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주홍 글자』의 현대성 = The Modernity of Nathaniel Hawthorne's The Scarlet Letter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76513130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Basically Poststructuralist in approaches, this article attempts to explore Nathaniel Hawthorne's The Scarlet Letter (1850) in terms of feminist and deconstructionist literary analysis. This article tries to counter the argument that Hawthorne's use of the feminine was always in the service of masculinity issues. It argues that virtually alone among male writers in the nineteen century America, Hawthorne made space for feminist analysis in this work. Among some feminist issues he deals with in the book are the subversion of the Puritan patriarchical society, challenges to the age-old male chauvinism, women's equality with men, their freedom to choose to marry or not, and their rights to rear their own children. Hester succeeds not only as a single mother supporting herself and her child, but also as one of the first female counsellors who help their fellow females in distress. This article further argues that The Scarlet Letter treats itself with what deconstructionists call the free play of language. In the romance, the relationship between signified and signifer turns out to be unstable and problematic. By undermining the stability of the system of signs, the author subverts the values of the Puritan theocracy.
      번역하기

      Basically Poststructuralist in approaches, this article attempts to explore Nathaniel Hawthorne's The Scarlet Letter (1850) in terms of feminist and deconstructionist literary analysis. This article tries to counter the argument that Hawthorne's use o...

      Basically Poststructuralist in approaches, this article attempts to explore Nathaniel Hawthorne's The Scarlet Letter (1850) in terms of feminist and deconstructionist literary analysis. This article tries to counter the argument that Hawthorne's use of the feminine was always in the service of masculinity issues. It argues that virtually alone among male writers in the nineteen century America, Hawthorne made space for feminist analysis in this work. Among some feminist issues he deals with in the book are the subversion of the Puritan patriarchical society, challenges to the age-old male chauvinism, women's equality with men, their freedom to choose to marry or not, and their rights to rear their own children. Hester succeeds not only as a single mother supporting herself and her child, but also as one of the first female counsellors who help their fellow females in distress. This article further argues that The Scarlet Letter treats itself with what deconstructionists call the free play of language. In the romance, the relationship between signified and signifer turns out to be unstable and problematic. By undermining the stability of the system of signs, the author subverts the values of the Puritan theocracy.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이 논문은 너새니얼 호손의 『주홍 글자』를 페미니즘과 해체주의 등 최근 비평 이론의 관점에서 새롭게 해석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지금까지 적지 않은 비평가들이 호손의 이 작품을 반(反)페미니즘적 경향을 보여 주는 소설로 읽어 왔다. 그러나 이러한 해석은 상당 부분 작가와 작품을 동일시하는 데에서 비롯한 것이다. 작품 자체만을 보면 호손은 그 나름대로 여성의 권익을 주장하는 페미니스트로서의 면모를 보여 준다. 또한 『주홍 글자』는 미셸 푸코가 말하는 ‘감시와 처벌’의 관점에서 읽을 때에도 새로운 의미가 드러난다. 인류 역사에서 정치 권력자들은 죄인의 신체에 모든 사람이 ‘읽을 수 있는’ 뚜렷한 징표를 세상에 널리 보여 주도록 처벌해 왔다. 헤스터 프린은 바로 그러한 처벌을 받는 인물이다. 더구나 자크 데리다와 자크 라캉의 해체주의의 관점에서 읽으면 이 소설은 의미의 비결정성을 강조하고 언어의 유희를 다루는 작품으로 해석할 수도 있다. 헤스터는 확고한 의미를 강조하는 기호 체계를 전복함으로써 경직된 청교도 사회에 도전을 가한다. 그러므로 이 소설은 출간된 지 150년 이상이 지났지만 아직도 현대 독자들에게도 새로운 의미를 준다.
      번역하기

      이 논문은 너새니얼 호손의 『주홍 글자』를 페미니즘과 해체주의 등 최근 비평 이론의 관점에서 새롭게 해석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지금까지 적지 않은 비평가들이 호손의 이 작품을 반(...

      이 논문은 너새니얼 호손의 『주홍 글자』를 페미니즘과 해체주의 등 최근 비평 이론의 관점에서 새롭게 해석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지금까지 적지 않은 비평가들이 호손의 이 작품을 반(反)페미니즘적 경향을 보여 주는 소설로 읽어 왔다. 그러나 이러한 해석은 상당 부분 작가와 작품을 동일시하는 데에서 비롯한 것이다. 작품 자체만을 보면 호손은 그 나름대로 여성의 권익을 주장하는 페미니스트로서의 면모를 보여 준다. 또한 『주홍 글자』는 미셸 푸코가 말하는 ‘감시와 처벌’의 관점에서 읽을 때에도 새로운 의미가 드러난다. 인류 역사에서 정치 권력자들은 죄인의 신체에 모든 사람이 ‘읽을 수 있는’ 뚜렷한 징표를 세상에 널리 보여 주도록 처벌해 왔다. 헤스터 프린은 바로 그러한 처벌을 받는 인물이다. 더구나 자크 데리다와 자크 라캉의 해체주의의 관점에서 읽으면 이 소설은 의미의 비결정성을 강조하고 언어의 유희를 다루는 작품으로 해석할 수도 있다. 헤스터는 확고한 의미를 강조하는 기호 체계를 전복함으로써 경직된 청교도 사회에 도전을 가한다. 그러므로 이 소설은 출간된 지 150년 이상이 지났지만 아직도 현대 독자들에게도 새로운 의미를 준다.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