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후보

      침미다례의 위치에 대한 고고학적 고찰 = 침彌多禮の位置について考古學的考察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82399278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침미다례는 백제의 마지막 마한 병합 과정에 있어 극복되어야 할 가장 중요한 세력으로 인정되고 있지만 그 위치와 병합 시기에 대해서는 견해 차이가 많다. 고고학적으로 보면 침미다례의 ...

      침미다례는 백제의 마지막 마한 병합 과정에 있어 극복되어야 할 가장 중요한 세력으로 인정되고 있지만 그 위치와 병합 시기에 대해서는 견해 차이가 많다. 고고학적으로 보면 침미다례의 위치는 전남 고흥반도 일대로 추정되며, 병합 시기는 6세기 초로 판단된다. 침미다례는 『일본서기』에 남만으로 기록되어 있는데 이는 백제에 비호의적인 남쪽 세력이기 때문일 것이며 당연히 주변 세력과 구분되는 고고학 자료를 남겼을 것으로 믿어진다. 따라서 침미다례는 마한의 가장 남쪽 지역 가운데 고고학적으로 다른 지역과 뚜렷이 구분되는 자료들을 통해 그 특이성이 증명될 필요가 있다. 이와 같은 점을 감안하여 보면 전남의 고흥반도 일대가 주목되지 않을 수 없다. 고흥반도 일대에는 21개소에 달하는 고분(군)이 존재하며 금동관과 금동신발이 출토된 안동고분과 전형적인 남해안식 석실을 가지고 있는 동호덕 고분이 대표적이다. 이와같은 고분들은 백제식 석실묘나 영산강식 석실묘와는 다른 구조를 가진 것으로서 5세기말-6세기초까지 발전하고 있었던 것으로 보인다. 문헌기록 가운데 6세기 초에 해당하는 『양직공도』에는 백제의 부용국들이 나열되어 있는데 이는 당시 백제 주변에 소규모의 반독자적인 세력들이 6세기 초까지도 존재하고 있었음을 말해주고 있다. 고흥반도 일대는 남해안 연안항로의 길목에 해당하는 지리적인 이점을 바탕으로 성장하였고 백제뿐만 아니라 왜 등 주변세력과 교류하였던 것으로 보인다. 금동관이나 금동신발과 같은 범백제계 위세 품은 백제와의 밀접했던 관계를 말해주며 왜 계통의 매장주체시설과 부장품들은 왜와의 관계를 반영하고 있다. 이 지역은 백제와 왜 사이에서 일정한 역할을 담당하면서도 어디에도 구애되지 않은 독자세력으로 남고자 하였을 것이며 이로 인해 남만으로 표현되면서 백제의 병합 대상이 되었던 것으로 판단된다.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침彌多禮は百濟による最後の馬韓倂合過程において、最も重要な勢力として知られているが、その位置と倂合時期については、意見が分かれている。考古學的にみると、침彌多禮の位置...

      침彌多禮は百濟による最後の馬韓倂合過程において、最も重要な勢力として知られているが、その位置と倂合時期については、意見が分かれている。考古學的にみると、침彌多禮の位置は全羅南道高興半島一帶であり、倂合時期は6世紀初に判斷される。침彌多禮は、日本書紀では南蠻として記錄されているが、これは百濟に非好意的な南側勢力であったためであり、當然、周변勢力と區分される考古學的資料を殘したと考えられる。したがって침彌多禮は馬韓の最も南側地域のなかで考古學的に他の地域と明確に區分される資料を通してその特異性が證明される必要がある。このようなことを考えると、全羅南道高興半島一帶が注目されなければならない。高興半島一帶は、21個所に至る古墳(群)が存在し、金銅冠帽と金銅飾履が出土された雁洞古墳と、典型的な南海岸式石室の東虎德古墳が代表的である。このような古墳は百濟式石室や榮山江式石室とは異なる構造であり、5世紀末ないしは6世紀初までに發展していると考えられる。文獻記錄にも6世紀初に該當する梁職貢도に百濟の旁小國が竝んでいるため、百濟の周변には半獨自的な勢力が6世紀初までも存在していたことが分かる。高興半島一帶は、南海岸の沿岸航路の要所としての地理的利點を基に成長し、百濟をはじめ倭などの周변勢力と交流していたように思われる。金銅冠帽や金銅飾履のような汎百濟系威製品は百濟との密接な關係を物語っており、倭系の埋葬主體施設や副葬品は倭との關係を反映している。この地域は百濟と倭との間で一定の役割を擔當し、どちらにも拘束されることない、獨自勢力として存在しようとしていたはずであり、これによって南蠻として表現され、百濟による最後の倂合對象になったと判斷される。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李弘稙, "梁職貢圖論考. in: 韓國古代史의 硏究" 新丘文化社 1971

