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국악의 생활화를 위한 단계별 대금 지도방안에 관한 연구 : 초등학교 4, 5, 6 학년생을 중심으로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T12332367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Providing an opportunity for students on whom the future of our country hinges to be exposed to our own classical instruments is one of the sure ways to teach them to have the right understanding of Korean cultural heritage of music, to build the right values on Korean music culture, and ultimately to make a contribution to the development of the music culture and the creation of new one.
      Korean classical music education shouldn't merely aim at teaching students to learn the concept of it by rote or simply represent traditional music. Instead, it should focus on expressing and enjoying the beauty and significance of the music. Currently, elementary Daegeum education is just conducted in the field of appreciation, which results in making it hard to learn the beauty and meaning of the national classical music that are represented through Daegeum.
      Among Korean classical music instruments, Daegeum is especially difficult to produce a sound. Therefore it's advisable to instruct students to experience the superb culture of our ancestors through the instrument instead of simply focusing on performing skills. And a systematic approach should be taken to spark their interest in Daegeum class.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Daegeum teaching methods for extracurricular activities, not regular music classes, in an effort to let students acquire how to play diverse national classical music instruments. It's ultimately meant to urge students to enjoy music(national classical music) as a way of life.
      How to provide Daegeum instruction was considered in three different stages: acquisition of basic skills, acquisition of the Ankongbeop, and acquisition of traditional songs. And lesson plans were prepared for each stage to develop teaching methods.
      The stage of basic-skills acquisition focused on getting students who would learn how to play the Daeum for the first time to have a general understanding of it and to get familiar with it with interest. A wide variety of teaching methods about the right posture, breathing and producing a sound were presented to improve their performing skills, and teaching plans were mapped out in accordance with the process of instrumental music practice.
      In the stage of the Ankongbeop acquisition, the elementary school curriculum of wind instruments was analyzed to find out the teaching stages of wind instruments involving recorder and Danso to determine the directions and stages of Ankongbeop guidance. Given the characteristics of Daegeum, the teaching stages were selected by using the kinds of sounds that were widely used in traditional music performance and easier for learners to produce. Besides, the songs and nursery rhymes of the music textbooks were analyzed to select etudes for each kind of Ankongbeop, and the Jeongganbo score was made and presented.
      The third stage of traditional-song acquisition centered around understanding the beauty and value of the national classical music by learning about Sigimsae such as Teoisung and Yosung and the ornaments of Pyongjohoisang Sangryeongsan, one of traditional instrumental music. The Pyongjohoisang Sangryeongsan was analyzed to provide what to teach about the performance of Sigimsae, and teaching plans were prepared in accordance with the process of instrumental music practice.
      Finally, lesson plans for instrumental music practice were mapped out by applying the instrumental music teaching methods of the elementary music curriculum and instructional strategies. The lesson plans could be utilized as effective teaching-learning materials for Daegeum.
      Although Daegeum is very big and hard to produce a sound, the selected students gradually got familiar with it and got accustomed to that while they practiced seizing it in the right posture and practiced how to play it step by step according to the teaching stages.
      They were intensively taught to do abdominal breathing to learn how to control their breathing, and various sorts of activities were conducted to let them learn how to breathe long and produce a sound in a manner to stir up their interest. They got to have lots of interest in Daegeum while they learned about that by using the etudes according to the teaching stage of the Ankongbeop.
      It's not that easy to acquire how to play Yosung or Toeisung in a short time, which were Sigimsae of the national classical music. But they found it very interesting to learn the Sigimsae step by step, which was one of the typical characteristics of the national classical music. The repeated guidance and the intriguing learning stages of the lesson plans successfully encouraged them to practice the instrument on their own, and they naturally came to play the Daegeum.
      In the future, students should be allowed to have ample chances to be exposed to different sorts of traditional musical instruments, to play them, to understand the beauty and value of Korean classical music, and to take pride in it. Traditional instrumental music education should be provided in diverse ways for them to pass our unique traditional music onto next generations to step up the further development of it.
