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보행친화도시 조성을 위한 가로공간 보행증진에 관한 연구 : 행정중심복합도시 1지구 상업·주거지역을 대상으로 = A Study on the Street Space Walking Enhancement for Establishing a Pedestrians-Friendly City : Centering on the Commercial and Residential Area No.1 in the Administrative-Centered City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T14364269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According to an expansion of industrialization in Korea after 1960s, the Korean economy entered into a stage of rapid development, calling “the Miracle on the Han River”, and also a rapid increase of number of automobiles caused to start an appearance of traffic situation with priority of cars on city street, which led to appear various problems on modern cities as well, such as traffic jam, air pollution, noise pollution, and mass consumption of natural resources. However, after then, a rapid increase of the economic level and the consciousness level has brought to urge the people to put importance on living environments gradually, to reflect themselves a change of paradigm of the city environment being changed from centering on cars into centering on pedestrians, to improve a quality of walk environments which become walk friendly streets for weak pedestrians especially including women, children, elderly persons, and handicapped persons in order to induce a community unification by guaranteeing them with an general movement right.

      This study was set up for its object as the street spaces around the Commercial and Residential Area No.1 located in the Administrative-Centered City, Sejong Special Autonomic City to analyze and define a status of the walkways and the street spaces in order to suggest a walking enhancement plan.

      The study was conducted pursuant to the following methods : The basic data of the areas under survey were arranged by utilizing an internet satellite map and a numerical map, a practical actual survey for the sites were done for the street status and the walking status on the areas, and then a questionnaire survey(50 copies of primary questionnaire survey and 280 copies of main questionnaire survey) was conducted for users of street spaces on the areas.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with statistical methods including reliability analysis, frequency analysis, factor analysis, correlation analysis, and regression analysis by utilizing SPSS 22.0 for Windows, a statistical analysis program.

      Results of the study are summarized as follows :

      First, the survey results of walking service levels show : all of the 4 areas under survey are Grade 1, the highest level, the arrangement of green belts are relatively sufficient. Major problems of the walking streets on the street spaces include: 1) deficient arrangement of CCTV (Closed-Circuit Television), 2) insufficient arrangement of speed reducing facilities, 3) deficient number of roadside trees and shadow area on some of the streets, 4) deficient number of illuminations on some of the streets, 5) too lack of rest areas, 6) incompletely constructed facilities relating to the bus stops on some of the streets, and the status of the plants on the streets is not good and some of the bushes and forest trees have not been managed sufficiently.

      Second, the results show : the general satisfaction for the walking streets on the survey areas is 3.20 scores, Satisfactions for the walking streets on the 4 areas are good in all. The average satisfaction of “Gradient of the walking streets is most high among the 28 items relating to the satisfactions for walking streets. The following 7 items including “Arrangement of CCTV”, “Information system for major facilities”, “Construction of shadow areas”, “Arrangement of rest areas”, “Information system for public transportation”, “Use of convenient facilities”, and “Use of bus stops” are low in satisfaction.

      Third, the results of correlation analysis show a positive correlation in all of the factors and the entire satisfaction. The factors obtained from the factor analysis have exercised impact upon the satisfactions for the walking streets in the commercial area are arranged in the order of higher degrees in the following : Design > Convenience > Roadside trees and rest areas > Safety > Safety protective facilities > Transportation and information facilities > Continuity > Basic state of road surfaces > Comfortability. The factors have exercised impact upon the satisfactions for the walking streets in the residential area are arranged in the order of higher degrees in the following : Transportation and information facilities > Basic state of road surfaces > Comfortability > Convenience > Continuity > Design > Illuminations and crime preventive facilities > Safety > Roadside trees and rest areas.

      Fourth, the results show : major plans for walking enhancement cover the following, when make a new design of the walking streets on the street space, it will be necessary for combining new design factors and district features in order to have a vitality and an attractive force on the street spaces, for reinforcing a management of street spaces and green belts, and for making the arrangement of landscape facilities to be perfect in order to enhance a quality of street landscape. And also it will be required to complete commercial facilities, convenient facilities, rest areas, and safety facilities and to enhance a convenience, a comfortability, and a safety of the street spaces, to lengthen a time that residents remain on the roadside trees, to reinforce a convenience of public transportation system, and to reduce uses of owner-driven automobiles.

