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고구려의 한강 유역 진출과 서울지역의 동향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82372946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Goguryo had a serious antagonism against Baekje because of sovereignty claims to heights of Guns and Hyuns in late 4th century. Its advance to the south began by King Gwanggaeto via King Sosurim and King Gogukyang. As it was not easy for Goguryo to break through Baekje’s defenses, it expanded the influence on Malgal Groups(靺鞨勢力) living in the Bukhan River Basin from Singye, Hwanghaedo, over Masikryung Mountains, through Eechon, Pyonggang, Chunchon and Cholwon. Goguryo under the reign of King Gwanggaeto occupied the Namhan River Basin, Malgal and even part of the Silla reaching to Gyeongju. It took Hansung of Baekje under the reign of King Jangsoo, but returned it to Baekje and built a fortress in Mountain Acha in the north of Han River to prepare against Baekje’s going north. Goguryo barely maintained the dominium over Namhan River Basin due to attacks by Baekje and Silla. It defeated the attacks and maintained its dominium over Malgal, but yielded the southern area of Han River to Baekje. Goguryo dominated the upper region of Han River, but it lost its lower region by King Munyong’s attacks. However, it successfully expelled Baekje south of Ansung River under the reign of King Anjang. Its occupancy over the Han River Basin did not last and in mid-6th century it was attacked by allied forces of Baekje and Shilla. Goguryo had a serious succession war before and after King Yangwon’s accession to the throne in the 6th century and was invaded by Dolgwol. By taking advantage of weakened power of Goguryo, Baekje banded together with Silla and successfully regained Han River Basin. Shilla occupied the lower region of Han River Baekje had occupied, which was a cornerstone for unification of the three nations. The long and violent war over Han River Basin between Goguryo and Baekje entered a new stage because of Silla’s appearance.
      번역하기

      Goguryo had a serious antagonism against Baekje because of sovereignty claims to heights of Guns and Hyuns in late 4th century. Its advance to the south began by King Gwanggaeto via King Sosurim and King Gogukyang. As it was not easy for Goguryo to br...

      Goguryo had a serious antagonism against Baekje because of sovereignty claims to heights of Guns and Hyuns in late 4th century. Its advance to the south began by King Gwanggaeto via King Sosurim and King Gogukyang. As it was not easy for Goguryo to break through Baekje’s defenses, it expanded the influence on Malgal Groups(靺鞨勢力) living in the Bukhan River Basin from Singye, Hwanghaedo, over Masikryung Mountains, through Eechon, Pyonggang, Chunchon and Cholwon. Goguryo under the reign of King Gwanggaeto occupied the Namhan River Basin, Malgal and even part of the Silla reaching to Gyeongju. It took Hansung of Baekje under the reign of King Jangsoo, but returned it to Baekje and built a fortress in Mountain Acha in the north of Han River to prepare against Baekje’s going north. Goguryo barely maintained the dominium over Namhan River Basin due to attacks by Baekje and Silla. It defeated the attacks and maintained its dominium over Malgal, but yielded the southern area of Han River to Baekje. Goguryo dominated the upper region of Han River, but it lost its lower region by King Munyong’s attacks. However, it successfully expelled Baekje south of Ansung River under the reign of King Anjang. Its occupancy over the Han River Basin did not last and in mid-6th century it was attacked by allied forces of Baekje and Shilla. Goguryo had a serious succession war before and after King Yangwon’s accession to the throne in the 6th century and was invaded by Dolgwol. By taking advantage of weakened power of Goguryo, Baekje banded together with Silla and successfully regained Han River Basin. Shilla occupied the lower region of Han River Baekje had occupied, which was a cornerstone for unification of the three nations. The long and violent war over Han River Basin between Goguryo and Baekje entered a new stage because of Silla’s appearance.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I. 머리말
      • II. 고구려의 한강 상류지역 진출과 嶺西 靺鞨복속
      • III. 고구려의 남진 경략과 한강 하류지역 장악
      • 1. 광개토왕의 남정과 백제의 굴복
      • 2. 장수왕의 평양 천도와 한성 함락
      • I. 머리말
      • II. 고구려의 한강 상류지역 진출과 嶺西 靺鞨복속
      • III. 고구려의 남진 경략과 한강 하류지역 장악
      • 1. 광개토왕의 남정과 백제의 굴복
      • 2. 장수왕의 평양 천도와 한성 함락
      • IV. 고구려의 한강 유역 지배와 그 추이
      • 1. 고구려의 차령산맥 계선 진출과 백제의 반격
      • 2. 麗· 濟의 대립격화와 한강 유역 공방
      • IV. 맺음말
      • 참고문헌
      • ABSTRACT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吳舜濟, "한성백제사" 집문당 1995

