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우수등재

      주요 사찰에 일제가 심은 전나무 노거수의 식재의미 연구 = A Study on Reasons for Planting Abies holophylla by Imperial Japan in Korean Temples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2307534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본 고는 주요 사찰에 노거수로 현존하는 대부분의 전나무는 일제에 의해 구한말부터 일제강점기 동안 신목(神木)으로 심어졌다는 가설을 증명하기 위해 연구되었다. 전나무 노거수의 현존...

      본 고는 주요 사찰에 노거수로 현존하는 대부분의 전나무는 일제에 의해 구한말부터 일제강점기 동안 신목(神木)으로 심어졌다는 가설을 증명하기 위해 연구되었다. 전나무 노거수의 현존량과 식재위치 특성, 전나무 노거수의 식재시기 특성, 일본의 고대신앙과 전나무의 연관성을 분석하였다. 전나무 노거수를 신목이라고 판단하는 이유는 다음 세 가지이다. 첫째, 일본 신사에서는 가도로부터 뻗은 참배로에 가장 많은 신목이 심겨지는데, 우리 사찰에서는 일본의 참배로와 비슷한 공간인 일주문에서 누문 사이에 가장 많이 심겨진 식재위치의 공통점 때문이다. 둘째, 몇 개의 주요 사찰에서 가슴높이 직경이 가장 큰 전나무를 조사한 결과, 100cm에서 60cm 사이의 범주여서 일본 불교의 조선 개교 원년인 1877년부터 일제강점기 1945년 사이, 2015년 현재 70년생에서 138년생 사이에 포함되는 크기로 판단되기 때문이다. 셋째, 1877년 일본 불교계가 조선개교를 시작하면서 일본 고대사에 있는 신공황후의 삼한출병을 보살펴준 스와대사의 신(神)을 일제의 수호신으로 삼고, 우리나라 주요 사찰에 현신시키기 위하여 전나무를 심었을 것이라고 하는 연관성이 너무도 자연스럽기 때문이다. 우리 사찰의 전나무 노거수는 강제적이었든지 부지불식간에 식재되었든지 그 식재의미에 대한 적절한 평가가 이루어지지 않은 채 현재의 거목으로 성장하였다. 본고의 주장에 대한 철저한 검증과 본 이슈에 대한 논의를 기대한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study investigates how Abies holophylla was planted as a tree sacred to the gods by Japan during the late Chosun and Japanese colonial periods. This study surveyed the current conditions of old Abies holophylla geological information, year plante...

      This study investigates how Abies holophylla was planted as a tree sacred to the gods by Japan during the late Chosun and Japanese colonial periods. This study surveyed the current conditions of old Abies holophylla geological information, year planted, and the relationship between Abies holophylla and traditional Japanese values. The reasons that Abies holophylla was considered a tree sacred to the gods are as follows. Firstly, trees are planted on the spaces between Iljumun and Numun in Buddhist temples of Korea in the same way as trees are planted on the roads for worship in traditional temples of Japan. Secondly, tree diameter at breast height ranged from 60cm to 100cm. This means that the Abies holophylla trees range in age from 70 years to 138 years, showing that the trees were planted at the period between the beginning of Japanese Buddhism(1877) and the Japanese Colonial Period (1945). Thirdly, conclusions regarding why the Abies holophylla were planted in Korean temples at the beginning of Japanese Buddhism will be drawn based on the records that Jingu-Kogo's Conquest of Silla was taken care of the Suwataisha as a tree sacred to the gods in Japanese tradition. The reason for which Abies holophylla was planted in Korean temples should be evaluated through the remnants of Japan in the past. The issue of the old Abies holophylla in Korean temples should be investigated and further discussed in depth.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유주한, "삼보사찰의 조경식물 및 식재특성" 한국조경학회 38 (38): 119-128, 2010

      2 Jung, G. H., "Trends of Buddhism in Japanese colonial period" 2 (2): 35-37, 1979

      3 Hong, G. P., "The landscape architecture of temples in Korea" 22 (22): 122-126, 2004

      4 Ueda, M., "Original Shape of Forest in Village Shrine" Pyeongbumsa 5-17, 2004

      5 Kwack, B. H., "Landscape and woody vegetation of entering way to some scenic Buddhist temples in Korea" 8 (8): 1-11, 1979

