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 논문은 앞으로 도덕과 교육과정을 개정할 때 고려할 몇 가지 사항을 논의한다. 첫째, 도덕과의 성격과 교과 지식 재구조화와 관련하여 배경 학문인 도덕철학, 도덕심리학 특히 뇌과학의 ...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https://www.riss.kr/link?id=A106578638
2020
-
KCI등재
학술저널
1-31(31쪽)
0
0
상세조회0
다운로드국문 초록 (Abstract)
이 논문은 앞으로 도덕과 교육과정을 개정할 때 고려할 몇 가지 사항을 논의한다. 첫째, 도덕과의 성격과 교과 지식 재구조화와 관련하여 배경 학문인 도덕철학, 도덕심리학 특히 뇌과학의 ...
이 논문은 앞으로 도덕과 교육과정을 개정할 때 고려할 몇 가지 사항을 논의한다. 첫째, 도덕과의 성격과 교과 지식 재구조화와 관련하여 배경 학문인 도덕철학, 도덕심리학 특히 뇌과학의 도덕심리학(neuroscientific moral psychology)의 지식을 내용 요소로 반영할 필요성과 가능성 및 방법이다. 둘째, 도덕과의 궁극적 목적인 도덕성 발달과 관련 학교급 및 과목 간에 도덕성에 대한 관점 불일치 해소이다. 셋째, 2015 도덕과 교육과정에 새로이 포함된 ‘도덕적 인간과 정의로운 시민’이라는 도덕과 교육을 받은 인간이 갖추어야 하는 역량을 윤리적 역량을 토대로 하여 도덕적 능력과 기술(skills)로 구체화하는 것이다.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paper discusses some points to consider when revising the Moral Education Curriculum. First, the necessity, possibility, and method of reflecting the knowledge of moral philosophy, moral psychology, and in particular, neuroscientific moral psycho...
This paper discusses some points to consider when revising the Moral Education Curriculum. First, the necessity, possibility, and method of reflecting the knowledge of moral philosophy, moral psychology, and in particular, neuroscientific moral psychology in terms of moral education and the restructuring of subject knowledge of moral education. Second, it is to resolve the viewpoint disagreement about constructs of morality within school-level Moral Education Curriculum. Third, the clarification of concept of moral citizen which is newly included in the 2015 Moral Education Curriculum.
참고문헌 (Reference)
1 제임스 M. 배너, "훌륭한 교사는 이렇게 가르친다" 풀빛 2003
2 김국현, "한국의 교과서 제도 변천에 대한 성찰적 내러티브 접근" 뇌기반교육연구소 9 (9): 59-74, 2019
3 옥일남, "학교 민주시민교육 활성화 방안 연구" 충청북도교육청 2018
4 김국현, "통일교육 관련 초·중·고 교육과정 개선 방안 검토"
5 김국현, "인성교육을 위한 교사의 역할 변화와 교사교육의 개선" 한국교원대학교 교육연구원 29 (29): 133-150, 2013
6 김국현, "윤리함의 재개념화와 도덕과 수업에서의 실행" 한국윤리학회 1 (1): 143-173, 2017
7 김국현, "예비교사의 시민교육 역량 강화 교육방안 연구" 한국윤리학회 1 (1): 25-49, 2019
8 김국현, "도덕적 성찰의 의미와 교수․학습 방안" 교육연구원 29 (29): 205-226, 2013
9 김국현, "도덕과 평가의 9가지 레시피" 교육과학사 2014
10 김국현, "도덕과 민주시민교육의 지식의 구조에 대한 연구" 교육연구원 24 (24): 57-73, 2008
1 제임스 M. 배너, "훌륭한 교사는 이렇게 가르친다" 풀빛 2003
2 김국현, "한국의 교과서 제도 변천에 대한 성찰적 내러티브 접근" 뇌기반교육연구소 9 (9): 59-74, 2019
3 옥일남, "학교 민주시민교육 활성화 방안 연구" 충청북도교육청 2018
4 김국현, "통일교육 관련 초·중·고 교육과정 개선 방안 검토"
5 김국현, "인성교육을 위한 교사의 역할 변화와 교사교육의 개선" 한국교원대학교 교육연구원 29 (29): 133-150, 2013
6 김국현, "윤리함의 재개념화와 도덕과 수업에서의 실행" 한국윤리학회 1 (1): 143-173, 2017
7 김국현, "예비교사의 시민교육 역량 강화 교육방안 연구" 한국윤리학회 1 (1): 25-49, 2019
8 김국현, "도덕적 성찰의 의미와 교수․학습 방안" 교육연구원 29 (29): 205-226, 2013