      2 홍보식, "한반도 남부지역의 왜계 요소-기원후 3∼6세기대를 중심으로-" 한국고대사학회 (44) : 21-58, 2006

      3 김석형, "초기조일관계연구" 사회과학원출판사 1966

      4 이청규, "제주도 고고학 연구"

      5 임영진, "전남지역 석실봉토분의 백제계통론 재고" 6 : 1997

      6 임영진, "전남지역 고분측량보고서" 전남대 박물관 2000

      7 이동희, "전남동부지역 복합사회 형성과정의 고고학적 연구" 성균관대학교 2006

      8 이근우, "웅진시대 백제의 남방경역에 대하여" 27 : 1997

      9 정재윤, "웅진ㆍ사비시대 백제의 지방통치 체제" 10 : 1992

      10 천관우, "복원 가야사(중). in: 문학과 지성" 1977

      1 李弘稙, "梁職貢圖論考. in: 韓國古代史의 硏究" 新丘文化社 1971

      2 홍보식, "한반도 남부지역의 왜계 요소-기원후 3∼6세기대를 중심으로-" 한국고대사학회 (44) : 21-58, 2006

      3 김석형, "초기조일관계연구" 사회과학원출판사 1966

      4 이청규, "제주도 고고학 연구"

      5 임영진, "전남지역 석실봉토분의 백제계통론 재고" 6 : 1997

      6 임영진, "전남지역 고분측량보고서" 전남대 박물관 2000

      7 이동희, "전남동부지역 복합사회 형성과정의 고고학적 연구" 성균관대학교 2006

      8 이근우, "웅진시대 백제의 남방경역에 대하여" 27 : 1997

      9 정재윤, "웅진ㆍ사비시대 백제의 지방통치 체제" 10 : 1992

      10 천관우, "복원 가야사(중). in: 문학과 지성" 1977

      11 노중국, "백제정치사연구" 일조각 1988

      12 성낙준, "백제의 지방통치와 전남지방 고분의 상관성. in: 백제의 중앙과 지방" 충남대 백제연구소 1997

      13 유원재, "백제의 영역변화와 지방통치" 28 : 1998

      14 이기동, "백제의 발흥과 대왜국관계의 성립. in: 고대한일문화교류연구" 한국정신문화연구원 1990

      15 이영식, "백제의 가야진출과정" 가락국사적개발연구원 7 : 1995

      16 김태식, "백제의 가야지역 관계사 : 교섭과 정복. in: 백제의 중앙과 지방" 충남대 백제연구소 1996

      17 이기동, "백제사회의 지역공동체와 국가권력" 26 : 1996

      18 이도학, "백제 집권국가 형성과정 연구" 한양대학교 1991

      19 김영심, "백제 지방통치체제 연구" 서울대학교 1997

      20 박현숙, "백제 지방통치체제 연구" 고려대학교 1997

      21 전영래, "백제 남방경역의 변천" 1985

      22 이도학, "백제 고대국가 연구" 일지사 1995

      23 임영진, "묘제를 통해 본 마한의 지역성과 변천 과정" 3 : 2010

      24 천관우, "마한제국의 위치 시론" 9 : 1979

      25 임영진, "마한의 소멸과정에 대한 고고학적 고찰" 1 : 2000

      26 노중국, "마한의 성립과 변천" 10 : 1987

      27 이기동, "마한영역에서의 백제의 성장" 10 : 1987

      28 박찬규, "마한세력의 분포와 변천" 1989

      29 임영진, "길두리 안동고분 출토 금동관의 의의. in: 충청학과 충청문화" 2006

      30 김기섭, "근초고왕대 남해안진출설에 대한 재검토" 백제문화연구소 (24) : 3-26, 1995

      31 이병도, "근초고왕 척경고. in: 한국고대사연구" 박영사 1976

      32 목포대박물관, "국도27호선 문화유적 발굴조사 지도위원 회의자료"