      Fifth, the results of the study suggest the following polices relating to walkway : when establish an important policy, it will be needed to take into account of opinions from actual users and experts, and practical situations of the city, to make the central government and the district autonomic body to increase a financing for walking enhancement project. And also it will be required for reinforcing a promotion and distribution of walking, for making the residents to participate together in management of the street spaces, and for establishing a voluntary service association that will be organized of the residents.

      It has been judged by us, when study objects will be expanded further widely and a number of areas under survey will be increased in future studies to obtain more detailed data, the results will be more close to actual situations and accuracies of satisfactions will be improved further more. When parks, residential areas, riverside green belts and the like will be included in a future study on walking streets, not restraining the limit of street spaces, the applications for the study results will be increased a step further.
      번역하기

      According to an expansion of industrialization in Korea after 1960s, the Korean economy entered into a stage of rapid development, calling “the Miracle on the Han River”, and also a rapid increase of number of automobiles caused to start an appear...

      According to an expansion of industrialization in Korea after 1960s, the Korean economy entered into a stage of rapid development, calling “the Miracle on the Han River”, and also a rapid increase of number of automobiles caused to start an appearance of traffic situation with priority of cars on city street, which led to appear various problems on modern cities as well, such as traffic jam, air pollution, noise pollution, and mass consumption of natural resources. However, after then, a rapid increase of the economic level and the consciousness level has brought to urge the people to put importance on living environments gradually, to reflect themselves a change of paradigm of the city environment being changed from centering on cars into centering on pedestrians, to improve a quality of walk environments which become walk friendly streets for weak pedestrians especially including women, children, elderly persons, and handicapped persons in order to induce a community unification by guaranteeing them with an general movement right.

      This study was set up for its object as the street spaces around the Commercial and Residential Area No.1 located in the Administrative-Centered City, Sejong Special Autonomic City to analyze and define a status of the walkways and the street spaces in order to suggest a walking enhancement plan.

      The study was conducted pursuant to the following methods : The basic data of the areas under survey were arranged by utilizing an internet satellite map and a numerical map, a practical actual survey for the sites were done for the street status and the walking status on the areas, and then a questionnaire survey(50 copies of primary questionnaire survey and 280 copies of main questionnaire survey) was conducted for users of street spaces on the areas.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with statistical methods including reliability analysis, frequency analysis, factor analysis, correlation analysis, and regression analysis by utilizing SPSS 22.0 for Windows, a statistical analysis program.

      Results of the study are summarized as follows :

      First, the survey results of walking service levels show : all of the 4 areas under survey are Grade 1, the highest level, the arrangement of green belts are relatively sufficient. Major problems of the walking streets on the street spaces include: 1) deficient arrangement of CCTV (Closed-Circuit Television), 2) insufficient arrangement of speed reducing facilities, 3) deficient number of roadside trees and shadow area on some of the streets, 4) deficient number of illuminations on some of the streets, 5) too lack of rest areas, 6) incompletely constructed facilities relating to the bus stops on some of the streets, and the status of the plants on the streets is not good and some of the bushes and forest trees have not been managed sufficiently.

      Second, the results show : the general satisfaction for the walking streets on the survey areas is 3.20 scores, Satisfactions for the walking streets on the 4 areas are good in all. The average satisfaction of “Gradient of the walking streets is most high among the 28 items relating to the satisfactions for walking streets. The following 7 items including “Arrangement of CCTV”, “Information system for major facilities”, “Construction of shadow areas”, “Arrangement of rest areas”, “Information system for public transportation”, “Use of convenient facilities”, and “Use of bus stops” are low in satisfaction.

      Third, the results of correlation analysis show a positive correlation in all of the factors and the entire satisfaction. The factors obtained from the factor analysis have exercised impact upon the satisfactions for the walking streets in the commercial area are arranged in the order of higher degrees in the following : Design > Convenience > Roadside trees and rest areas > Safety > Safety protective facilities > Transportation and information facilities > Continuity > Basic state of road surfaces > Comfortability. The factors have exercised impact upon the satisfactions for the walking streets in the residential area are arranged in the order of higher degrees in the following : Transportation and information facilities > Basic state of road surfaces > Comfortability > Convenience > Continuity > Design > Illuminations and crime preventive facilities > Safety > Roadside trees and rest areas.

