시재생 뉴딜 로, 그 실현방법을 찿아본다”", 도시정보, 제426권, 2017

      69 윤상오, 현지우, "“새로운 시민참여: 생태계 관점에서의 시빅테크 비 교분석”", 한국공공관리학보, 제32권 제3호, 2018

      70 전영수, "“지속가능한 지역활성화는 실현되는가-시와쵸의 재생실험”", 일본학보, 제121권, 2019

      71 신은희, "“지능화 시대 ‘Civic Tech’의 발전과 디지털 사회혁신 전 략”", IT & Future Strategy 한국정보화진흥원, 제7호, 2017

      72 김예성, 송애정, "“크라우드펀딩을 활용한 도시재생 재원확보 사례와 시사점”", 도시행정확보, 제31권 제3호, 2018

      73 가정, "“크라우드펀딩 특성이 참여 의도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건국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청구논문, 2018

      74 이정아, "“개인의 기부행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관한 구조적 분 석”", 서남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청구논문, 2011

      75 송태원, "“인터넷 플랫폼 시장에서의 공정경쟁 확보에 관한 법적 연 구”", 고려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청구논문, 2017

      76 김상대, "“크라우드펀딩 기술수용이 태도 및 이용 의도에 미치는 영 향”", 호서대학교 벤처대학원 박사학위청구논문, 2016

      77 김광익, 이동우, "박은관 문정호, “자립적 지역발전을 위한 지역단위 설정 연구”", 국토연구소, -14, 2003, 2003

      78 우소영, "“지방정부의 정책방향과 지역발전정책 결정요인에 관한 연 구”", 충남대학교 대학교 박사학위청구논문, 2018

      79 서진형, 신민식, "“크라우드펀딩을 이용한 부동산 개발사업의 적용에 관한 소고”", 한국집합건물법학회, 제19집, 2016

      80 서윤진, "“도시재생에 있어 Aging in Place를 위한 고령자 서비스 주 거 연구”", 서울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청구논문, 2018

      81 최진욱, "“도시재생적 관점의 유휴공간 재생을 통한 지역활성화 방안 연구”", 한양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청구논문, 2016

      82 정승화, "“증권형 크라우드펀딩의 활성화와 투자자 보호를 위한 법적 과제”", 상사판례연구, 제28권 제4호, 2015

      83 김민영, 문은설, 김정곤, "“크라우드소싱을 이용한 주민참여형 마을 아 카이빙 플랫폼 제안”", 대한공간정보학회 학술대회, 2016

      84 임정하, "“P2P 대출의 법제화를 위한 과제-금융포용과 투자자보호를 중심으로-”", 금융소비자연구, 제9권 제1호, 2019

      85 박현정, 신경식, "“기부형 크라우드펀딩의 성공 요인: 도너스츄즈 플 랫폼을 중심으로”", 한국IT서비스학회지, 제15권 제2호, 2016

      86 성희활, "“지분투자형 크라우드펀딩(Crowdfunding)의 규제체계 수립 에 대한 연구”", 증권법연구, 제14권 제2호, 2013

      87 이현경, "번역, (Marshall Van Alstyne & Geoffey Parker & Sangeet Paul Choudary), 플랫폼 레볼루션", 부키, 2017

      88 김소정, "“크라우드소싱 참여 동기와 지속적 참여 의도간의 관계에 대 한 연구”", 충남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청구논문, 2015

      89 김혜숙, "“부동산 크라우드펀딩의 이용 의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관한 연구”", 숭실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청구논문, 2018

      90 김진완, 홍태호, "“웹 2.0 환경에서 집단지성의 지속사용에 관한 연구: 활용단계를 중심으로”", 년 한국경영정보학회 추계학술대회 자 료집, 2010, 2010

      91 주병기, "“공정한 사회와 지속가능한 경제발전: 우리의 현실과 바람 직한 정책 방향”", 한국경제포럼, 제12권 제2호, 2019

      92 이혜인, 홍준형, "“정부신뢰와 시민참여: 지난 두 정부에 대한 설문조 사를 활용한 실증분석”", 한국행정논집, 제25권 제3호, 2013

      93 권홍신, "“커뮤니티비지니스 방식의 민관협력에 의한 지역활성화 요인 에 관한 연구”", 한국외국어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청구논문, 2011

      94 심재승, "“지역재생을 위한 정부-민간 협력의 새로운 시각 : 크라우 드펀딩을 중심으로”", 한국지적정보학회지, 제18권 2호, 2016

      95 김동호, "“크라우드펀딩 활성화에 관한 연구- 지원제도와 해외․국내 사 례를 중심으로”", 국제경영리뷰, 2014

      96 이서화, 장영호, "“뉴거버넌스 관점에서 지역활성화를 위한 주민대상 마을만들기 교육사업 연구”", 한국디자인문화학회지, 제21권 제2호, 2015

      97 김용국, 조상규, "스마트 도시재생 뉴딜 정책의 주민참여 수단으로서 크라우드소 싱 시범 적용 연구", 대한건축학회논문집, 제35권 제8호, 2019

      98 이경희, "“타당도의 통합적 접근을 위한 구조방정식모형과 Rasch 모 형의 적용가능성 탐색”",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청구논문, 2019

