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헌법의 의미와 헌법개정 그리고 헌법의 변화 = Meaning of the Constitution, Constitutional Amendment and Change in the Constitution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6064478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study aims to examine the meaning of the constitutional revision from a broader perspective through analyzing the concepts of the Constitution. In other words, based on the analysis of the constitutional concept structure, the study extends the significance of the constitutional amendment, through which it intends to take notice of changes in the Constitution, departing from the constitutional reform discussion with main focus on the constitutional texts.
      The Constitution has diverse legal forms and different existent aspects with a multi-layered complex of statutory law, judgment law and various systems supporting them. Since constitutional texts are not the only Constitution, it is difficult to grasp at once where the Constitution exists among all of the diverse legal forms and systems. Furthermore, it is important to pay attention to the meaning of ‘constitution’ which is different from that of ‘constitutional law.’ The concept which is compatible with forms of a nation, its existent aspects, its narratives and so on, should be certainly dealt with when asking “what is the Constitution?”.
      Based on the concept, the Constitution could be reformed without the normal constitution amendment procedures. At this point, the key might be the interlock between individual legal forms and existent aspects. Regarding the interlock, it is more important to keep the interlink of statutory law and judgment law.
      The discussion above is thought to demand review of what meaning and function constitutional amendment has, whether it could make a radical reform of the national system, and whether it is really needed. Such an approach is necessary to take dealing with the recent argument about constitutional revision that has been made in political circles.
      번역하기

      This study aims to examine the meaning of the constitutional revision from a broader perspective through analyzing the concepts of the Constitution. In other words, based on the analysis of the constitutional concept structure, the study extends the s...

      This study aims to examine the meaning of the constitutional revision from a broader perspective through analyzing the concepts of the Constitution. In other words, based on the analysis of the constitutional concept structure, the study extends the significance of the constitutional amendment, through which it intends to take notice of changes in the Constitution, departing from the constitutional reform discussion with main focus on the constitutional texts.
      The Constitution has diverse legal forms and different existent aspects with a multi-layered complex of statutory law, judgment law and various systems supporting them. Since constitutional texts are not the only Constitution, it is difficult to grasp at once where the Constitution exists among all of the diverse legal forms and systems. Furthermore, it is important to pay attention to the meaning of ‘constitution’ which is different from that of ‘constitutional law.’ The concept which is compatible with forms of a nation, its existent aspects, its narratives and so on, should be certainly dealt with when asking “what is the Constitution?”.
      Based on the concept, the Constitution could be reformed without the normal constitution amendment procedures. At this point, the key might be the interlock between individual legal forms and existent aspects. Regarding the interlock, it is more important to keep the interlink of statutory law and judgment law.
      The discussion above is thought to demand review of what meaning and function constitutional amendment has, whether it could make a radical reform of the national system, and whether it is really needed. Such an approach is necessary to take dealing with the recent argument about constitutional revision that has been made in political circles.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이 글은 헌법 개념의 분석을 통하여 헌법개정의 의미를 보다 넓은 관점에서 찾는데 그 목적이 있다. 즉 헌법 개념 형태의 분석을 토대로 헌법개정의 의미를 확장시키고, 이를 통해 헌법전 중심의 헌법개정 논의를 벗어난 헌법변화에 주목하고자 한다.
      헌법은 그 법형식이나 존재양상이 실로 다양하고, 제정법과 해석법, 그리고 그것을 지지하는 다양한 제도의 중층적 복합체로서 존재한다. 헌법전만이 헌법이 아니기 때문에 다양한 법형식이나 제도 일체의 어디에 헌법이 존재하는지 한 번에 파악하기 어렵다. 아울러 ‘법으로서의 헌법’인 ‘constitutional law’과 구별되는 ‘constitution’의 의미에 주목할 필요가 있다. 국가의 형태나 존재양성 그리고 내러티브 등과 호환할 수 있는 이 개념은 “헌법이란 무엇인가”라고 할 때 반드시 다루어야할 개념이다.
      이러한 개념에 의할 때 헌법은 정규의 헌법개정절차를 거치지 않더라도 변화할 수 있다. 여기서는 각각의 법형식과 존재양상 간의 연동 방식이 핵심이 된다고 할 수 있다. 그러한 연동성 중에서도 헌법의 제정법과 해석법의 연동이 중요하다.
      이상의 논의는 헌법개정이 어떤 의미와 기능을 가지는지, 그것이 과연 국가 체제의 근본적인 변혁을 가져올 수 있는지, 헌법개정이 굳이 필요한지 대한 검토를 촉구하는 것이다. 근년 정치권에서 일어나고 있는 개헌 논의도 이러한 차원에서의 접근이 필요하다.
      번역하기

      이 글은 헌법 개념의 분석을 통하여 헌법개정의 의미를 보다 넓은 관점에서 찾는데 그 목적이 있다. 즉 헌법 개념 형태의 분석을 토대로 헌법개정의 의미를 확장시키고, 이를 통해 헌법전 중...

