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추론적 이해 능력 향상을 위한 학습활동 구안 및 지도 방안 = Planning Learning Activities and Teaching Methods for Improving Inference Comprehension Ability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8532730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연구목적 추론적 이해는 읽기이해 과정에 중추적인 역할을 하는 것으로, 이러한 추론적 이해 능력 향상을위해 추론이라는 사고 기제를 효과적으로 반영한 교수 학습 방안을 마련하고 학습활동을 적절하게 구현할필요가 있다.
      연구방법 추론적 이해 능력 향상을 위한 학습활동 구안을 위해 추론적 이해의 개념과 유형, 학습 자료로활용할 수 있는 신문 기사의 양식적 특성 등을 파악하였다.
      연구결과 신문 기사의 표제와 부제, 전문, 본문 등의 양식적 요소와 추론의 유형을 결합하여 추론적 이해능력 향상을 위한 학습활동과 지도 방안을 구안하였다.
      결론 추론적 이해 능력 향상을 위한 교수 학습 자료로서 신문 기사의 표제와 부제 등은 추론을 위한단서로 활용하기에 충분하다. 신문 기사의 표제와 부제를 활용한 학습활동은 추론의 방향, 추론의 범위,추론의 방법 등에 따라 유형화하여 구안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전방 추론과 후방 추론, 중심 내용 추론과뒷받침 내용 추론, 배경지식이나 기사 내용 활용 추론 등을 유형화의 범주로 삼을 수 있다. 신문 기사는표제와 부제와 같은 독특한 양식적 요소 외에도 삶과 밀접한 읽기 자료로서 읽기에의 접근성, 흥미와동기 유발 등의 측면에서 활용도가 높다. 따라서 이를 적극적으로 활용하여 학습활동을 구안하고 지도방안을 마련하는 것은 추론적 이해 능력 향상을 위한 효율적인 방법이 될 수 있다.
      번역하기

      연구목적 추론적 이해는 읽기이해 과정에 중추적인 역할을 하는 것으로, 이러한 추론적 이해 능력 향상을위해 추론이라는 사고 기제를 효과적으로 반영한 교수 학습 방안을 마련하고 학습...

      연구목적 추론적 이해는 읽기이해 과정에 중추적인 역할을 하는 것으로, 이러한 추론적 이해 능력 향상을위해 추론이라는 사고 기제를 효과적으로 반영한 교수 학습 방안을 마련하고 학습활동을 적절하게 구현할필요가 있다.
      연구방법 추론적 이해 능력 향상을 위한 학습활동 구안을 위해 추론적 이해의 개념과 유형, 학습 자료로활용할 수 있는 신문 기사의 양식적 특성 등을 파악하였다.
      연구결과 신문 기사의 표제와 부제, 전문, 본문 등의 양식적 요소와 추론의 유형을 결합하여 추론적 이해능력 향상을 위한 학습활동과 지도 방안을 구안하였다.
      결론 추론적 이해 능력 향상을 위한 교수 학습 자료로서 신문 기사의 표제와 부제 등은 추론을 위한단서로 활용하기에 충분하다. 신문 기사의 표제와 부제를 활용한 학습활동은 추론의 방향, 추론의 범위,추론의 방법 등에 따라 유형화하여 구안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전방 추론과 후방 추론, 중심 내용 추론과뒷받침 내용 추론, 배경지식이나 기사 내용 활용 추론 등을 유형화의 범주로 삼을 수 있다. 신문 기사는표제와 부제와 같은 독특한 양식적 요소 외에도 삶과 밀접한 읽기 자료로서 읽기에의 접근성, 흥미와동기 유발 등의 측면에서 활용도가 높다. 따라서 이를 적극적으로 활용하여 학습활동을 구안하고 지도방안을 마련하는 것은 추론적 이해 능력 향상을 위한 효율적인 방법이 될 수 있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박수자, "추론적 읽기 지도의 내용 연구" 한국어교육학회 (120) : 169-200, 2006

