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이강래, "한 중 사서에 보이는 고구려와 중국의 전쟁 기록 비교 검토" 동북아역사재단 (15) : 201-271, 2007
2 허태용, "조선후기 중화론과 역사인식" 아카넷 2009
3 이강래, "삼국사기 형성론" 신서원 2007
4 呂運弼, "고려시대 역사시 연구" 한국정신문화연구원 1999
5 姜性文, "麗隋·麗唐戰爭 原因考" 국사편찬위원회 69 : 1996
6 "高麗史"
7 "隋書"
8 "資治通鑑"
9 "論語"
10 "說郛三種"
1 이강래, "한 중 사서에 보이는 고구려와 중국의 전쟁 기록 비교 검토" 동북아역사재단 (15) : 201-271, 2007
2 허태용, "조선후기 중화론과 역사인식" 아카넷 2009
3 이강래, "삼국사기 형성론" 신서원 2007
4 呂運弼, "고려시대 역사시 연구" 한국정신문화연구원 1999
5 姜性文, "麗隋·麗唐戰爭 原因考" 국사편찬위원회 69 : 1996
6 "高麗史"
7 "隋書"
8 "資治通鑑"
9 "論語"
10 "說郛三種"
11 "舊唐書"
12 "筆苑雜記"
13 "熱河日記"
14 "漂海錄"
15 杜牧, "樊川文集 6"
16 "楊子法言"
17 "東文選"
18 "東國通鑑"
19 "新唐書"
20 "後漢書"
21 "帝王韻紀"
22 "左傳"
23 "宋史"
24 "孫子"
25 "孟子"
26 李成制, "嬰陽王 9年 高句麗의 遼西 攻擊" 90 : 2000
27 "唐鑑"
28 "唐語林"
29 "唐宋八大家文鈔"
30 "同春堂先生別集"
31 "史記"
32 "冊府元龜"
33 "公羊傳"
34 江蘇省社會科學院, "中國古典小說總目提要 1" 蔚山大學校出版部 1993
35 "三國史記"
36 "三國史節要"
37 朴漢濟, "七世紀 隋唐 兩朝의 韓半島進出 經緯에 대한 一考 - 隋唐初 皇帝의 正統性 確保 問題와 關聯하여" 43 : 1993
38 金貞培, "『三國史記』 寶臧王紀 史論에 보이는 ‘柳公權 小說’ 問題" 고려사학회 (26) : 9-33, 2007
39 朴在淵, "<薛仁貴征遼事略> 小考" (창간) : 1984
40 이강래, "7세기 고구려 인식과 정통성의 문제" 호남사학회 (60) : 1-49, 2015
41 여호규, "6세기말~7세기초 동아시아 국제질서와 고구려 대외정책의 변화 -대수관계(對隋關係)를 중심으로-" 한국역사연구회 (46) : 1-36, 2002
42 정동민, "612년 고구려 원정 隋軍의 군단 편성과 兵種 구성" 한국고대사학회 (82) : 233-269, 201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