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고등학생의 표면전하분포모형 중심의 전기회로에 대한 이해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T13438989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우리나라 교육과정에서 정전기와 전기회로의 단원의 구성은 학년별로 분리되어 있어 학습의 연계성이 낮으며, 물 회로와 같은 비유수업으로 인하여 전압의 정의나 미시적 전기현상을 설명...

      우리나라 교육과정에서 정전기와 전기회로의 단원의 구성은 학년별로 분리되어 있어 학습의 연계성이 낮으며, 물 회로와 같은 비유수업으로 인하여 전압의 정의나 미시적 전기현상을 설명하는데 제한이 많다. 전기회로의 전류와 전압 해석에서 나타나는 학생들의 어려움들은 미시적 관점에서 전하들의 운동에 대한 구체적 이해와 전압에 대한 명확한 개념 정립이 되어 있지 않은 것에 기인한다는 국․내외 연구결과들이 있다. 이에 본 연구는 전위차 개념을 강조한 표면전하분포모형 중심의 전기회로 교수·학습과정을 개발하고 적용하여 고등학생들의 전기회로와 표면전하분포모형에 대한 이해와 어려움을 분석하여 중등학교의 전기회로 관련 교육과정 및 교수·학습 방법의 개선에 필요한 시사점을 얻고자 하였다.
      표면전하분포모형은 정전기 단원에서 학습하는 미시적 설명 모형인 표면전하와 전기장을 직류 전기회로 단원에서 학습하는 거시적 물리량인 전압과 전류와 연계하는 교수·학습방안이며 본 연구에서는 고등학생을 위한 표면전하분포모형 교수·학습과정 개발의 주안점을 다음과 같이 설정하였다. 첫째, 정전기 현상의 특징인 도체의 표면전하들에 의해서 형성되는 전기장과 전위의 개념을 전기회로의 전기현상 해석에 적용할 수 있도록 한다. 둘째, 전기회로를 구성하는 전지, 전선, 저항 등 각 소자들의 전기적 특성과 표면전하분포를 세분화 하여 이해 할 수 있도록 한다. 셋째, 저항에서 전하분포가 일정하게 변하는 특성을 저항이 다수인 직렬연결회로에도 확장하여 적용할 수 있도록 한다.
      본 연구의 참여 학생은 부산 시내 일반계 고등학교 1학년 학생들로 자연계열의 진학을 희망하며 방과 후 교육활동에 참여하는 2개반 50명이다. 교수·학습활동은 정전기, 전기회로 구성소자 및 전지의 전압, 전선과 저항선의 표면전하분포, 저항회로의 표면전하분포 모형, 직렬 및 병렬회로에서 전하분포모형 적용 등 총 5차시로 구성되었고 각 차시는 90분으로 수행되었으며 본 교수·학습자료를 개발한 연구자가 수업을 진행하였다. 교수·학습 과정의 수행 전과 후의 전기회로의 이해가 향상되었는지를 확인하기 위해서 직류저항전기회로 개념검사(DIRECT), 직렬회로 및 병렬회로에 대한 전압개념검사를 투입하였고 표면전하분포모형 중심의 전기회로 및 표면전하분포모형에 대한 이해와 어려움을 분석하기 위해서 자체 제작한 개념 검사를 실시하였다. 각 검사지의 선택형 문항에 대한 학생의 응답은 EXCEL(Ver.2010)과 SPSS(Ver.18.0) 등을 사용하여 양적으로 통계분석 하였으며, 자유반응형 문항에 대한 응답은 유형화를 통한 질적 분석을 수행하였다.
      직류저항전기회로(DIRECT) 개념검사에서는 사후의 평균 점수(52%)가 사전 평균점수(36%)보다 높게 나와 성취도 향상이 통계적으로 유의미 한 것으로 확인되었으나 정규이득 분석결과 일반적인 향상도 범주인 것으로 확인되었다. 하지만 미시적·정성적 전기회로이해, 전위차(전압) 개념, 회로 전체적 관점에서의 전기회로이해 개념영역에 대한 성취도 향상이 전체 평균점수의 향상 보다 높게 나타났으며 특히 전압 개념영역 점수 향상이 가장 크게 나타났다. 전압개념검사 결과 학생들은 직렬회로에서 저항의 전압분배 개념이 좋아졌고 병렬회로에서는 전압중심의 회로해석 접근방법이 증가하였다. 전체적으로 정성적 문항과 전지의 전압일정 특성 및 전류와 전압의 구분 등 전압개념 이해가 크게 향상되었다.
      표면전하분포모형에 대한 이해와 어려움은 다음과 같았다. 연구참여 학생들은 고등학생을 위한 표면전하분포모형의 세 가지 강조점 중 미시적․정성적 설명과 소자별 표면전하분포모형을 잘 이해한 것으로 나타났다. 즉, 전류가 흐르는 원인과 표면전하가 형성하는 전위차에 대한 설명과 이해, 전지와 전선에서 전위차와 표면전하분포모형을 잘 이해한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세 번째 측면인 저항에 대한 표면전하분포모형의 적용에서는 다수의 학생들이 어려움을 겪은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저항이 여러 개 연결된 직렬회로에서 표면전하분포를 전위의 형태와 일치하게 표현하는데 어려움을 보여 주었다.