      Fourth, the results show : major plans for walking enhancement cover the following, when make a new design of the walking streets on the street space, it will be necessary for combining new design factors and district features in order to have a vitality and an attractive force on the street spaces, for reinforcing a management of street spaces and green belts, and for making the arrangement of landscape facilities to be perfect in order to enhance a quality of street landscape. And also it will be required to complete commercial facilities, convenient facilities, rest areas, and safety facilities and to enhance a convenience, a comfortability, and a safety of the street spaces, to lengthen a time that residents remain on the roadside trees, to reinforce a convenience of public transportation system, and to reduce uses of owner-driven automobiles.

      Fifth, the results of the study suggest the following polices relating to walkway : when establish an important policy, it will be needed to take into account of opinions from actual users and experts, and practical situations of the city, to make the central government and the district autonomic body to increase a financing for walking enhancement project. And also it will be required for reinforcing a promotion and distribution of walking, for making the residents to participate together in management of the street spaces, and for establishing a voluntary service association that will be organized of the residents.

      It has been judged by us, when study objects will be expanded further widely and a number of areas under survey will be increased in future studies to obtain more detailed data, the results will be more close to actual situations and accuracies of satisfactions will be improved further more. When parks, residential areas, riverside green belts and the like will be included in a future study on walking streets, not restraining the limit of street spaces, the applications for the study results will be increased a step further.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1960년 이후 공업화의 전개에 따라, 한국의 경제는 한강의 기적 이라고 하는 급속한 발전 시기에 들어섰고, 자동차의 빠른 증가와 함께, 도시가로 내 자동차 우선의 교통 상황이 출현하기 시작 하였다. 이로 인한 현대 도시의 각종 문제가 출현하였다. 예를 들어 교통정체, 공기오염, 소음오염, 자원의 대량 소비 등 사람의 경제 수준과 의식 수준이 급속히 높아짐에 따라 생활환경에 대한 인식이 점차 중요시되고, 차량 중심에서 보행자 중심으로 바뀌는 도시환경변화 패러다임을 반영시켜야 하고, 특히, 여성, 아이, 노인, 장애인 등 보행약자를 위한 보행친화가로로써, 보행환경의 질을 높여야 하며, 보편적 이동권 보장으로 사회통합을 유도해야 한다.