      2 李丙燾, "한국사(고대편)" 진단학회 1959

      3 文安植, "한국고대사와 말갈" 혜안

      4 崔章烈, "한강 북안 고구려보루의 축조시기와 그 성격" 47 : 2002

      5 사회과학원 력사연구소, "조선전사 3" 1999

      6 梁起錫, "웅진시대의 백제 지배층 연구" 1 : 1980

      7 李基白, "웅진시대 백제의 귀족세력" (특집) : 1982

      8 金賢淑, "웅진시기 백제와 고구려의 관계. in: 고대 동아세아와 백제" 충남대 백제연구소 2002

      9 崔鍾澤, "아차산 고구려 보루의 역사적 성격" 64 : 2006

      10 徐榮一, "신라 육상교통로 연구" 학연문화사 1999

      1 吳舜濟, "한성백제사" 집문당 1995

      2 李丙燾, "한국사(고대편)" 진단학회 1959

      3 文安植, "한국고대사와 말갈" 혜안

      4 崔章烈, "한강 북안 고구려보루의 축조시기와 그 성격" 47 : 2002

      5 사회과학원 력사연구소, "조선전사 3" 1999

      6 梁起錫, "웅진시대의 백제 지배층 연구" 1 : 1980

      7 李基白, "웅진시대 백제의 귀족세력" (특집) : 1982

      8 金賢淑, "웅진시기 백제와 고구려의 관계. in: 고대 동아세아와 백제" 충남대 백제연구소 2002

      9 崔鍾澤, "아차산 고구려 보루의 역사적 성격" 64 : 2006

      10 徐榮一, "신라 육상교통로 연구" 학연문화사 1999

      11 千寬宇, "삼한의 국가형성(下)" 3 : 1976

      12 문안식, "백제의 흥망과 전쟁" 혜안 2006

      13 김영관, "백제의 웅진천도 배경과 한성 경영" 11 : 2000

      14 김병남, "백제웅진시대의북방영역" 64 : 2003

      15 盧重國, "백제왕실의 남천과 지배세력의 변천" 서울대국사학과 4 : 1978

      16 심광주, "남한지역의 고구려 유적" 12 : 2001

      17 백종오, "남녘의 고구려 문화유산" 서경 2006

      18 朴性鳳, "고구려의 한강유역 진출과 의의" 42 : 1984

      19 金榮官, "고구려의 청주지역 진출 시기" 한국고대학회 (25) : 657-674, 2006

      20 김현숙, "고구려의 영역지배 방식 연구" 모시는 사람들 2005

      21 이인철, "고구려의 대외정복 연구" 백산자료원 2000

      22 임기환, "고구려의 남진과 백제의 정치변동. in: 한성도읍기의 백제" 충청남도 역사문화원 2007

      23 李道學, "고구려의 낙동강유역 진출과 신라·가야 경영" 2 : 1988

      24 鄭永鎬, "고구려의 금강유역 진출에 대한 小考" 3 : 1989

      25 盧泰敦, "고구려사 연구" 사계절 1999

      26 손영종, "고구려사" 과학백과사전종합출판사 1990

      27 井上直樹, "고구려と5世紀の東アヅア" 110 : 2002

      28 盧重國, "고구려·백제·신라의 力學關係에 대한 一考察" 28 : 1981

      29 尹明哲, "고구려 해양사 연구" 사계절 2003

      30 이성제, "고구려 장수왕의 대북위교섭과 그 정치적 의미 -북연을 둘러싸고 이루어진 대북위관계의 전개-" 역사학회 181 (181): 1-35, 2004

