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일제강점기 통영에서의 일본인 나전칠기 산업의 침투 = Japanese occupation in Tongyeong penetration Najeon Chilgi Industry of Japanese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5883886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나전칠기 기법은 예로부터 중국에서 조선, 일본으로 전해진 것으로, 칠공예 기법 중 하나였다. 중국에서는 조금, 일본에서는 시회가 발달하였으며 우리나라에서는 나전칠기가 가장 보편적...

      나전칠기 기법은 예로부터 중국에서 조선, 일본으로 전해진 것으로, 칠공예 기법 중 하나였다. 중국에서는 조금, 일본에서는 시회가 발달하였으며 우리나라에서는 나전칠기가 가장 보편적으로 발달하였다. 일본은 칠의 나라라고 할 정도로 칠 문화가 발달하였지만 나전칠기는 예외였다. 전통적인 조선의 공예 문화는 일본인의 필요에 따라 자주 왜곡되었다. 일본식 기술에 의해서 많은 변화와 왜곡을 감당하여야 했다. 그리고 그런 영향은 해방 이후까지 이어졌다.
      우리 전통기법은 물론이고, 전통적인 일본식 기법도 변화를 맞이하여 독특한 통영지역의 나전칠기가 형성되었다. 이러한 역사성에 대해서 검토하고 그 왜곡과 변화와 계승에 대한 체계적인 이해가 없었다. 통일신라, 고려, 조선으로 이어지는 역사와 그 시대를 대표하는 종교적인 부분에 초점을 맞추어 서술 하였다. 종교적인 관찰로서 사진자료에 기반을 두고 문양의 상징성이나 형태, 제작기법, 시문기법 등 의장에 관한 설명으로 집중하여 구성되었다. 식민지시기 및 사회상황으로 이어지는 근대 통영지역 나전칠기산업의 실상과 제한적으로 다루었다.
      본 연구는 이러한 나전칠기의 근대적 궤적에 대한 관심에서 출발하였다. 식민지시기 통영나전칠기 산업이 공업전습소를 시작으로 조선총독부의 연결고리에 의한 형성과 은사수산 산업으로 이어지는 일본인들의 나전칠기 산업의 형성과정을 살피는데 목적을 두었다. 이 연구를 통하여 (1)전통적인 관주도에 의하여 통영지역 나전칠기 업은 성장해왔다. (2)이주 일본인의 상업 자본에 종속되어 갔다. (3)통치구조의 강화를 위한 수단의 회유성 정책 이었다. (4)나전칠기 연구회를 창립하고 통영칠공조합에 가입하여 활동을 하였다. 이상과 같이 모든 쟁점은 일본인이 중심이 되었으며 해방이 될 때 까지 유지 되었다.
      요컨대, 일본인 자본가들 눈에는 자신들의 성공을 위한 수단으로서 식민지시기 조선은 기회의 땅이 되었다. 조선에 개척지의 이권을 노리고 이주한 일본인들은 표면적으로는 국가를 강조하였다. 내면에는 자신의 이익을 늘리는데 모든면에서 우선이 되었다. 개인 사업이 총독부라는 권력의 연결고리 아래서 국가적 사업이 포장되어 덧씌워져 개인의 이익을 추구하는 전형적인 식민사업 이었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Najeon chi-gi was one of the techniques that was introduced to Japan from China to Joseon. In China, Chogum was Makie in Japan, and in Korea, Najeon chi-gi was the most common. Japan has developed a culture of painting to the extent that it is a count...

      Najeon chi-gi was one of the techniques that was introduced to Japan from China to Joseon. In China, Chogum was Makie in Japan, and in Korea, Najeon chi-gi was the most common. Japan has developed a culture of painting to the extent that it is a country of lacquer, but it was an exception to Najeon chi-gi. Traditional Joseon’s craft culture was often distorted by the needs of the Japanese. The Japanese style of technology required many changes and distortions. And that effect continued until after liberation.
      Traditional Japanese techniques, as well as traditional Korean techniques, have developed a unique Tongyeong Najeon chi-gi. There was no systematic understanding of the distortion, changes and succession of historical facts. It focused on the history that led to Unified Silla, Goryeo and Joseon. Based on the photographs as a religious observation, it was organized by focusing on the description of the chair, such as symbolism, form, production technique, and test methods. It dealt with the reality of the Najeon Chilgi industry in Tongyeong, the area leading to the colonial period and social.
      This study began with an interest in the modern trajectory of Najeon Chilgi. During the colonial period, Tongyeong Najeon Chilgi industry was aimed at examining the formation process of Najeon Chilgi industry by the Joseon Governor-General’s link with the Eunsha Susan industry. Through this study (1)Traditional government initiatives have led to the growth of the Tongyeong region’s Najeon Chilgi. (2)It has been subjected to commercial capital of the Japanese immigrants. (3)It was a conciliatory policy of methods for strengthening the governance structure. (4)The founded Najon Chilgi Research Institute and joined the Tongyeong Chil Gong Guild to work. As above, all the issues were centered on the Japanese and maintained until liberation.
      Therefore, in the eyes of Japanese capitalists, Joseon during the colonial period became a land of opportunity as a means of their success. In short, in the eyes of Japanese capitalists, Joseon during the colonial period became a land of opportunity as a means of their success. The Japanese who emigrated to Joseon for the right to take advantage of the frontier emphasized the nation on the surface. Inside, it was all about increasing one’s profits. It was a typical colonial project in which a national project was paved and overlaid under the power of the Government-General.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이종석, "한국의 목공예" 열화당 1986