      33 王健群, "광개토왕비 연구" 역민사 1985

      34 천관우, "광개토왕릉비문 재론. in: 전해종박사회갑기념사학논총" 일조각 1979

      35 순천대학교박물관, "고흥군 문화유적 분포지도"

      36 서성훈, "고흥 장수제 지석묘 조사" 국립광주박물관 1984

      37 전남대학교박물관, "고흥 안동고분 발굴조사 지도위원 회의자료"

      38 (재)호남문화재연구원, "고흥 방사유적"

      39 문안식, "고흥 길두리고분 출토 金銅冠과 백제의 王·侯制" 한국상고사학회 55 (55): 33-52, 2007

      40 임영진, "고흥 길두리 안동고분 시굴조사 개보" 호남문화재연구원 7 : 2006

      41 연민수, "고대한일관계사" 혜안 1988

      42 김현구, "고대 한일교섭사의 제문제" 일지사 2009

      43 강봉룡, "고대 동북아 연안항로와 영산강ㆍ낙동강유역" 2006

      44 江上波夫, "騎馬民族國家" 中央公論社 1968

      45 郭長根, "蟾津江 流域으로 百濟의 進出過程 硏究" 호남고고학회 26 : 89-123, 2007

      46 조근우, "耽津江流域 古墳의 性格" 호남고고학회 32 : 103-135, 2009

      47 白井克也, "百濟土器ㆍ馬韓土器と倭. in: 檢證古代の河內と百濟" 枚方市 2001

      48 三上次男, "滿鮮原始墳墓の硏究" 吉川弘文館 1961

      49 오동선, "湖南地域 甕棺墓의 變遷" 호남고고학회 30 : 101-138, 2008

      50 梅原末治, "朝鮮古文化綜鑑" 養德社 1947

      51 "晋書"

      52 "日本書紀"

      53 山尾幸久, "日本古代王權形成史論" 岩波書店 1983

      54 水野祐, "日本古代の國家形成" 講談社 1967

      55 鈴木靖民, "好太王碑の倭の記事と倭の實體. in: 好太王碑と集安の壁畵古墳" 木耳社 1988

      56 榧本龜生, "南朝鮮小鹿島發見の多紐細文鏡其他" 6 (6): 1935

      57 末松保和, "任那興亡史" 吉川弘文館 1956

      58 井上秀雄, "任那日本府と倭" 東出版 1973

      59 "三國史記"

      60 李鎔賢, "『梁職貢圖』 百濟國使條の旁小國" 37 : 1999

      61 김현구, "『神功紀』 가라칠국평정에 관한 일고찰" 39 : 1991

      62 대한문화유산연구센터, "「고흥 장덕리 장동유적」 (지도위원 회의자료)"

      63 이현혜, "4세기 가야사회의 교역체계의 변천" 지식산업사 1 : 1988

      64 이현혜, "4~5세기 영산강유역 토착세력의 성격" 166 : 2000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3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재인증) KCI등재
      2019-12-01 평가 등재후보로 하락 (계속평가) KCI등재후보
      2016-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2-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11-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9-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89 0.89 0.92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85 0.83 1.542 0.5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