      이 글은 헌법 개념의 분석을 통하여 헌법개정의 의미를 보다 넓은 관점에서 찾는데 그 목적이 있다. 즉 헌법 개념 형태의 분석을 토대로 헌법개정의 의미를 확장시키고, 이를 통해 헌법전 중심의 헌법개정 논의를 벗어난 헌법변화에 주목하고자 한다.
      헌법은 그 법형식이나 존재양상이 실로 다양하고, 제정법과 해석법, 그리고 그것을 지지하는 다양한 제도의 중층적 복합체로서 존재한다. 헌법전만이 헌법이 아니기 때문에 다양한 법형식이나 제도 일체의 어디에 헌법이 존재하는지 한 번에 파악하기 어렵다. 아울러 ‘법으로서의 헌법’인 ‘constitutional law’과 구별되는 ‘constitution’의 의미에 주목할 필요가 있다. 국가의 형태나 존재양성 그리고 내러티브 등과 호환할 수 있는 이 개념은 “헌법이란 무엇인가”라고 할 때 반드시 다루어야할 개념이다.
      이러한 개념에 의할 때 헌법은 정규의 헌법개정절차를 거치지 않더라도 변화할 수 있다. 여기서는 각각의 법형식과 존재양상 간의 연동 방식이 핵심이 된다고 할 수 있다. 그러한 연동성 중에서도 헌법의 제정법과 해석법의 연동이 중요하다.
      이상의 논의는 헌법개정이 어떤 의미와 기능을 가지는지, 그것이 과연 국가 체제의 근본적인 변혁을 가져올 수 있는지, 헌법개정이 굳이 필요한지 대한 검토를 촉구하는 것이다. 근년 정치권에서 일어나고 있는 개헌 논의도 이러한 차원에서의 접근이 필요하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정종섭, "현대공법학의 과제: 청담최송화교수화갑기념" 박영사 2002

      2 최대권, "헌법학강의" 박영사 2001

      3 한태연, "헌법학-근대헌법의 일반이론-" 법문사 1983

      4 권영성, "헌법학" 법문사 2011

      5 성낙인, "헌법학" 법문사 2018

      6 한수웅, "헌법학" 법문사 2011

      7 長谷部 恭男, "헌법의 이성" 박영사 2014-, 2016

      8 柄谷行人, "헌법의 무의식" 도서출판b 2017

      9 정상우, "헌법상 용어의 연원과 의미 및 순화방안 연구" 한국법제연구원 2007

      10 양선숙, "헌법과 국민의 권능" 철학연구회 (99) : 245-270, 2012

      1 정종섭, "현대공법학의 과제: 청담최송화교수화갑기념" 박영사 2002

      2 최대권, "헌법학강의" 박영사 2001

      3 한태연, "헌법학-근대헌법의 일반이론-" 법문사 1983

      4 권영성, "헌법학" 법문사 2011

      5 성낙인, "헌법학" 법문사 2018

      6 한수웅, "헌법학" 법문사 2011

      7 長谷部 恭男, "헌법의 이성" 박영사 2014-, 2016

      8 柄谷行人, "헌법의 무의식" 도서출판b 2017

      9 정상우, "헌법상 용어의 연원과 의미 및 순화방안 연구" 한국법제연구원 2007

      10 양선숙, "헌법과 국민의 권능" 철학연구회 (99) : 245-270, 2012

      11 김효전, "헌법" 소화 2009

      12 김철수, "학설판례 헌법학(상)" 박영사 2009

      13 양선숙, "법적 허구(Legal Fiction)의 의의 - 헌법재판소의 5.18특별법 합헌 결정과 관련하여" 법학연구원 (34) : 185-210, 2010

      14 박성우, "민주주의와 헌정주의의 갈등과 조화: 미국헌법 해석에 있어서 원본주의(Originalism) 논쟁의 의미와 역할" 한국정치학회 40 (40): 55-78, 2006

      15 김비환, "민주주의와 법의 지배: 현대 입헌민주주의의 스펙트럼" 박영사 2016

      16 이병규, "미연방헌법 제5조와 헌법의 변화" 한국비교공법학회 17 (17): 119-150, 2016

      17 한병진, "미국 헌정질서, 법치, 민주주의의 삼위일체:애커만의 이중 민주주의론을 중심으로" 대한정치학회 14 (14): 19-36, 2007

      18 박민정, "내러티브란 무엇인가?: 이야기 만들기, 의미구성, 커뮤니케이션의 해석학적 순환" 교육연구소 7 (7): 27-47, 2006

      19 폴 코블리, "내러티브" 서울대학교출판문화원 2013

      20 로베르트 알렉시, "기본권이론" 한길사 2007

      21 이병규, "기본권의 대사인적 효력과 입헌주의 그리고 공사 구분" 한국비교공법학회 17 (17): 239-263, 2016

      22 Michaela Peters, "규칙(Regel)과 원리(Prinzip)로서의 기본권" 서울대학교 법학연구소 43 (43): 2002

      23 호미 바바, "국민과 서사" 후마니타스 2011

      24 渋谷 秀樹, "立憲主義について 成立過程と現代" 左右社 2015

      25 渋谷 秀樹, "憲法への招待" 岩波書店 2014

      26 長谷部 恭男, "憲法とは何か" 岩波書店 2006

      27 佐藤幸治, "憲法とその“物語”性" 有斐閣 2003

      28 敦史海野, "制度的保障論の再構成" 長崎大学経済学部 27 : 2011

      29 奥平康弘, "を紡ぎ続けて" かもがわ出版 2015

      30 Ackerman, Bruce, "We the People: Foundations" Harvard University Press 1991

      31 Ackerman, Bruce, "We the People. Volume 2: Transformations" Harvard University Press 1998

      32 Ackerman, Bruce, "We the People, Volume 3: The Civil Rights Revolution" Belknap Press 2014

      33 Strauss, David A., "The Living Constitution" Oxford University Press 2010

      34 Strauss, David A., "The Irrelevance of Constitutional Amendments" 114 (114): 2001

      35 안준홍, "87년 체제와 승인규칙의 변화" 법학연구소 36 (36): 261-276, 2012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6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3-01-01 평가 등재 1차 FAIL (등재유지) KCI등재
      201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6-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5-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3-07-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1.07 1.07 1.02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1.08 1.07 1.097 0.48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