      결론적으로 고등학생을 대상으로 한 전위차를 강조한 표면전하분포모형 중심의 전기회로 교수․학습과정은 학생들의 전기회로 이해에 도움을 주었는데 특히 미시적 전류 흐름에 대한 원인, 전압과 전류 개념의 구분 그리고 전지의 전압특성과 병렬회로에서 전압 개념에 대한 이해 향상에 효과적임을 확인 할 수 있었다. 따라서 전류 및 전압에 대한 미시적 관점의 이해와 정성적 개념 학습에 강점이 있는 전위차 중심의 표면전하분포모형을 기존의 정량적 회로해석 중심의 전기회로 교수·학습과정과 접목함으로써 두 교수·학습과정을 상호 보완할 수 있는 계속적인 연구가 필요하다고 생각한다.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목 차
      • 초 록 ⅰ
      • 목 차 ⅴ
      • 표 목차 ⅷ
      • 목 차
      • 초 록 ⅰ
      • 목 차 ⅴ
      • 표 목차 ⅷ
      • 그림 목차 ⅹ
      • 1. 서론 1
      • 1.1. 연구의 동기 1
      • 1.2. 연구의 목적 4
      • 1.3. 연구 과정의 개요 5
      • 1.4. 용어의 정의 7
      • 1.4.1. 전기회로이해 7
      • 1.4.2. 표면전하분포모형 7
      • 1.4.3. 전기회로 구성소자 7
      • 1.5. 연구의 한계 8
      • 2. 이론적 배경 및 선행연구 9
      • 2.1. 전기회로 관련 교육과정 및 교과서 분석 9
      • 2.1.1. 국내 교육과정분석 9
      • 2.1.2. 국내·외 교과서 분석 11
      • 2.2. 중·고등학생의 전기회로에 대한 이해와 어려움 19
      • 2.2.1. 전류에 대한 이해와 어려움 19
      • 2.2.2. 전체적인 계(system)로서 전기회로 이해와 어려움 22
      • 2.2.3. 전압 개념에 대한 이해와 어려움 24
      • 2.2.4. 미시적-거시적 관점에서 전기회로에 대한 이해 27
      • 2.2.5. 정전기 및 전기회로 연계에 대한 이해와 어려움 29
      • 2.3. 표면전하분포모형 35
      • 2.3.1. 표면전하분포모형의 과학적 이해 35
      • 2.3.2. 교수·학습에서의 표면전하분포모형 43
      • 2.3.3. 전기회로 학습에서 물 회로 비유와 표면전하분포모형 49
      • 2.4. 고등학생을 위한 표면전하분포모형 54
      • 2.4.1. 과학적 모형의 구성 54
      • 2.4.2. 교수·학습 기본가정 62
      • 2.4.3. 교수·학습 과정의 구현 75
      • 3. 연구방법 91
      • 3.1. 연구대상 91
      • 3.2. 자료수집 91
      • 3.3. 평가도구 및 분석방법 92
      • 3.3.1. 직류저항전기회로 개념검사 92
      • 3.3.2. 전압개념검사: 직렬회로, 병렬회로 93
      • 3.3.3. 표면전하분포모형 중심의 전기회로 이해 검사 94
      • 4. 결과 및 분석 99
      • 4.1. 전기회로의 이해 향상 99
      • 4.1.1. 직류저항전기회로 개념검사 99
      • 4.1.1.1. 전체적 개요 99
      • 4.1.1.2. 미시적·정성적 전기회로 이해 101
      • 4.1.1.3. 전위차(전압) 개념 104
      • 4.1.1.4. 회로 전체적 관점의 전기회로이해 105
      • 4.1.2. 전압개념검사 109
      • 4.1.2.1. 전체적 개요 109
      • 4.1.2.2. 직렬회로 111
      • 4.1.2.3. 병렬회로 117
      • 4.1.3. 결과논의 126
      • 4.2. 표면전하분포모형의 전기회로이해 133
      • 4.2.1. 전체적 개요 133
      • 4.2.2. 영역 1. 전기현상의 미시적 이해 139
      • 4.2.3. 영역 2. 전기회로 구성 소자별 표면전하분포 특성 158
      • 4.2.4. 영역 3. 저항회로에서의 표면전하분포모형 구현 175
      • 4.2.5. 영역 4. 표면전하분포모형 적용과 전기회로 해석 183
      • 4.2.6. 결과 논의 198
      • 5. 요약 및 결론 206
      • 5.1. 요약 206
      • 5.2. 결론 및 제언 212
      • 5.2.1. 결론 212
      • 5.2.2. 제언 및 추후과제 213
      • 참고문헌 215
      • [부록 1] 직류저항전기회로 개념검사:DIRECT 223
      • [부록 2] 전압 개념검사: 직렬회로, 병렬회로 227
      • [부록 3] 표면전하분포모형 중심의 전기회로 이해 검사 230
      • [부록 4] 교수·학습 활동지(5차시) 243
      • ABSTRACT 269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논문관계도