      이에 본 연구는 세종특별자치시에 위치한 행정중심복합도시 1지구에 위치한 상업·주거지역 주변의 가로공간을 대상으로 보행도로 현황을 분석하고 파악하여, 보행환경을 향상시킬 수 있는 보행증진방안을 제안하고자 한다.
      본 연구의 방법은 다음과 같다. 연구대상지의 인터넷 위성지도와 수치지도를 사용해서 조사 지역의 기본 자료에 대해서 정리하였으며, 조사 지역의 가로 현황과 보행 환경에 대하여 구체적인 현장실제상황 조사를 진행하였으며 조사 지역 내 가로 공간의 사용자에 대하여 의식과 만족도의 설문 조사(예비 조사 50부, 본 조사 280부)를 진행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통계분석 프로그램 SPSS 22.0 for windows를 이용하여 신뢰도 분석(Reliability Analysis), 빈도분석 (Frequency Analysis), 요인 분석 (Factor Analysis), 상관분석 (correlation analysis), 회귀분석 (Regression analysis) 등의 통계기법으로 분석되었다.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조사대상지 보행서비스수준의 조사결과는 4개 조사대상지가 모두 A급인 최고수준이다. 녹지 시설의 배치도 비교적 충분하다. 조사대상지 내부의 가로공간 보행도로의 주요 문제는 1)영상처리기(CCTV)배치가 부족하다. 2) 감속시설 배치가 충분하지 않다. 3) 부분적인 가로에 가로수, 그늘 목이 부족하다. 4) 부분적인 가로에는 조명 시설이 부족하다. 5) 휴게시설 수량이 너무 적다. 6) 부분적인 가로에 버스정류장과 관련된 시설이 완벽하지 않다. 7) 가로에는 경관을 위해 식재된 식물들의 상태가 좋지 않고 부분적인 관목과 교목이 관리가 미흡하다.
      둘째, 조사대상지의 보행도로에 대한 전체적인 만족도는 3.20점이다. 보행자가 4개 구역의 보행도로에 대한 만족도는 모두 양호한 수준이다. 보행도로에 대한 만족도에 비해 관련된 28개 항목 중에서 ‘보행도로의 경사도’(3.81점)의 평균 만족도가 제일 높다. ‘영상처리기(CCTV)의 배치’, ‘주요시설물 안내체계’, ‘그늘 목의 조성’, ‘휴게시설의 배치’, ‘대중교통 안내체계’, ‘편의시설의 이용’, ‘버스정류장의 이용’ 7개 항목의 만족도가 낮다.
      셋째, 상관분석의 결과는 요인분석을 통해 요인과 전체적인 만족도에 모두 긍정적인 상관(positive correlation)이다. 요인분석을 통해 얻은 요인이 상업지역의 보행도로 만족도에 미친 영향을 순서에 따라 배열하면 디자인>편리성> 가로수 및 휴게시설> 안전성> 안전 보호시설> 교통 및 안내시설> 연속성> 노면 기본상태> 쾌적성이다. 요인이 주거지역의 보행도로 만족도에 미친 영향을 순서에 따라 배열하면 교통 및 안내 시설>노면 기본상태> 쾌적성> 편리성> 연속성> 디자인> 조명 및 범죄 방지시설> 안전성> 가로수 및 휴게시설이다.
      넷째, 보행증진 방안의 주요내용은 가로공간의 보행가로 디자인을 진행할 경우, 새로운 디자인 원소와 지역특색을 융합시켜 가로 공간이 활력과 흡인력 넘치게 한다. 가로 공간 녹지시설의 관리를 강화하고 경관시설의 배치를 완벽하게 하여, 가로 경관의 품질을 강화시킨다. 상업시설, 편리시설, 휴게시설과 안전시설을 완성하고, 가로공간의 편리성, 쾌적성과 안전성을 증가하였다. 동시에 사람들이 가로 안에서 머무는 시간을 연장한다. 대중 교통체계의 편리성을 강화시켜야 하고 자가용자의 사용을 감소시겨야 한다.
      다섯째, 보행관련 정책적 제안의 내용은 주요하게 정책을 제정할 때 실제 이용자의 의견, 전문가의 의견 및 도시의 실제 상황을 고려하고, 중앙정부와 지방자치단체가 보행증진사업의 재정투입을 증가하여야 할 것이다. 보행활동의 홍보와 보급을 강화하고 가로공간의 관리를 강화한다. 주민들이 가로공간의 관리에 함께 참여하고 지역주민이 구성한 지원봉사단체를 설립하여야 할 것이다.
      따라서 향후 연구에서 연구대상을 확대하고 조사대상지를 증가시켜 더욱 많은 데이터를 획득함으로써 연구 결과가 더욱더 실제 상황에 근접하고 만족도 정화가 더욱 정확해질 수 있다. 연구내용에서 가로공간의 보행도로 한계에만 제한하지 않고 공원, 주거지역, 강가 녹지 등 구역 안에서 보행도로의 연구를 진행하여 연구의 활용성을 증가한다.
      번역하기

      1960년 이후 공업화의 전개에 따라, 한국의 경제는 한강의 기적 이라고 하는 급속한 발전 시기에 들어섰고, 자동차의 빠른 증가와 함께, 도시가로 내 자동차 우선의 교통 상황이 출현하기 시...