      번역하기

      Providing an opportunity for students on whom the future of our country hinges to be exposed to our own classical instruments is one of the sure ways to teach them to have the right understanding of Korean cultural heritage of music, to build the righ...

      Providing an opportunity for students on whom the future of our country hinges to be exposed to our own classical instruments is one of the sure ways to teach them to have the right understanding of Korean cultural heritage of music, to build the right values on Korean music culture, and ultimately to make a contribution to the development of the music culture and the creation of new one.
      Korean classical music education shouldn't merely aim at teaching students to learn the concept of it by rote or simply represent traditional music. Instead, it should focus on expressing and enjoying the beauty and significance of the music. Currently, elementary Daegeum education is just conducted in the field of appreciation, which results in making it hard to learn the beauty and meaning of the national classical music that are represented through Daegeum.
      Among Korean classical music instruments, Daegeum is especially difficult to produce a sound. Therefore it's advisable to instruct students to experience the superb culture of our ancestors through the instrument instead of simply focusing on performing skills. And a systematic approach should be taken to spark their interest in Daegeum class.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Daegeum teaching methods for extracurricular activities, not regular music classes, in an effort to let students acquire how to play diverse national classical music instruments. It's ultimately meant to urge students to enjoy music(national classical music) as a way of life.
      How to provide Daegeum instruction was considered in three different stages: acquisition of basic skills, acquisition of the Ankongbeop, and acquisition of traditional songs. And lesson plans were prepared for each stage to develop teaching methods.
      The stage of basic-skills acquisition focused on getting students who would learn how to play the Daeum for the first time to have a general understanding of it and to get familiar with it with interest. A wide variety of teaching methods about the right posture, breathing and producing a sound were presented to improve their performing skills, and teaching plans were mapped out in accordance with the process of instrumental music practice.
      In the stage of the Ankongbeop acquisition, the elementary school curriculum of wind instruments was analyzed to find out the teaching stages of wind instruments involving recorder and Danso to determine the directions and stages of Ankongbeop guidance. Given the characteristics of Daegeum, the teaching stages were selected by using the kinds of sounds that were widely used in traditional music performance and easier for learners to produce. Besides, the songs and nursery rhymes of the music textbooks were analyzed to select etudes for each kind of Ankongbeop, and the Jeongganbo score was made and presented.
      The third stage of traditional-song acquisition centered around understanding the beauty and value of the national classical music by learning about Sigimsae such as Teoisung and Yosung and the ornaments of Pyongjohoisang Sangryeongsan, one of traditional instrumental music. The Pyongjohoisang Sangryeongsan was analyzed to provide what to teach about the performance of Sigimsae, and teaching plans were prepared in accordance with the process of instrumental music practice.
      Finally, lesson plans for instrumental music practice were mapped out by applying the instrumental music teaching methods of the elementary music curriculum and instructional strategies. The lesson plans could be utilized as effective teaching-learning materials for Daegeum.
      Although Daegeum is very big and hard to produce a sound, the selected students gradually got familiar with it and got accustomed to that while they practiced seizing it in the right posture and practiced how to play it step by step according to the teaching stages.
      They were intensively taught to do abdominal breathing to learn how to control their breathing, and various sorts of activities were conducted to let them learn how to breathe long and produce a sound in a manner to stir up their interest. They got to have lots of interest in Daegeum while they learned about that by using the etudes according to the teaching stage of the Ankongbeop.
      It's not that easy to acquire how to play Yosung or Toeisung in a short time, which were Sigimsae of the national classical music. But they found it very interesting to learn the Sigimsae step by step, which was one of the typical characteristics of the national classical music. The repeated guidance and the intriguing learning stages of the lesson plans successfully encouraged them to practice the instrument on their own, and they naturally came to play the Daegeum.