      1 Serway, Raymond A, "Physics", Holt, Rinehart and Winston, 2002

      2 Sommerfeld, Arnold, "Electrodynamics", Academic Press, 1952

      3 H?rtel, "The electric voltage", 1985

      4 정완호, "중학교 과학 . 1", 교학사, 2002

      5 White, Richard T, "Probing understanding", Falmer, 1992

      6 Elgin, "SCIENCE POWER 9, pp.294-340", "SCIENCE POWER 9, 2005

      7 Shipstone, "Electricity in simple circuits", 1985

      8 Chabay, Sherwood, "Restructuring Introductory E&M", 2006

      9 Parker, "Electrostatics and current flow", 1970

      10 Zitzewitz, Paul W, "Physics : principles and problems", McGraw Hill/Glencoe, 2005

      1 Serway, Raymond A, "Physics", Holt, Rinehart and Winston, 2002

      2 Sommerfeld, Arnold, "Electrodynamics", Academic Press, 1952

      3 H?rtel, "The electric voltage", 1985

      4 정완호, "중학교 과학 . 1", 교학사, 2002

      5 White, Richard T, "Probing understanding", Falmer, 1992

      6 Elgin, "SCIENCE POWER 9, pp.294-340", "SCIENCE POWER 9, 2005

      7 Shipstone, "Electricity in simple circuits", 1985

      8 Chabay, Sherwood, "Restructuring Introductory E&M", 2006

      9 Parker, "Electrostatics and current flow", 1970

      10 Zitzewitz, Paul W, "Physics : principles and problems", McGraw Hill/Glencoe, 2005

      11 송진웅, "학생의 물리 오개념 지도", 2007

      12 Kircher, "Analogies for the electric circuit", 1985

      13 Chabay R.W, "Electric and magnetic interactions", John Wiley & Sons, 1995

      14 Blake, "Grade 9 Science Ontario pp.400-468", 2007

      15 Benson, 물리교재 편찬 위원회, "University Physics. 대학물리학", 1996

      16 Rosser, "What makes an electric current flow", 1963

      17 C losset, "S equential reasoning in electricity", Sequential reasoning in electricity, 1983

      18 김범기, 권재술, "전기에 과한 학생들의 개념", 1998

      19 Fredette, J.Lochhead, "Student conceptions of simple circuits", 1980

      20 Osborne, "Children's ideas about electric current", Children's Ideas about electric current, 1981

      21 마순영, "전위 및 접지에 대한 개념 조사", 2002

      22 교육과학기술부, "2009년 개정 과학과 교육과정해설", 2009

      23 Clement, "Learning via model construction and criticism", 1989

      24 Preyer, "Surface charges and fields of simple circuits", 2000

      25 Case, McKittrick, Gunstone, "The complexity of explanations in electricity", 2001

      26 Jackson, "Surface charges on circuit wires and resistors", 1996

      27 Hestenes, "Toward a modeling theory of physics instruction", 1987

      28 H?rtel, "The Electric Circuit as a System: A New Approach", 1982

      29 교육과학기술부, "2007년 개정 중학교 과학과 교육과정해설", 2007

      30 안수영, 권재술, "대학생들의 물리 개념 오인에 관한 연구", 한국교원대학교 과학교육연구소, 물리교육 7(1): 26-41, 1991

      31 Duit, von Rh?neck, "Learning and understanding key concepts of electricity", 1998