      1960년 이후 공업화의 전개에 따라, 한국의 경제는 한강의 기적 이라고 하는 급속한 발전 시기에 들어섰고, 자동차의 빠른 증가와 함께, 도시가로 내 자동차 우선의 교통 상황이 출현하기 시작 하였다. 이로 인한 현대 도시의 각종 문제가 출현하였다. 예를 들어 교통정체, 공기오염, 소음오염, 자원의 대량 소비 등 사람의 경제 수준과 의식 수준이 급속히 높아짐에 따라 생활환경에 대한 인식이 점차 중요시되고, 차량 중심에서 보행자 중심으로 바뀌는 도시환경변화 패러다임을 반영시켜야 하고, 특히, 여성, 아이, 노인, 장애인 등 보행약자를 위한 보행친화가로로써, 보행환경의 질을 높여야 하며, 보편적 이동권 보장으로 사회통합을 유도해야 한다.
      이에 본 연구는 세종특별자치시에 위치한 행정중심복합도시 1지구에 위치한 상업·주거지역 주변의 가로공간을 대상으로 보행도로 현황을 분석하고 파악하여, 보행환경을 향상시킬 수 있는 보행증진방안을 제안하고자 한다.
      본 연구의 방법은 다음과 같다. 연구대상지의 인터넷 위성지도와 수치지도를 사용해서 조사 지역의 기본 자료에 대해서 정리하였으며, 조사 지역의 가로 현황과 보행 환경에 대하여 구체적인 현장실제상황 조사를 진행하였으며 조사 지역 내 가로 공간의 사용자에 대하여 의식과 만족도의 설문 조사(예비 조사 50부, 본 조사 280부)를 진행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통계분석 프로그램 SPSS 22.0 for windows를 이용하여 신뢰도 분석(Reliability Analysis), 빈도분석 (Frequency Analysis), 요인 분석 (Factor Analysis), 상관분석 (correlation analysis), 회귀분석 (Regression analysis) 등의 통계기법으로 분석되었다.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조사대상지 보행서비스수준의 조사결과는 4개 조사대상지가 모두 A급인 최고수준이다. 녹지 시설의 배치도 비교적 충분하다. 조사대상지 내부의 가로공간 보행도로의 주요 문제는 1)영상처리기(CCTV)배치가 부족하다. 2) 감속시설 배치가 충분하지 않다. 3) 부분적인 가로에 가로수, 그늘 목이 부족하다. 4) 부분적인 가로에는 조명 시설이 부족하다. 5) 휴게시설 수량이 너무 적다. 6) 부분적인 가로에 버스정류장과 관련된 시설이 완벽하지 않다. 7) 가로에는 경관을 위해 식재된 식물들의 상태가 좋지 않고 부분적인 관목과 교목이 관리가 미흡하다.
      둘째, 조사대상지의 보행도로에 대한 전체적인 만족도는 3.20점이다. 보행자가 4개 구역의 보행도로에 대한 만족도는 모두 양호한 수준이다. 보행도로에 대한 만족도에 비해 관련된 28개 항목 중에서 ‘보행도로의 경사도’(3.81점)의 평균 만족도가 제일 높다. ‘영상처리기(CCTV)의 배치’, ‘주요시설물 안내체계’, ‘그늘 목의 조성’, ‘휴게시설의 배치’, ‘대중교통 안내체계’, ‘편의시설의 이용’, ‘버스정류장의 이용’ 7개 항목의 만족도가 낮다.
      셋째, 상관분석의 결과는 요인분석을 통해 요인과 전체적인 만족도에 모두 긍정적인 상관(positive correlation)이다. 요인분석을 통해 얻은 요인이 상업지역의 보행도로 만족도에 미친 영향을 순서에 따라 배열하면 디자인>편리성> 가로수 및 휴게시설> 안전성> 안전 보호시설> 교통 및 안내시설> 연속성> 노면 기본상태> 쾌적성이다. 요인이 주거지역의 보행도로 만족도에 미친 영향을 순서에 따라 배열하면 교통 및 안내 시설>노면 기본상태> 쾌적성> 편리성> 연속성> 디자인> 조명 및 범죄 방지시설> 안전성> 가로수 및 휴게시설이다.
      넷째, 보행증진 방안의 주요내용은 가로공간의 보행가로 디자인을 진행할 경우, 새로운 디자인 원소와 지역특색을 융합시켜 가로 공간이 활력과 흡인력 넘치게 한다. 가로 공간 녹지시설의 관리를 강화하고 경관시설의 배치를 완벽하게 하여, 가로 경관의 품질을 강화시킨다. 상업시설, 편리시설, 휴게시설과 안전시설을 완성하고, 가로공간의 편리성, 쾌적성과 안전성을 증가하였다. 동시에 사람들이 가로 안에서 머무는 시간을 연장한다. 대중 교통체계의 편리성을 강화시켜야 하고 자가용자의 사용을 감소시겨야 한다.