      2 "한국사데이터베이스, 근현대조합자료"

      3 통영시사편찬위원회, "통영시지(상)" 통영시 1999

      4 "통영상공회의소 60년사"

      5 김일룡, "통영나전칠기 역사" 통영문화원 (12) : 2011

      6 김시연, "충무나전칠기산업의 생산·유통구조" 慶北大學校 敎育大學院 1995

      7 이가연, "진남포의 ‘식민자’ 도미타 기사쿠[富田儀作]의 자본축적과 조선인식" 부경역사연구소 (38) : 391-428, 2016

      8 "중외일보"

      9 김현구, "조선후기 統制營의 公廨 구성과 변천" 부산경남사학회 (83) : 105-161, 2012

      10 "조선왕조실록"

      1 이종석, "한국의 목공예" 열화당 1986

      2 "한국사데이터베이스, 근현대조합자료"

      3 통영시사편찬위원회, "통영시지(상)" 통영시 1999

      4 "통영상공회의소 60년사"

      5 김일룡, "통영나전칠기 역사" 통영문화원 (12) : 2011

      6 김시연, "충무나전칠기산업의 생산·유통구조" 慶北大學校 敎育大學院 1995

      7 이가연, "진남포의 ‘식민자’ 도미타 기사쿠[富田儀作]의 자본축적과 조선인식" 부경역사연구소 (38) : 391-428, 2016

      8 "중외일보"

      9 김현구, "조선후기 統制營의 公廨 구성과 변천" 부산경남사학회 (83) : 105-161, 2012

      10 "조선왕조실록"

      11 차철욱, "전근대 군사도시에서 근대 식민도시로의 변화 - 경남 통영의 사례 -" 한일관계사학회 (48) : 313-350, 2014

      12 전지영, "일제강점기 임시은사금의 분배와 성격에 관한 연구" 강원대학교 대학원 2008

      13 "월간 한국 나전칠기・목칠공예"

      14 "시대일보"

      15 "부산일보"

      16 "동아일보"

      17 김근배, "대한제국초기-일제 초 관립공업전습소의 설립과 운영" 서울대 한국문화연구소 18 : 1996

      18 조석래, "나전칠기 공예의 중심은 통영이다" 통영문화원 (12) : 2011

      19 "근대나전칠기공예"

      20 이종애, "근대 학국 공예의 사회적 양상 연구" 숙명여대 대학원 1990

      21 하 훈, "근대 통영지역 나전칠기 산업 연구" 동의대학교 대학원 2018

      22 "경국대전 권지 6"

      23 "每日申報"

      24 中村資良, "朝鮮銀行会社要錄" 東洋経済新報社 1921

      25 朝鮮總督府, "朝鮮總督府官報"

      26 朝鮮總督府, "朝鮮總督府 施政25周年 記念 表彰者 明鑑"

      27 朝鮮總督府殖産局, "朝鮮工場名簿 昭和 七年版"

      28 朝鮮總督府, "朝鮮各道府郡 臨時恩賜金由來及其ノ事業槪要"

      29 日本漆工会, "朝鮮の統營螺鈿漆器" 228 : 1919

      30 山口豊正, "朝鮮の硏究" 巖松書堂店 1911

      31 山本精一, "慶南統營郡案內"

      32 富田精一, "富田儀作傳"

      33 배민재, "1910년대 조선총독부 임시은사금사업의 운영방향과 그 실제" 서울대학교 대학원 2008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8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2-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6-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2-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8-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7-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FAIL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5-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33 0.33 0.31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31 0.31 0.524 0.12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