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해킹에 대한 윤리적 검토 = A Critical Examination of the Ethical Debate between Pros and Cons concerning Hacking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4098589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I will analyze the problem of hacking arising from the misuse and overuse of advanced information-technology related computers. First of all, I will make the meaning of hacking clear; and, then, critically examine the ethical debate between pros and cons concerning hacking. I will conclude that hacking is morally wrong because it is attended with invasion of privacy, injury of intellectural property and trespass.
      번역하기

      I will analyze the problem of hacking arising from the misuse and overuse of advanced information-technology related computers. First of all, I will make the meaning of hacking clear; and, then, critically examine the ethical debate between pros and c...

      I will analyze the problem of hacking arising from the misuse and overuse of advanced information-technology related computers. First of all, I will make the meaning of hacking clear; and, then, critically examine the ethical debate between pros and cons concerning hacking. I will conclude that hacking is morally wrong because it is attended with invasion of privacy, injury of intellectural property and trespass.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컴퓨터 관련 정보통신기술의 오용과 남용으로 발생하는 주요 문제들 중에 해킹 문제와 관련된 것들을 분석 검토한다. 우선 ‘해킹’의 의미를 명료화한다. 둘째로, 해킹의 사례들을 분석하고, 그 경우들에 대한 도덕적 정당화가 가능하다고 보는 경우와 그렇지 않다고 보는 경우에 대해서 비판적으로 검토한다. 결론적으로, 해킹 행위가 프라이버시 침해, 지적 소유권 훼손을 수반하고 있고, 들어갈 권리를 갖지 못하는 다른 사람의 영역에 침입하고 있기 때문에 도덕적으로 정당화될 수 없다고 주장한다.
      번역하기

      컴퓨터 관련 정보통신기술의 오용과 남용으로 발생하는 주요 문제들 중에 해킹 문제와 관련된 것들을 분석 검토한다. 우선 ‘해킹’의 의미를 명료화한다. 둘째로, 해킹의 사례들을 분석하...

      컴퓨터 관련 정보통신기술의 오용과 남용으로 발생하는 주요 문제들 중에 해킹 문제와 관련된 것들을 분석 검토한다. 우선 ‘해킹’의 의미를 명료화한다. 둘째로, 해킹의 사례들을 분석하고, 그 경우들에 대한 도덕적 정당화가 가능하다고 보는 경우와 그렇지 않다고 보는 경우에 대해서 비판적으로 검토한다. 결론적으로, 해킹 행위가 프라이버시 침해, 지적 소유권 훼손을 수반하고 있고, 들어갈 권리를 갖지 못하는 다른 사람의 영역에 침입하고 있기 때문에 도덕적으로 정당화될 수 없다고 주장한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해킹, 안전지대는 없다"

      2 정광수, "첨단 정보기술사회의 프라이버시 문제" 38 : 71-90, 2005

      3 "인터넷 뱅킹 첫 해킹사용자 보안관리 절실(머니투데이)"

      4 송경준, "북한의 IT교육 현황과 특징" 전북대학교 대학원 2005

      5 "동영상 강의자료 해킹 30대 영장(부산/연합뉴스)"

      6 PC지기, "국내 해킹 사고 매년 급속 증가"

      7 http://yahoo.pcziggy.co.kr, "개인․기업 60~70% 해킹 노출(디지털타임스)"

      8 Rachels, J, "Why Privacy is Important(in Ethical Issues in the Use of Computers)" Belmont, California: Wadsworth Publishing Company 194-201, 1975

      9 Severson, R, "The Principles of Information Ethics=보윤리학의 기본원리" 서울: 철학과 현실사 1997

      10 Steele. G., "The New Hacker’s Dictionary 2nd" Cambridge, Massachusetts: The MIT Press 1993

      1 "해킹, 안전지대는 없다"

      2 정광수, "첨단 정보기술사회의 프라이버시 문제" 38 : 71-90, 2005

      3 "인터넷 뱅킹 첫 해킹사용자 보안관리 절실(머니투데이)"

      4 송경준, "북한의 IT교육 현황과 특징" 전북대학교 대학원 2005

      5 "동영상 강의자료 해킹 30대 영장(부산/연합뉴스)"

      6 PC지기, "국내 해킹 사고 매년 급속 증가"

      7 http://yahoo.pcziggy.co.kr, "개인․기업 60~70% 해킹 노출(디지털타임스)"

      8 Rachels, J, "Why Privacy is Important(in Ethical Issues in the Use of Computers)" Belmont, California: Wadsworth Publishing Company 194-201, 1975

      9 Severson, R, "The Principles of Information Ethics=보윤리학의 기본원리" 서울: 철학과 현실사 1997

      10 Steele. G., "The New Hacker’s Dictionary 2nd" Cambridge, Massachusetts: The MIT Press 1993

      11 Stallman, R, "The GNU Manifesto(in GNU EMacs Manual)" Cambridge, MA: Free Software Foundation 239-248, 1986

      12 Nissenbaum, H, "Protecting Privacy in an Information Age: the Problem of Privacy in Public" 17 (17): 559-96, 1998

      13 Parent, W. A, "Privacy, Morality, and the Law" 12 (12): 269-288, 1983

      14 Westin, A, "Privacy in the Modern Democratic State( in Ethical Issues in the Use of Computers)" Belmont, California: Wadsworth Publishing Company 184-194, 1985

      15 Schoeman, F. D, "Privacy and Social Freedom" Cambridge: Cambridge University Press 1992

      16 Introna, L. D, "Privacy and Computer: Why We Need Privacy in the Information Society" 28 (28): 259-275, 1997

      17 Langford, D, "Practical Computer Ethics" London: McGraw-Hill Book Company 1995

      18 Bass, J, "In the belly of the beast(Information Age)" Melbourne, Australia 36-40, 1995

      19 Frankena, W. K, "Ethics= 윤리" New Jersey: Prentice-Hall, Inc;서울: 대한기독교서회 1973

      20 Johnson D. G., "Ethical Issues in the Use of Computers" Belmont, California: Wadsworth Publishing Company 1985

      21 Williams, M. B, "Ethical Issues in Computing: Work, Privacy, and Justice(in Computers, Ethics, and Society)" New York: Oxford University Press 3-19, 1997

      22 Weckert, J, "Computer and Information Ethics" Westport, Connecticut: Greenwood Press 1997

      23 Forester, T, "Computer Ethics-Cautionary Tales and Ethical Dilemmas in Computing 2nd" Cambridge,Massachusetts: The MIT Press 1994

      24 Spafford, E. H, "Are Hacker Break-ins Ethical(in Ethical Issues in the Use of Computers)" Belmont, California: Wadsworth Publishing Company 77-88, 1992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6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3-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4-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3-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53 0.53 0.5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51 0.47 1.284 0.12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