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 실험의 목적은 오래된 복합레진과 새로운 복합레진 사이의 전단결합강도 측정 시 새로운 레진을 적용하기 이전 universal adhesive의 적용 방법(접착제를 여러 번 도포하는 것과 중합 여부)이 ...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https://www.riss.kr/link?id=T15530854
Cheonan: Graduate School Dankook University., 2020
Thesis(M.A.) -- Graduate School Dankook University , Department of Conservative Dentistry , 2020. 2
2020
영어
617.6 판사항(23)
충청남도
v, 27 leaves: 삽화; 30cm.
단국대학교 논문은 저작권에 의해 보호받습니다.
Advisor :Dong-Hoon Shin
참고문헌 : leaves 21-25
I804:11017-000000195081
0
상세조회0
다운로드국문 초록 (Abstract)
이 실험의 목적은 오래된 복합레진과 새로운 복합레진 사이의 전단결합강도 측정 시 새로운 레진을 적용하기 이전 universal adhesive의 적용 방법(접착제를 여러 번 도포하는 것과 중합 여부)이 ...
이 실험의 목적은 오래된 복합레진과 새로운 복합레진 사이의 전단결합강도 측정 시 새로운 레진을 적용하기 이전 universal adhesive의 적용 방법(접착제를 여러 번 도포하는 것과 중합 여부)이 결합강도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 평가하는 것이다.
78개의 실린더 형태의 복합레진 시편(Filtek Z350 XT)을 준비하여 일주일 동안 증류수에 보관 후 thermocycling(5,000 cycles, 5- 55℃)을 시행하여 오래된 레진 기질로 사용하였다. 400-grit의 실리콘 카바이드 샌드 페이퍼를 이용하여 표면을 거칠게 만든 후 37% 인산을 이용하여 산 부식을 시행하고, 표본을 적용하는 접착제에 따라 동등하게 두 그룹으로 분류하였다. (Single Bond Universal and Prime & Bond Universal) 각 그룹은 접착제의 적용방법에 따라 세 개의 하위 그룹으로 나누었다. (n=13) ⑴ 1회 적용 후 중합 ⑵ 1회 적용 후 미중합 ⑶ 3회 적용 및 중합.
같은 회사의 복합레진을 이용하여 수리 과정을 시행하였다. 증류수에 24시간 보관한 이후 각 표본에 대하여 전단결합강도 시험을 시행하였고, 자료를 통계적으로 분석하였다. (Two-way ANOVA, One-way ANOVA, independent t-test, P<0.05) 실체 현미경을 이용하여 파절 유형을 분류하고, 주사 전자 현미경을 이용하여 접착 계면의 결합 양상을 관찰하였다.
이원분산분석에서 접착제의 종류가 유의한 요소로 나타났다. Single Bond Universal을 사용했을 때의 결합강도는 Prime&Bond universal을 사용했을 때의 결합강도보다 더 높으며 가장 높은 평균 전단결합강도는 Single Bond Universal을 한 번 바르고 중합했을 때에 나타났다. 여러 번의 접착제 도포는 접착층의 두께를 유의하게 증가시켰지만 전단결합강도에는 유의한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 파절 유형은 주로 오래된 레진 기질 내의 cohesive failure로 나타났다.
견고한 결합강도를 얻기 위해 적절한 접착제를 선택하여 적용하는 것이 중요하다. Z350 XT nanocomposite 수복물을 수리하는 데에 있어 Single Bond Universal을 사용하는 것이 Prime&Bond Universal보다 더 높은 전단결합강도를 보이며 접착제의 추가 도포는 단지 접착층의 두께만을 증가시키고 전단결합강도에는 유의한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in vitro study was to evaluate the effect of application method of universal adhesives on the shear bond strength between aged and repaired composites applied with different thickness that were cured or left uncured when fresh comp...
The purpose of this in vitro study was to evaluate the effect of application method of universal adhesives on the shear bond strength between aged and repaired composites applied with different thickness that were cured or left uncured when fresh composite was placed.
A total of 78 cylinder shaped composite specimens (Filtek Z350 XT) were prepared, stored in distilled water for a week followed by thermocycling (5,000 cycles, 5℃ to 55℃), and served as substrates. They were mechanically roughened using 400-grit silicon carbide sandpapers and etched with phosphoric acid. After surface treatment, samples were equally divided into two groups: group A, Single Bond Universal (SU, 3M ESPE), and group B, Prime & Bond Universal (PB, Dentsply). Each group was subdivided into three subgroups (n=13) according to the application methods. ⑴ 1 coat + curing ⑵ 1 coat + uncuring ⑶ 3 coats + curing. They were repaired using the same composite resin. After storage for 24h in distilled water, specimens were subjected to a shear bond strength (SBS) test and the data (MPa) were statistically analyzed by two-way ANOVA to demonstrate the effects of adhesive and application method as well as their interaction. Specimens were examined with a stereomicroscope to analyze fracture mode and scanning electron-microscopy to observe the interface.
Bonding agent material was significant factor. Bond strengths achieved with SU were higher than with PB. The highest bond strength was obtained by 1-coat application of SU with curing. Multi-layer application resulted in an increase in adhesive layer thicknesses, but there i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SBS values. Failure mode was predominantly cohesive in old composites.
Application of an adequate bonding system plays a important role in achieving reliable repair bond strengths. Groups with SU showed higher SBS than groups with PB and the application of additional layers increased the adhesive layer thickness but do not significantly affect SBS.
목차 (Table of Conten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