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홍승우, "한국 고대 율령의 성격" 서울대학교 대학원 2011
2 堀敏一, "중국과 고대 동아시아 세계" 동국대학교출판부 2012
3 "자치통감"
4 "신당서"
5 池田溫, "세미나 수당오대사" 서경 2005
6 "삼국사기"
7 "구당서"
8 윤선태, "강좌한국고대사 3" 2003
9 전봉덕, "韓國法制史硏究" 서울대학교출판부 1968
10 한영화, "韓國 古代의 刑律 硏究" 성균관대학교 대학원 2012
1 홍승우, "한국 고대 율령의 성격" 서울대학교 대학원 2011
2 堀敏一, "중국과 고대 동아시아 세계" 동국대학교출판부 2012
3 "자치통감"
4 "신당서"
5 池田溫, "세미나 수당오대사" 서경 2005
6 "삼국사기"
7 "구당서"
8 윤선태, "강좌한국고대사 3" 2003
9 전봉덕, "韓國法制史硏究" 서울대학교출판부 1968
10 한영화, "韓國 古代의 刑律 硏究" 성균관대학교 대학원 2012
11 정병준, "韓國 古代 律令 硏究를 위한 몇 가지 提言" 동국역사문화연구소 (59) : 201-229, 2015
12 "隋書"
13 "通典"
14 律令硏究會, "譯註日本律令 6" 東京堂 1984
15 "玉海"
16 北村秀人, "日本古代史講座 7" 學生社 1982
17 大隅淸陽, "日唐律令比較硏究の新段階" 山川出版社 2008
18 鈴木靖民, "日唐律令比較硏究の新段階" 山川出版社 2008
19 주보돈, "新羅時代의 連坐制" 25 : 1984
20 홍승우, "新羅律의 基本性格" 50 : 2004
21 양정석, "新羅 公式令의 王命文書樣式 考察" 15 : 1999
22 정병준, "文武王 9년(669) 赦書에 보이는 ‘五逆’의 系譜 -唐代 以前 赦書에 대한 검토를 중심으로-" 한국고대사탐구학회 (27) : 245-282, 2017
23 "文心雕龍"
24 高明士, "律令法與天下法" 上海古籍出版社 2013
25 堀敏一, "律令制と東アジア世界 -私の中國史學(二)" 汲古書院 1994
26 堀敏一, "律令制と東アジア世界" 汲古書院 1994
27 武田幸男, "岩波講座世界歷史 6" 岩波書店 1971
28 "唐會要"
29 劉俊文, "唐律疏議箋解" 中華書局 1996
30 岳純之, "唐律疏議" 上海古籍出版社 2013
31 劉俊文, "唐律疏議" 中華書局 1993
32 "唐大詔令集"
33 "唐六典"
34 池田溫, "唐令拾遺補" 東京大學出版會 1997
35 仁井田陞, "唐令拾遺" 東京大學出版會 1933
36 中村裕一, "唐代制勅硏究" 汲古書院 1991
37 우성민, "唐代 율령을 통해 본 동아시아 교류와 상호 인식 - 唐代 關市令을 중심으로 -" 효원사학회 48 : 195-241, 2015
38 류준형, "唐代 王言文書의 전달과 中使의 활동" 동양사학회 (141) : 129-172, 2017
39 戴建國, "唐代 令文의 部分 修正 및 補充" 19 : 2015
40 "北史"
41 "冊府元龜"
42 程樹德, "九朝律考 4" 세창출판사 2015
43 정병준, "(번역논문)法典編纂의 歷史(4) -隋 및 唐 前期-(滋賀秀三)" 신라사학회 (39) : 189-209, 201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