      2 류덕제, "초등 국어과 교육론" 보고사 2012

      3 정부자 ; 김영태 ; 윤효진, "읽기이해검사의 형식에 따른 관련 요인 탐색: 초등학교 3-4학년을 대상으로" 한국언어청각임상학회 22 (22): 66-75, 2017

      4 김봉순, "읽기교육에서 텍스트 의미 추론의 이론과 실제" 한국텍스트언어학회 38 : 1-25, 2015

      5 김관규 ; 김진원, "인쇄신문과 인터넷신문의 기사 표제 차이에 관한 연구" 한국지역언론학회 10 (10): 39-72, 2010

      6 조수선, "온라인 신문 기사의 제목과 개요 효과" 한국언론학회 49 (49): 5-32, 2005

      7 정여훈, "신문 제목의 유형 및 그 실현 양상" 한국사회언어학회 14 (14): 85-114, 2006

      8 교육부, "국어과 교육과정"

      9 Ricketts, J., "Vocabulary is important for some, but not all reading skills" 11 (11): 235-257, 2007

      10 McNamara, D. S., "Toward a comprehensive model of comprehension" 51 : 297-384, 2009

      1 박수자, "추론적 읽기 지도의 내용 연구" 한국어교육학회 (120) : 169-200, 2006

      2 류덕제, "초등 국어과 교육론" 보고사 2012

      3 정부자 ; 김영태 ; 윤효진, "읽기이해검사의 형식에 따른 관련 요인 탐색: 초등학교 3-4학년을 대상으로" 한국언어청각임상학회 22 (22): 66-75, 2017

      4 김봉순, "읽기교육에서 텍스트 의미 추론의 이론과 실제" 한국텍스트언어학회 38 : 1-25, 2015

      5 김관규 ; 김진원, "인쇄신문과 인터넷신문의 기사 표제 차이에 관한 연구" 한국지역언론학회 10 (10): 39-72, 2010

      6 조수선, "온라인 신문 기사의 제목과 개요 효과" 한국언론학회 49 (49): 5-32, 2005

      7 정여훈, "신문 제목의 유형 및 그 실현 양상" 한국사회언어학회 14 (14): 85-114, 2006

      8 교육부, "국어과 교육과정"

      9 Ricketts, J., "Vocabulary is important for some, but not all reading skills" 11 (11): 235-257, 2007

      10 McNamara, D. S., "Toward a comprehensive model of comprehension" 51 : 297-384, 2009

      11 Baskette, F. K., "The Art of Editing" Macmillan 1986

      12 Barrett, T. C., "Teaching reading in the middle grades" Addison-wesley 51-58, 1976

      13 Graber, D. A, "Processing the news: How people tame th infirmation tide" Longma 1988

      14 최지희, "NIE와 독서교육" 1 : 115-128, 2009

      15 van den Broek, P., "Investigations of inferential processes in reading : A theoretical and methodological integration" 16 : 169-180, 1993

      16 Cain, K., "Inference making ability and its relation to comprehension failure in young children" 11 (11): 489-503, 1999

      17 Long, D. L., "Individual differences in the time course of inferential processing" 20 : 1456-1470, 1994

      18 Samuelstuen, M. S., "Decoding, knowledge, and strategies in comprehension of expository tex" 46 (46): 107-117, 2005

      19 Singer, M., "Constructing and validating motive bridging inferences" 30 (30): 1-38, 1996

      20 Trabasso, T., "Conscious understanding duringcomprehension" 21 (21): 255-287, 1996

      21 van den Broek, P., "Connecting cognitive theory and assessment : Measuring individual differences in reading comprehension" 41 (41): 315-326, 2012

      22 Cain, K., "Children's reading comprehension ability : Concurrent prediction by working memory, verbal ability, and component skills" 96 (96): 31-42, 2004

      23 Magliano, J. P., "Assessing reading skill with a think-aloud procedure and latent semantic analysis" 21 (21): 251-283, 2003

      24 Magliano, J. P., "Assessing comprehension during reading with the Reading Strategy Assessment Tool(RSAT)" 6 (6): 131-154, 2011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