      32 Moreau, "Charge distribution on DC circuits and Kirchhoff’s laws", 1989

      33 Licht, Thijs, "Method to trace coherence and persistence of preconceptions", 1990

      34 박윤희, "중학생들의 수업 전후 전류에 대한 개념 변화", 서울大學校 大學院, 중학생들의 수업 전후 전류에 대한 개념변화, 1990

      35 Galili, Goihbarg, "Energy transfer in electrical circuits: A qualitative account", 2005

      36 Chabay R.W, Sherwood B.A, "Matter and Interactions II: Electric and Magnetic Interactions", 2002

      37 Gilbert, "Models and Modelling: Routes to More Authentic Science Education", Models and Modelling: Routes to more authentic science education, 2004

      38 Rainson, Viennot, "Students’ reasoning about the superposition of electric fields", 1992

      39 Fredette, Clement, "Student Misconceptions of an Electric Circuit: What Do They Mean?", 1981

      40 Jefimenko, "Demonstration of the electric field of current-carrying conductors", 1962

      41 김경록, "전기회로에 대한 물 흐름 유추의 유체역학적 분석", 경인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 2007

      42 박윤배, 박윤선, "전류에 관한 오개념 교정을 위한 비유수업의 효과", 1999

      43 Shipstone, "A study of children’s understanding of electricity in dc circuits", 2002

      44 권재술, 문충식, "전류에 관한 학생들의 오인 유형 변화의 종단 연구", 1991

      45 김재우, 오원근, "전기와 정전기 개념의 차이에 대한 중학생들의 이해", 2004

      46 김중복, 이정숙, "전하의 이동을 고려한 꼬마전구 불켜기에 대한 이해", 한국현장과학교육학회, 2009

      47 White, Frederiksen, Spoehr, "Conceptual models for understanding the behavior of electrical circuits", 1993

      48 Beh, M illar, "Students unders tanding of voltage in s impleparallel electric circuits", 1993

      49 Beichner, Engelhardt, "Students' understanding of direct current resistive electrical circuits", 2004

      50 King T, Millar R, "Students’ understanding of voltage in simple series electric circuits", 1993

      51 Shipstone, "A study of children's understanding of electricity in simple DC circuits", 1984

      52 Licht, "Teaching electrical energy, voltage and current: an alternative approach", "Teaching electrical energy, 1991

      53 Walz, "Fields that accompany currents,” in Aspects of understanding electricity", "Fields that accompany currents, 1985

      54 이학식, 임지훈, "통계분석방법 및 해설(Statistical package for the social sciences)", 2005

      55 여미경, "전압과 접지의 개념변화를 위한 튜토리얼의 개발과 적용", 2006

      56 H eller, F inley, "V ariable uses of alternative conception s: Acase study in current electricity", Variable uses of alternative conceptions: A case study in current electricity, 1992

      57 양혜정, "전기회로에 관한 정성적 문항과 정량적 문항의 난이도 비교", 한국교원대학교, 한국교원대학교 석사학위논문, 1995

      58 김중복, "전류와 관련한 내용에 대한 교육과정에서 검토해야 할 사항", 한국현장과학교육학회, 전류와 관련한 내용에 대한 교육과정에서 검토해야할 사항, 2009

