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백영자, "한국복식의 역사" 경춘사 217-, 2004
2 유송옥, "한국복식사" 수학사 1998
3 유희경, "한국복식문화사" 교문사 1999
4 홍나영, "출토복식을 통해서 본 조선시대 남자 편복포의 시대구분" 한국복식학회 58 (58): 118-133, 2008
5 이화여자대학교박물관, "최원립장군묘 출토복식을 통해 본 17세기 조선 무관의 차림새" 이화여자대학교박물관 2006
6 송미경, "최경선(1561-1622) 묘 출토복식 연구" 한국복식학회 66 (66): 149-162, 2016
7 장인우, "청주출토 김원택(金元澤, 1683-1766)묘 유물의 복식사적 특징" 한국복식학회 60 (60): 98-112, 2010
8 홍나영, "조선중엽 출토복식에 관한 연구-이황 묘 출토 첩리와 창의류를 중심으로-" 한국의류학회 20 (20): 535-, 1996
9 장인우, "조선중기 창의구성의 이해-전 박장군묘 청색무명겹창의의 재현을 통하여-" 한국복식학회 25 (25): 550-553, 2001
10 금종숙, "조선시대 중치막(中致莫)의 착용례와 형태 연구" 복식문화학회 22 (22): 670-687, 2014
1 백영자, "한국복식의 역사" 경춘사 217-, 2004
2 유송옥, "한국복식사" 수학사 1998
3 유희경, "한국복식문화사" 교문사 1999
4 홍나영, "출토복식을 통해서 본 조선시대 남자 편복포의 시대구분" 한국복식학회 58 (58): 118-133, 2008
5 이화여자대학교박물관, "최원립장군묘 출토복식을 통해 본 17세기 조선 무관의 차림새" 이화여자대학교박물관 2006
6 송미경, "최경선(1561-1622) 묘 출토복식 연구" 한국복식학회 66 (66): 149-162, 2016
7 장인우, "청주출토 김원택(金元澤, 1683-1766)묘 유물의 복식사적 특징" 한국복식학회 60 (60): 98-112, 2010
8 홍나영, "조선중엽 출토복식에 관한 연구-이황 묘 출토 첩리와 창의류를 중심으로-" 한국의류학회 20 (20): 535-, 1996
9 장인우, "조선중기 창의구성의 이해-전 박장군묘 청색무명겹창의의 재현을 통하여-" 한국복식학회 25 (25): 550-553, 2001
10 금종숙, "조선시대 중치막(中致莫)의 착용례와 형태 연구" 복식문화학회 22 (22): 670-687, 2014
11 경기도박물관, "전주 이씨묘 출토복식 조사보고서" 경기도박물관 342-, 2001
12 안명숙, "전남 영암 출토 최원립 장군 출토복식에 대한 고찰" 한복문화학회 4 (4): 16-18, 2001
13 안명숙, "전남 나주출토 제주양씨(1589~1687) 출토복식의 형태적 특징과 바느질법" 남도민속학회 (29) : 177-204, 2014
14 안명숙, "장흥마씨 출토복식의 특징과 연대추정에 관한 연구" 대한가정학회 49 (49): 63-71, 2011
15 안명숙, "유지경(1576~1650) 출토복식에 나타난 17세기 중기 의복 특징에 관한 연구" 대한가정학회 49 (49): 25-33, 2011
16 안명숙, "우리옷이야기" 예학사 130-131, 2007
17 광주민속박물관, "문화류씨․장흥마씨 회곽묘 출토유물"
18 안명숙, "나주 임씨 연(1587~1654) 분묘 출토 포류에 관한 연구" 남도민속학회 (28) : 213-235, 2014
19 송미경, "김확(金?:1572~1633)묘 유물을 통해 본 17세기 남자 포에 관한 연구" 한국복식학회 57 (57): 98-107, 200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