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정종섭, "현대공법학의 과제: 청담최송화교수화갑기념" 박영사 2002
2 최대권, "헌법학강의" 박영사 2001
3 한태연, "헌법학-근대헌법의 일반이론-" 법문사 1983
4 권영성, "헌법학" 법문사 2011
5 성낙인, "헌법학" 법문사 2018
6 한수웅, "헌법학" 법문사 2011
7 長谷部 恭男, "헌법의 이성" 박영사 2014-, 2016
8 柄谷行人, "헌법의 무의식" 도서출판b 2017
9 정상우, "헌법상 용어의 연원과 의미 및 순화방안 연구" 한국법제연구원 2007
10 양선숙, "헌법과 국민의 권능" 철학연구회 (99) : 245-270, 2012
1 정종섭, "현대공법학의 과제: 청담최송화교수화갑기념" 박영사 2002
2 최대권, "헌법학강의" 박영사 2001
3 한태연, "헌법학-근대헌법의 일반이론-" 법문사 1983
4 권영성, "헌법학" 법문사 2011
5 성낙인, "헌법학" 법문사 2018
6 한수웅, "헌법학" 법문사 2011
7 長谷部 恭男, "헌법의 이성" 박영사 2014-, 2016
8 柄谷行人, "헌법의 무의식" 도서출판b 2017
9 정상우, "헌법상 용어의 연원과 의미 및 순화방안 연구" 한국법제연구원 2007
10 양선숙, "헌법과 국민의 권능" 철학연구회 (99) : 245-270, 2012
11 김효전, "헌법" 소화 2009
12 김철수, "학설판례 헌법학(상)" 박영사 2009
13 양선숙, "법적 허구(Legal Fiction)의 의의 - 헌법재판소의 5.18특별법 합헌 결정과 관련하여" 법학연구원 (34) : 185-210, 2010
14 박성우, "민주주의와 헌정주의의 갈등과 조화: 미국헌법 해석에 있어서 원본주의(Originalism) 논쟁의 의미와 역할" 한국정치학회 40 (40): 55-78, 2006
15 김비환, "민주주의와 법의 지배: 현대 입헌민주주의의 스펙트럼" 박영사 2016
16 이병규, "미연방헌법 제5조와 헌법의 변화" 한국비교공법학회 17 (17): 119-150, 2016
17 한병진, "미국 헌정질서, 법치, 민주주의의 삼위일체:애커만의 이중 민주주의론을 중심으로" 대한정치학회 14 (14): 19-36, 2007
18 박민정, "내러티브란 무엇인가?: 이야기 만들기, 의미구성, 커뮤니케이션의 해석학적 순환" 교육연구소 7 (7): 27-47, 2006
19 폴 코블리, "내러티브" 서울대학교출판문화원 2013
20 로베르트 알렉시, "기본권이론" 한길사 2007
21 이병규, "기본권의 대사인적 효력과 입헌주의 그리고 공사 구분" 한국비교공법학회 17 (17): 239-263, 2016
22 Michaela Peters, "규칙(Regel)과 원리(Prinzip)로서의 기본권" 서울대학교 법학연구소 43 (43): 2002
23 호미 바바, "국민과 서사" 후마니타스 2011
24 渋谷 秀樹, "立憲主義について 成立過程と現代" 左右社 2015
25 渋谷 秀樹, "憲法への招待" 岩波書店 2014
26 長谷部 恭男, "憲法とは何か" 岩波書店 2006
27 佐藤幸治, "憲法とその“物語”性" 有斐閣 2003
28 敦史海野, "制度的保障論の再構成" 長崎大学経済学部 27 : 2011
29 奥平康弘, "を紡ぎ続けて" かもがわ出版 2015
30 Ackerman, Bruce, "We the People: Foundations" Harvard University Press 1991
31 Ackerman, Bruce, "We the People. Volume 2: Transformations" Harvard University Press 1998
32 Ackerman, Bruce, "We the People, Volume 3: The Civil Rights Revolution" Belknap Press 2014
33 Strauss, David A., "The Living Constitution" Oxford University Press 2010
34 Strauss, David A., "The Irrelevance of Constitutional Amendments" 114 (114): 2001
35 안준홍, "87년 체제와 승인규칙의 변화" 법학연구소 36 (36): 261-276, 20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