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여성NGO의 역할과 조직의 자율성 간의 관계 연구 = A Study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Roles of Women NGOs and Organizational Autonomy

      한글로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는 NGO 조직의 개념적 특성으로부터 도출되는 공공성에 주목하고, 여성NGO 조직이 이러한 공공성을 확대해가는 역할과 활동목적이조직의 자율성에 따라 차이가 나타나는지를 설문조사 및 인터뷰조사 자료를통해 분석하였다. 분석결과, 여성NGO 조직의 주요 활동목적들이 인적, 재정적 자율성에 따라 차이가 있음을 확인하였다. 구체적으로 인적 자율성의 경우, 취약계층 여성의 복지증진과 인권증진 활동은 상근 활동가 수, 성 평등 문화 확산 및 인식제고 활동은 상근 활동가 수와 상근 활동가의근속연수, 여성의 지위향상을 위한 활동은 월평균 회원 수, 공동체 풀뿌리여성운동은 비상근 활동가의 근속연수에 따라 차이가 나타났다. 재정적자율성의 경우, 성 평등 문화 확산 및 인식제고를 위한 활동들은 조직이외부의 간섭이나 의존 없이 자율적으로 활동할 수 있도록 이를 뒷받침하는자율적 예산규모가 중요하게 나타났으며, 이러한 조직의 자율적 예산규모중에서 여성의 경제적 자립 및 경제역량 강화, 여성의 건강권 확립을 위한활동들은 후원금 비중, 공동체 풀뿌리 여성운동은 회비 비중에 따라 차이가 나타났다. 이러한 일련의 분석들을 통해, 본 연구는 여성NGO 조직의활동들이 활동기반이 되는 조직의 자율성에 따라 확장되거나 제약받을 수있음을 경험적으로 확인하였다.
      번역하기

      본 연구는 NGO 조직의 개념적 특성으로부터 도출되는 공공성에 주목하고, 여성NGO 조직이 이러한 공공성을 확대해가는 역할과 활동목적이조직의 자율성에 따라 차이가 나타나는지를 설문조...

      본 연구는 NGO 조직의 개념적 특성으로부터 도출되는 공공성에 주목하고, 여성NGO 조직이 이러한 공공성을 확대해가는 역할과 활동목적이조직의 자율성에 따라 차이가 나타나는지를 설문조사 및 인터뷰조사 자료를통해 분석하였다. 분석결과, 여성NGO 조직의 주요 활동목적들이 인적, 재정적 자율성에 따라 차이가 있음을 확인하였다. 구체적으로 인적 자율성의 경우, 취약계층 여성의 복지증진과 인권증진 활동은 상근 활동가 수, 성 평등 문화 확산 및 인식제고 활동은 상근 활동가 수와 상근 활동가의근속연수, 여성의 지위향상을 위한 활동은 월평균 회원 수, 공동체 풀뿌리여성운동은 비상근 활동가의 근속연수에 따라 차이가 나타났다. 재정적자율성의 경우, 성 평등 문화 확산 및 인식제고를 위한 활동들은 조직이외부의 간섭이나 의존 없이 자율적으로 활동할 수 있도록 이를 뒷받침하는자율적 예산규모가 중요하게 나타났으며, 이러한 조직의 자율적 예산규모중에서 여성의 경제적 자립 및 경제역량 강화, 여성의 건강권 확립을 위한활동들은 후원금 비중, 공동체 풀뿌리 여성운동은 회비 비중에 따라 차이가 나타났다. 이러한 일련의 분석들을 통해, 본 연구는 여성NGO 조직의활동들이 활동기반이 되는 조직의 자율성에 따라 확장되거나 제약받을 수있음을 경험적으로 확인하였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study focuses on publicness as the fundamental role and function of NGO and aims to explore the enlargement of the women NGO’s fundamental roles. This study conducts a survey and indepth interview of women NGOs in Seoul to analyze women NGO’s fundamental role and autonomy. Based on the analysis results, women NGOs pursue the publicness role through support activities for vulnerable social group and encourage the volunteerism of women through educational training program. However, lack of human and financial resources are challenges to the women NGO’s fundamental activities. In conclusion, this study suggests women NGO’s autonomy influence on women NGO’s fundamental roles.
      번역하기

      This study focuses on publicness as the fundamental role and function of NGO and aims to explore the enlargement of the women NGO’s fundamental roles. This study conducts a survey and indepth interview of women NGOs in Seoul to analyze women NGO’s...