      59 Cosgrove, "A Study of Science-in-the-making as Students Generate an Analogy for Electricity", 1995

      60 Rosser, "Magnitudes of surface charge distributions associated with electric current flow", 1970

      61 Maichle, "Representation of knowledge in basic electricity and its use for problem solving", 1981

      62 김영민, "중학생의 전류 개념 변화에 미치는 체계적 비유 수업의 영향", 서울대학교 대학원, 중학생의 전류개념 변화에 미치는 체계적 비유수업의 영향, 1991

      63 Clement, Steinberg, "Step-wise evolution of models of electric circuits: A "learning-aloud" case study", "Step-wise evolution of models of electric circuits: A ""learning-aloud"" case study", 2002

      64 S.Johsua, Dupin, "Conceptions of French Pupils Concerning Electric Circuits: Structure and Evolution", 1987

      65 박승재, 박윤희, 김영민, "중학생의 전류에 대한 학습전 개념과 관계 현상 관찰후의 설명", 한국과학교육학회, "한국과학교육학회지 10(1), 1990

      66 Rea-Ramirez, M. A., "Model of conceptual understanding in human respiration and strategies for instruction", 1998

      67 Barbas, Psillos, "Causal reasoning as a base for advancing a systemic approach to simple electrical circuits", Causal Reasoning as a Base for Advancing a Systemic Approach To Simple Electrical Circuits, 1997

      68 Psillos, Tiberghien, Koumaras, "Voltage Presented as a Primary Concept in an Introductory Teaching Sequence on DC Circuits", 1988

      69 Cohen, Ganiel, Eylon, "Potential difference and current in simple electric circuits : A study of students' concepts", 1983

      70 A rnold, M illar, "B eing constructive: A n alternative approach tothe teaching of introductory ideas in electricity", Being constructive: An alternative approach to the teaching of introductory ideas in electricity, 1987

      71 Kight, "Physics for Scientists and Engineers: A Strategic Approach with Modern Physics, 3/E, Chap 30 pp.870", "Physics for Scientists and Engineers: A Strategic Approach with Modern Physics, 2004

      72 Alex, Rebecca, Antonio, "New experimental method of visualizing the electric field due to surface charges on circuit elements", 2010

      73 Kim, "Visualizing standing waves along the two parallel conducting pipes using household electronic appliances", 2007

      74 김형준 ( Hyung Jun Kim ), 유준희 ( June Hee Yoo ), "중학생 과학탐구활동 수행평가 시 채점 방식 및 척도의 수에 따른 신뢰도 분석", 한국과학교육학회, 2010

      75 유성이, 백성혜, "입자와 에너지 관점에서 분석한 초등학교와 중학교 전류와 전지 단원의 문제점", 한국교원대학교 과학교육연구소, "한국과학교육학회지 20(3), 2000

      76 Eylon, Ganiel, "Macro-micro relationships: the missing link between electrostatics and electrodynamics in student reasoning", 1990

      77 전동렬, 최정호, "전기와 전하의 혼용이 과학적 개념 형성에 미치는 영향과 올바른 교과 지도 방향", 한국물리학회, 전기와 전하의 혼용이 과학적 개념 형성에 미치는 영향과 올바른 교과지도 방향, 2009

      78 Clement, "Model construction and criticism cycles in expert reasoning, Fifteenth Annual Meeting of the Cognitive Science Society", "Model construction and criticism cycles in expert reasoning, 1993

      79 Boys, Thacker, Ganiel, "Macroscopic phenomena and microscopic processes : Student understanding of transients in direct current electric circuits", Macroscopic phenomena and microscopic processes: Student understanding of transients in direct current electric circuits, 1999

      80 de Posada, "Conceptions of high school students concerning the internal structure of metals and their electric conduction : Structure and evolution", Conceptions of High School Students Concerning the Internal Structure of Metals and Their Electric Conduction: Structure and Evolution, 1997

      81 Richard R.Hake, "Interactive-engagement versus traditional methods: A six-thousand-student survey of mechanics test data for introductory physics courses", 1998

      82 Shaffer, McDermott, "Research as a guide for curriculum development: An example from introductory electricity, Part I: Investigation of student understanding", "Research as a guide for curriculum development: An example from introductory electricity, 1992

      83 오필석, "중등학교 지구과학 수업에서 과학적 모델의 활용 양상 분석: 대기 및 해양 지구과학 관련 수업을 중심으로", 한국과학교육학회, 2007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