9 김국현, "도덕과 평가의 9가지 레시피" 교육과학사 2014
10 김국현, "도덕과 민주시민교육의 지식의 구조에 대한 연구" 교육연구원 24 (24): 57-73, 2008
11 김국현, "도덕과 교육에서 도덕적 성찰의 의미와 교수·학습 방안" 한국윤리교육학회 (27) : 1-30, 2012
12 김국현, "도덕과 교육과정상의 윤리적 역량 재구조화" 한국윤리학회 1 (1): 89-116, 2017
13 김국현, "도덕과 교육과정과 교과 지식의 재구조화 방안 연구" 한국교원대학교 사회과학연구소 13 : 1-22, 2012
14 교육부, "도덕과 교육과정(교육부 고시 제2015-74호[별책 6])"
15 김국현, "도덕과 교육과정 해설서의 기능과 개선 방안" 한국윤리교육학회 (14) : 61-80, 2007
16 Halstead, J. M., "깊은 학습" 학지사 24-, 2006
17 김국현, "국민공통 도덕과 교육과정 개정의 주요 특징과 개정 의의-중등학교 7∼10학년을 중심으로" 한국교원대학교 교육연구원 23 (23): 59-68, 2007
18 Nussbaum, Martha C, "공부를 넘어 교육으로" 궁리 2011
19 문경호, "『생활과 윤리』 교육과정 개정의 변화와 쟁점" 한국윤리교육학회 (37) : 1-22, 2015
20 김국현, "‘행복’에 대한 통합적 접근을 위한 ‘통합사회’의교육내용 구성 방안 연구" 한국윤리교육학회 (42) : 251-281, 2016
21 "https://www.cognizant.com/InsightsWhitepapers/its-time-for-learning-to-go-back-to-school-next-generation-approaches-enrich-the-student-experience-codex1001.pdf"
22 Manning, Susan S., "The social worker as moral citizen: Ethics in action" 42 (42): 223-226, 1997
23 Narvaez, Darcia, "Moral development and behaviour under the spotlight of the neurobiological sciences" 37 (37): 289-313, 2008
24 Kupperschmidt, B. R., "Curriculum Revision Isn't Just Change : It's Transition" 13 (13): 90-98, 1997
25 Wiles, J. W., "Curriculum Development: A Guide to Practice" Pearson 2015
26 Robertson, Diana C., "Business Ethics: The Promise of Neuroscience" 144 (144): 45-47, 2017
27 De Schrijber, Annelies, "Archieving Ethical Competence for Public Service Leadership" Taylor &Francis 29-41, 2015
28 김국현, "2015 도덕과 교육과정 개정에 대한 도덕과 교사 요구 분석" 한국윤리교육학회 (54) : 1-34, 2019
가치와 덕목의 상호보완 관계에 기반한 도덕과 교육과정 개발
초등 도덕과와의 연계를 통한 범교과 학습주제 현장적용 방안 연구
학술지 이력
연월일 | 이력구분 | 이력상세 | 등재구분 |
---|---|---|---|
2022 | 평가예정 |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 |
2019-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 ![]() |
2016-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 ![]() |
2012-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 |
2009-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 ![]() |
2008-01-01 | 평가 |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 ![]() |
2007-01-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등재후보2차) | ![]() |
2006-01-01 | 평가 |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 ![]() |
2005-10-07 | 학술지등록 | 한글명 : 윤리교육연구외국어명 : Journal of Ethics Education Studies | ![]() |
2004-01-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 ![]() |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 WOS-KCI 통합IF(2년) | KCIF(2년) | KCIF(3년) |
---|---|---|---|
2016 | 1.39 | 1.39 | 1.25 |
KCIF(4년) | KCIF(5년) | 중심성지수(3년) | 즉시성지수 |
1.14 | 1.06 | 1.679 | 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