      This study focuses on publicness as the fundamental role and function of NGO and aims to explore the enlargement of the women NGO’s fundamental roles. This study conducts a survey and indepth interview of women NGOs in Seoul to analyze women NGO’s fundamental role and autonomy. Based on the analysis results, women NGOs pursue the publicness role through support activities for vulnerable social group and encourage the volunteerism of women through educational training program. However, lack of human and financial resources are challenges to the women NGO’s fundamental activities. In conclusion, this study suggests women NGO’s autonomy influence on women NGO’s fundamental roles.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I. 서 론
      • Ⅱ. 이론적 논의
      • Ⅲ. 연구설계
      • Ⅳ. 분석결과
      • Ⅴ. 결 론
      • I. 서 론
      • Ⅱ. 이론적 논의
      • Ⅲ. 연구설계
      • Ⅳ. 분석결과
      • Ⅴ. 결 론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정현백, "한국의 여성운동 60년 -분단과 근대성 사이에서-" 한국여성사학회 (4) : 1-42, 2006

      2 윤석인, "한국여성 NGO의 민주성과 조직활동의 적절성에 관한 연구" 연세대학교 대학원 2000

      3 홍성만, "한국 행정학 분야에서 NGO연구의 활용수준 분석과 전망" 한국행정연구원 14 (14): 265-297, 2006

      4 장미경, "한국 여성운동과 젠더 정치" 전남대학교 출판부 2006

      5 신상숙, "한국 반성폭력운동의 제도화와 자율성에 관한 연구" 서울대학교 대학원 2007

      6 허성우, "한국 ‘진보’ 여성운동 위기의 재구성: 포용적 연대의 여성주의정치학, In 성평등 사회를 위한 진단과 좌표 찾기: 여성운동의 방향과 전망을 찾기 위한 비전보고서" 2006

      7 박동서, "한국 N G O 의 활동방향" 2000

      8 김종순, "한국 N G O 의 실태와 발전방향 : 민간환경단체를 중심으로" 8 (8): 68-88, 1999

      9 김영남, "풀뿌리여성운동을 통해 본 여성주의 시민성의 확장에 관한 연구 : 대전여민회 활동을 중심으로" 성공회대학교 NGO대학원 2012

      10 허란주, "페미니즘과 자율" 19 : 227-242, 1993

      1 정현백, "한국의 여성운동 60년 -분단과 근대성 사이에서-" 한국여성사학회 (4) : 1-42, 2006

      2 윤석인, "한국여성 NGO의 민주성과 조직활동의 적절성에 관한 연구" 연세대학교 대학원 2000

      3 홍성만, "한국 행정학 분야에서 NGO연구의 활용수준 분석과 전망" 한국행정연구원 14 (14): 265-297, 2006

      4 장미경, "한국 여성운동과 젠더 정치" 전남대학교 출판부 2006

      5 신상숙, "한국 반성폭력운동의 제도화와 자율성에 관한 연구" 서울대학교 대학원 2007

      6 허성우, "한국 ‘진보’ 여성운동 위기의 재구성: 포용적 연대의 여성주의정치학, In 성평등 사회를 위한 진단과 좌표 찾기: 여성운동의 방향과 전망을 찾기 위한 비전보고서" 2006

      7 박동서, "한국 N G O 의 활동방향" 2000

      8 김종순, "한국 N G O 의 실태와 발전방향 : 민간환경단체를 중심으로" 8 (8): 68-88, 1999

      9 김영남, "풀뿌리여성운동을 통해 본 여성주의 시민성의 확장에 관한 연구 : 대전여민회 활동을 중심으로" 성공회대학교 NGO대학원 2012

      10 허란주, "페미니즘과 자율" 19 : 227-242, 1993

      11 이혜숙, "지방자치와 지역여성의 전망 : 지역여성정책과 지역여성운동의동학" 집문당 2011

      12 조주현, "지구화, 텅 빈 생명, 페미니즘 :공공성의 변화와 여성운동의대응" 한양대학교 제3섹터연구소 5 (5): 63-91, 2007

      13 원숙연, "젠더-거버넌스의 가능성 탐색: 성매매방지법 제정과정을 중심으로" 한국여성학회 22 (22): 85-124, 2006

      14 서두원, "젠더 제도화의 결과와 한국 여성운동의 동학" 아세아문제연구소 55 (55): 162-192, 2012

      15 임승빈, "정부와 N G O" 대영문화사 2015

      16 김준기, "정부- N G O 관계의 이론적 고찰 : 자원의존모형의 관점에서" 9 (9): 5-28, 2000

      17 홍미희, "인천지역 여성단체의 현황과 여성정책과정에서의역할" 인천발전연구원 2007

      18 조 형, "여성주의가치와 모성리더십" 이화여자대학교출판부 2005

      19 김정한, "여성단체 활동 활성화를 위한연구회 보고서" 한국여성개발원 1985

      20 한국여성개발원, "여성단체 조직과 운영"