      31 임기환, "고구려 신라의 한강 유역 경영과 서울" 서울학연구소 (18) : 1-33, 2002

      32 沈載淵, "강원지역 철기문화의 성격" 30 : 1999

      33 민덕식, "高句麗의 中期都城" 국사편찬위원회 19 : 1989

      34 堀田啓一, "高句麗壁畵古墳にみゐ武器と武裝. in: 展望アヅアの考古學原考古學硏究所論文集" 1983

      35 尹善泰, "馬韓의 辰王과 臣沽國-領西濊지역의 歷史的推移와 관련하여" 34 : 2001

      36 申瀅植, "韓國古代史의 新 硏究" 일조각 1984

      37 徐炳國, "靺鞨의 韓半島南下" 3 : 1974

      38 津田左右吉, "長壽王征服地域考. in: 津田左右吉全集 11" 岩波書店 1964

      39 박진숙, "長壽王代高句麗의 對北魏外交와 百濟. in: 고구려의 국제관계" 2005

      40 朴燦圭, "百濟熊津初期北境問題" 24 : 1991

      41 李基東, "百濟史硏究" 일조각 1996

      42 성주탁, "百濟儀式考" 1 : 1981

      43 金廷學, "百濟と倭國" 大興出版社 1981

      44 여호규, "漢城時期 百濟의 都城制와 防禦體系" 백제연구소 36 : 1-23, 2002

      45 金澤均, "江原濊貊攷" 2 : 1997

      46 小田省吾, "朝鮮史大系(上世史)" 朝鮮史學會 1928

      47 단재신채호기념사업회, "朝鮮上古史. in: 丹齋申采浩全集 上" 1982

      48 孔錫龜, "德興里壁畵古墳의 主人公과 그 性格" 충남대 백제연구소 21 : 1990

      49 金賢淑, "廣開土王碑를 통해 본 高句麗守墓人의 社會的 性格" 65 : 1989

      50 文安植, "嶺西濊文化圈의 設定과 歷史地理的 背景" 30 : 1996

      51 津田左右吉, "好太王征服地域考. in: 朝鮮歷史地理第一" 1913

      52 최종택, "夢村土城 內 高句麗遺蹟 再考" 고려사학회 12 : 1-40, 2002

      53 김영관, "古代 淸州地域의 歷史的 動向" 백산학회 (82) : 31-79, 2008

      54 최종택, "南韓地域 高句麗 土器의 編年 硏究" 한국고대학회 (24) : 283-299, 2006

      55 三崎良章, "北魏の對外政策と高句麗" 102 : 1982

      56 金昌鎬, "中原高句麗碑의 再檢討" 4 : 1987

      57 李康來, "三國史記에 보이는 靺鞨의 軍事活動" 2 : 1986

      58 兪元載, "三國史記僞靺鞨考" 29 : 1979

      59 酒井改藏, "三國史記の地名考" 54 : 1970

      60 金鍾權, "三國史記" 대양서적 1978

      61 채태형, "『三國史記』의 말갈관계기사에 대하여" 3 : 1992

      62 文安植, "『三國史記』羅·濟本紀靺鞨史料에 대하여" 13 : 1988

      63 宣石悅, "『三國史記』新羅本紀上代百濟關係記事의 檢討와 그 紀年. in: 新羅末高麗初의 政治·社會變動" 신서원 1996

      64 김태식, "『三國史記』地理志高句麗條의 史料的 檢討" 154 : 1997

      65 林起煥, "6∼7세기 고구려 정치세력의 동향" 5 : 1992

      66 鄭雲龍, "5世紀 高句麗勢力圈의 南限" 35 : 1989

      67 徐榮一, "5∼6세기의 고구려 東南境 고찰" 24 : 1991

      68 鄭雲龍, "5∼6세기 신라·고구려 관계의 추이" 15 : 1994

      69 盧泰敦, "5∼6세기 東아시아의 國際情勢와 高句麗對外 關係" 44 : 1984

      70 임범식, "5~6세기 한강유역사 재고" 15 : 2002

      71 전덕재, "4세기 국제관계의 재편과 신라의 대응" 36 : 2000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5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2-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KCI등재
      2020-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2019-12-01 평가 등재후보 탈락 (계속평가)
      2018-12-01 평가 등재후보로 하락 (계속평가) KCI등재후보
      201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8-10-02 학술지명변경 한글명 : 서울학연구 -> 서울학연구 KCI등재
      2006-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5-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4-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FAIL () KCI등재후보
      2003-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63 0.63 0.68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61 0.62 1.483 0.14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