      6 Cho, H. J., "Korea Big Tree" Korea Green Promotion Agency 2013

      7 Suganuma, T., "Forest of Village Shrine" Pyeongbumsa 83-104, 2004

      8 Kang, Y. R., "Abies holophylla and Our Culture" Society for Forest and Culture 169-192, 2012

      9 Park, B. W., "Abies holophylla and Our Culture" Society for Forest and Culture 193-201, 2012

      10 Im, J. H., "Abies holophylla and Our Culture" Society for Forest and Culture 7-14, 2012

      1 유주한, "삼보사찰의 조경식물 및 식재특성" 한국조경학회 38 (38): 119-128, 2010

      2 Jung, G. H., "Trends of Buddhism in Japanese colonial period" 2 (2): 35-37, 1979

      3 Hong, G. P., "The landscape architecture of temples in Korea" 22 (22): 122-126, 2004

      4 Ueda, M., "Original Shape of Forest in Village Shrine" Pyeongbumsa 5-17, 2004

      5 Kwack, B. H., "Landscape and woody vegetation of entering way to some scenic Buddhist temples in Korea" 8 (8): 1-11, 1979

      6 Cho, H. J., "Korea Big Tree" Korea Green Promotion Agency 2013

      7 Suganuma, T., "Forest of Village Shrine" Pyeongbumsa 83-104, 2004

      8 Kang, Y. R., "Abies holophylla and Our Culture" Society for Forest and Culture 169-192, 2012

      9 Park, B. W., "Abies holophylla and Our Culture" Society for Forest and Culture 193-201, 2012

      10 Im, J. H., "Abies holophylla and Our Culture" Society for Forest and Culture 7-14, 2012

      11 Kim, N. C., "A study on the present status of landscape woody plants of the Three-Treasure Temples" 1 : 33-44, 1993

      12 Ha, J. H., "A study on the planting status of landscaping plants of Sunamsa Temple" 5 : 45-57, 1997

      13 Kim, N. C., "A study on the planting status of landscaping plants of Pulguksa Temple" 3 : 59-74, 1995

      14 Heo, S. H., "A study on the planting condition of traditional temples:Bulguksa, Bunhwangsa, Kirimsa, Golgulsa" 10 : 79-92, 2005

      15 Kim, K. W., "A study on the meaning of Pinus densiflora Forest of Temples by Zen Buddism" 85-88, 2013

      16 Jung, K. H., "A study on the landscape of traditional temples in Korea" 5 : 35-44, 1997

      17 Choi, S. B., "A study on the flora of the Bulgap Temple in Chunranam-do" 6 : 181-200, 1998

      18 Ha, J. H., "A studies on the flora and management planning at the Bulkuk Temple" 7 : 43-59, 1999

      19 Kim, J. I., "108 Ecotourism of Temples 9" Jisungsa 2010

      20 Kim, J. I., "108 Ecotourism of Temples 8" Jisungsa 2010

      21 Kim, J. I., "108 Ecotourism of Temples 7" Jisungsa 2010

      22 Kim, J. I., "108 Ecotourism of Temples 6" Jisungsa 2010

      23 Kim, J. I., "108 Ecotourism of Temples 5" Jisungsa 2010

      24 Kim, J. I., "108 Ecotourism of Temples 4" Jisungsa 2009

      25 Kim, J. I., "108 Ecotourism of Temples 3" Jisungsa 2009

      26 Kim, J. I., "108 Ecotourism of Temples 2" Jisungsa 2009

      27 Kim, J. I., "108 Ecotourism of Temples 10" Jisungsa 2010

      28 Kim, J. I., "108 Ecotourism of Temples 1" Jisungsa 2008

      29 Kim, G. S., "100 Years of Korean Buddism" Minjoksa 2000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0 평가예정 계속평가 신청대상 (등재유지)
      2015-01-01 평가 우수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201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5-05-20 학술지명변경 외국어명 : 미등록 -> Journal of the Korean Institute of Landscape Architecture KCI등재
      200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2-07-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0-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74 0.74 0.78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76 0.74 1.022 0.14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