      21 박상필, "수동사회에서 능동사회로의 변화: N G O 의 역할과 한계" 9 (9): 1-28, 2000

      22 김희경, "서울시 여성N G O 현황분석 및 지원방안" 서울시여성가족재단 2014

      23 박상필, "비영리단체(N PO )의 개념틀 정립을 위한 이론적 논의" 8 (8): 159-233, 1999

      24 옥원호, "로컬거버넌스를 위한 지역NGO의 과제" 한국지방정부학회 6 (6): 7-29, 2002

      25 정현백, "경기도 여성단체활성화방안에 관한 연구" 1998

      26 안태윤, "경기도 여성단체 활동현황 및 활성화 방안 연구" 경기도가족여성연구원 2012

      27 Anheier, H.K, "Volunteering in cross-national perspective : Initial Comparisons" 62 (62): 43-65, 1999

      28 Wilson, J., "Volunteering" 26 : 215-240, 2000

      29 Katz, D., "The Social Psychology of Organizations" Wiley 1978

      30 Woods, T. B., "The Rhetoric of Volunteerism: Strategies to Recruit and Retain Volunteers in Nonprofit Organizations" Georgia State University 2006

      31 Pfeffer, J., "The External Control of Organizations" Stanford University Press 2003

      32 Bozeman, B., "Public‐value failure : When efficient markets may not do" 62 (62): 145-161, 2002

      33 Moulton, S., "Preserving the Publicness of the Nonprofit Sector : Resources, Roles, and Public Values" 41 (41): 656-686, 2012

      34 Salamon, L. M., "Of Market failure, Voluntary failure, and Third-party government : Toward a theory of governmentnonprofit relations in the modern welfare state" 16 (16): 29-49, 1987

      35 강상욱, "NGO의 성장과 인적자원의 특성에 관한 연구" 한국행정연구원 11 (11): 3-31, 2002

      36 김희경, "NGO 조직특성과 정부와의 협력 가능성: 서울시 여성NGO를 중심으로" 한국행정연구원 24 (24): 129-151, 2015

      37 김준기, "N G O 연구에 대한 비판적 고찰" 39 (39): 195-233, 2001

      38 이근주, "N G O 실패와 정부의 지원에 관한 연구" 34 (34): 291-307, 2000

      39 Weber, Max, "Max Weber’s Proposal for the sociological Study of Voluntary Associations" 1 (1): 20-23, 1972

      40 Johansen, M., "Managerial Networking in Nonprofit Organizations : The Impact of Networking on Organizational and Advocacy Effectiveness" 73 (73): 355-363, 2013

      41 Benington, J., "From private choice to public value"

      42 Scott, W. R., "Financial Accounting Theory" Pearson Education Canada Inc 2003

      43 Fischer, R. L. W., "Exploring the revenue mix of nonprofit organazations: Does it relate to publicness?" 40 (40): 662-681, 2011

      44 Froelich, K. A., "Diversification of Revenue Strategies : Evolving Resource Dependence in Nonprofit Organizations" 28 (28): 246-268, 1999

      45 Dutta-Bergman, M. J., "Describing Volunteerism : The Theory of Unified Responsibility" 16 (16): 353-369, 2004

      46 Moore, "Creating Public Value : Strategic Management in Government" Harvard University Press 1995

      47 Knoke, D., "Commitment and Detachment in Voluntary Associations" 46 (46): 141-158, 1981

      48 Lerner, Max, "America’s Voluntary Spirit : A Book of Reading" The Foundation Center 81-90, 1983

      49 Salamon, L, L. L., "America's Nonprofit Sector : A Primer" The Foundation Center 1999

      50 Valentinov, V., "Accountability and the Public Interest in the Nonprofit Sector : A Conceptual Framework" 27 (27): 32-42, 2011

      51 박인혜, "1980년대 한국의 '새로운' 여성운동의 주체 형성 요인 연구: 크리스챤 아카데미의 '여성의 인간화' 담론과 '여성사회교육'을 중심으로" 한국여성학회 25 (25): 141-174, 2009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2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1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6-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2-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8-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7-08-02 학회명변경 한글명 : 한국여성개발원 -> 한국여성정책연구원 KCI등재후보
      2006-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1.15 1.15 1.26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1.36 1.42 1.559 0.2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