      다섯째, 보행관련 정책적 제안의 내용은 주요하게 정책을 제정할 때 실제 이용자의 의견, 전문가의 의견 및 도시의 실제 상황을 고려하고, 중앙정부와 지방자치단체가 보행증진사업의 재정투입을 증가하여야 할 것이다. 보행활동의 홍보와 보급을 강화하고 가로공간의 관리를 강화한다. 주민들이 가로공간의 관리에 함께 참여하고 지역주민이 구성한 지원봉사단체를 설립하여야 할 것이다.
      따라서 향후 연구에서 연구대상을 확대하고 조사대상지를 증가시켜 더욱 많은 데이터를 획득함으로써 연구 결과가 더욱더 실제 상황에 근접하고 만족도 정화가 더욱 정확해질 수 있다. 연구내용에서 가로공간의 보행도로 한계에만 제한하지 않고 공원, 주거지역, 강가 녹지 등 구역 안에서 보행도로의 연구를 진행하여 연구의 활용성을 증가한다.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국문초록 ⅰ
      • 목차 ⅳ
      • 그림목차 ⅶ
      • 표목차 ⅸ
      • Ⅰ. 서론 1
      • 국문초록 ⅰ
      • 목차 ⅳ
      • 그림목차 ⅶ
      • 표목차 ⅸ
      • Ⅰ. 서론 1
      • 1. 연구 배경 및 목적 1
      • 1.1 연구의 배경 1
      • 1.2 연구의 목적 2
      • 2. 연구 내용 3
      • 2.1 연구의 범위 3
      • 2.2 연구의 흐름도 4
      • Ⅱ. 이론적 고찰 5
      • 1. 가로공간 5
      • 1.1 가로의 특성 및 기능 6
      • 1.2 가로공간의 구성요소 및 형태 11
      • 2. 보행친화도시 14
      • 2.1 보행친화도시 조성을 위한 요건 15
      • 2.2 보행활동 17
      • 2.3 보행환경 26
      • 2.4 보행자 33
      • 3. 보행관련 법률 및 지침 현황 37
      • 3.1 보행관련 법률 현황 37
      • 3.2 보행관련 지침 현황 42
      • 4. 국내·외 사례 44
      • 4.1 국내 사례 44
      • 4.2 국외 사례 45
      • 5. 선행연구 고찰 47
      • Ⅲ. 연구방법 52
      • 1. 연구대상지 52
      • 1.1 연구대상지 현황 52
      • 1.2 조사대상지 선정 54
      • 2. 조사방법 59
      • 2.1 조사 개요 59
      • 2.2 조사 항목 작성 59
      • 2.3 조사의 방법 60
      • 3. 분석방법 62
      • Ⅳ. 연구결과 63
      • 1. 대상지 가로공간 현황 분석결과 63
      • 1.1 홈플러스 세종점 구역 63
      • 1.2 세종시 리슈빌에스 구역 66
      • 1.3 세종상록데시앙한뜰마을1단지 아파트 구역 69
      • 1.4 세종더샵센트럴시티한뜰마을2단지 아파트 구역 72
      • 2. 대상지 가로공간 보행환경 설문조사 분석결과 75
      • 2.1 신뢰도 분석 75
      • 2.2 인구통계학적 특성 분석 75
      • 2.3 가로공간 보행도로 이용에 대한 의식 및 행태 분석 77
      • 2.4 가로공간 보행도로 이용 만족도 분석 83
      • 2.5 보행도로 이용 만족도에 대한 요인분석 88
      • 2.6 구역별 요인이 보행도로 이용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분석 101
      • 2.7 소결 106
      • 3. 대상지 가로공간 보행증진 방안 108
      • 3.1 상업지역 108
      • 3.2 주거지역 14
      • 3.3 보행관련 정책적 제안 119
      • Ⅴ. 결론 121
      • 참고문헌 125
      • 부록 131
      • 영문초록 138
      • 감사의 글 142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