      99 최준호, "“주민의 공공서비스 만족을 통한 ‘삶의 질’ 분석: 지방자치 10년과 25년의 비교”", 한국지방자치연구, 제21권 제2호, 2019

      100 곽재성, 신재은, 권호, "“민간재원의 참여 확대를 위한 개발사업 크라 우드펀딩(Crowdfunding) 접근방식 검토”", 국제개발협력연구, 제8권 제3호, 2016

      101 김진수, "“구조방정식 모형을 이용한 노인환자의 치과만족도가 재이용 의사에 미치는 영향”", 인하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청구논문, 2013

      102 윤호빈, "“구조방정식 모형을 활용한 FED공사의 리스크 요인이 사업 관리에 미치는 영향 분석”", 인천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청구논문, 2019

      103 박인정, "“문화예술 분야 크라우드펀딩의 가능성: 문화나눔 포털과 텀블 벅 사례를 중심으로”", 문화예술경영학연구, 제6권 제1호, 2013

      104 김정훈, 염유경, "이다겸, “정부-민간 협력 크라우드펀딩 주요 성공사 례 및 시사점”, 이슈&진단, 제208권", 경기연구원, 2015

      105 고용기, 김종욱, "“지분투자형 크라우드펀딩: 창조경제 활성화와 국민 상상 실현을 위한 새로운 투자방법”", KISTEP ISSUE PAPER -18, 2013, 2013

      106 김정렬, 이도형, "“공공서비스 개혁의 비전과 전략-서비스행정 패러다 임의 정립과 그 실천방안을 중심으로”", 서울행정학회학술대회, 2009

      107 이성근, 최민아, "“보를로법에 의한 프랑스 국가도시재생 프로그램 (PNRU) 및 도시재생사업 특성에 관한 연구”", 국토계획, 제47권 제 4호, 2012

      108 최정민, "“공공데이터 플랫폼 이용의도 영향요인에 관한 연구-해양과 학 데이터 플랫폼을 중심으로-”", 건국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청구 논문, 2019

      109 류석진, 조희정, 이상동, "“디지털 사회혁신의 정당성과 민주주의 발전: 온라인 청원과 공공문제 해결 사례를 중심으로”", 정보화정책, 제23 권 제2호, 2016

      110 김대일, 염춘호, 박성찬, 김항집, "“일본 도시재생정책의 변천과 군집분 석에 의한 도시재생사업의 특성 및 시사점에 관한 연구”", 국토계획, 제55권 제1호, 2020

      111 김채은, 정재환, "“지역문제 해결을 위한 주민참여 활성화 방안 연구 -주민참여 지역문제 해결 조직을 중심으로-”", 한국정책분석평가학 회 학술대회 발표논문집, 2019

      112 김새로미, 이종화, "“크라우드펀딩 성과에 대한 소셜미디어 영향-프로 젝트의 목적(공익형vs사익형)에 따른 비교분석”", 사회과학연구, 제 25권 제1호, 2018

      113 김덕규, 임춘성, "“대출형 부동산 크라우드펀딩의 법적 문제 및 개선방 안–P2P 대출 플랫폼의 중개업자를 중심으로-”", 금융법연구, 제15권 제1호, 2018

      114 다까노 도시후미, "“일본 규슈 유후인정의 내생적 지역활성화 연구추진사업과 참여주체의 단계별 로컬거버넌스를 중심으로-”", 서울대 학교 대학원 박사학위청구논문, 2017

      115 이영경, "청소년의 가족탄력성, 자기효능감, 정신건강요인이 청소년 비행에 미 치는 영향 : 구조방정식모형을 중심으로", 한세대학교 대학 원 박사학위청구논문, 2014

      116 권은혜, "「도시재생에서 주민의 자주적 관여가 삶의 만족도에 미치는 영 향 : 주민참여 정도와 공동체의식 수준을 중심으로」", 경기대학교 박 사학위청구논문, 2017

      117 이지현, "박상아 서동백, “이용자의 신뢰와 위험인지에 따른 크라우드 펀딩(Crowdfunding) 참여의도: 한국과 오스트리아 비교연구”", 한국 경영정보학회 학술대회, 2019

      118 정규선, "“평창올림픽 개최지 이미지, 음식관광, 행정의도 및 지역 활 성화와의 영향관계 연구-강릉올림픽특구 관광객을 중심으로-”", 강 릉원주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청구논문, 2019

      119 최미숙, "“개인기부요인과 기관기부요인이 기부행동 지속성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기부 만족감, 신뢰감의 매개효과를 기준으로-”", 칼빈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청구논문, 2018

      120 박상필, "“런던, 시민사회(Civic Society)기반의 중심지 재생-간접유 도 공공주도 민간주도 방식으로 런던의 중심지 재생계획과 시책 추 진-”", 부산발전포럼, 제175권, 2019

      121 고하라 다카하루, "“일본의 후루사토 납세(고향세), 일그러진 현행제도 페지 및 개편 절실-기부나 납세라 하기엔 한계 고소득자에게 유리 한 절세수단”", 월간주민자치, 제85권, 2018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