      In the future, students should be allowed to have ample chances to be exposed to different sorts of traditional musical instruments, to play them, to understand the beauty and value of Korean classical music, and to take pride in it. Traditional instrumental music education should be provided in diverse ways for them to pass our unique traditional music onto next generations to step up the further development of it.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우리나라의 미래를 이끌어갈 학생들로 하여금 우리 고유의 악기를 접하게 하는 것은 우리의 음악 문화유산을 바르게 이해함은 물론, 우리 음악 문화에 대한 올바른 가치관을 확립하고, 우리 음악 문화를 계승 발전시켜 새로운 음악 문화 창달에 기여할 수 있는 능력을 기르는 것이다.
      국악 교육은 국악에 대한 개념을 암기하거나, 전통 음악곡을 그대로 재현하는 것이 목적이 아니라 국악의 아름다움과 의미를 표현하고 향수하는 데 중점을 두어야 한다. 현행 초등학교에서의 대금 교육은 감상활동에서만 다루고 있어 대금을 통하여 느낄 수 있는 국악의 아름다움과 의미를 느끼는데 부족한 면이 많다.
      국악기 중 대금은 소리내기가 매우 어려운 점을 감안해서 기능 습득보다는 국악기를 통해 조상들의 훌륭한 문화를 서로 교감할 수 있다는 의미에 가치를 두고 체계적인 접근을 통하여 대금 학습에 대한 흥미를 갖도록 하여야 한다.
      본 연구에서는 ‘음악(국악)의 생활화’라는 큰 목표를 두고 정규 음악시간이 아닌 특별(계발)활동 시간을 이용하여 다양한 국악기 연주 기능 습득의 일환으로 대금 지도 방안을 연구하였다.
      이를 위하여 대금 지도의 단계를 기초 기능 익히기 단계, 안공법 익히기 단계, 그리고 전통 국악곡 익히기 단계로 구분하여 연구하였으며, 국악 기악의 실제 지도법 개발을 위해 대금 지도 단계별로 교육 지도안을 개발 작성하였다.
      첫째, 기초 기능 익히기 단계에서는 대금을 처음 배우는 학생들의 대금에 대한 전반적인 이해에 초점을 맞추고 국악에 대해 흥미를 갖고 친숙해질 수 있도록 하였으며, 국악기 연주 기능의 향상을 위해 바른 자세, 호흡법, 소리 내는 방법 등에 대한 다양한 지도 방법을 제시하고 기악 연습 과정에 따라 교육 지도안을 작성하였다.
      둘째, 안공법 익히기 단계에서는 일반적으로 지도되어지는 관악기 (리코더, 단소)의 초등학교 교육과정 지도 내용상의 지도 단계를 분석하여 대금 안공법 지도의 방향 및 단계를 설정하고, 대금이라는 악기가 가지는 특성상 학습자들이 쉽게 운지하여 소리 낼 수 있으며 국악곡 연주에 많이 쓰이는 음들로 지도 단계를 설정하였다. 또 교과서 제재곡 및 동요를 분석하여 각 안공법에 따른 연습곡으로 선정하고 정간보 악보를 만들어 제시하였다.
      셋째, 전통 국악곡 익히기 단계에서는 전통 기악곡 중 ‘평조회상 상령산’의 장식음, 퇴성, 요성 등의 시김새 학습을 통해 국악의 아름다움과 가치를 이해하는데 중점을 두고, ‘평조회상 상령산’의 악곡을 분석하여 선율에 나오는 시김새의 연주 방법에 대한 지도내용을 제시하였으며 기악 연습 과정에 따른 교육 지도안을 작성하였다.
      넷째, 국악 기악의 실제 지도법 개발을 위해 초등학교 음악과 교육과정 기악활동 중심의 지도 방법에 따른 기악 수업 전략을 적용하여 기악 연습 과정을 위한 교육 지도안을 개발하여 효과적인 대금 교육의 교수-학습 지도 자료로 제시하였다.
      대금은 초등학생들이 배우기엔 그 구조(크기)와 소리내기 등이 매우 힘든 악기임에도 불구하고 바른 자세로 대금 잡기 연습과 안공법 지도 단계에 따라 단계별로 연습함으로써 서서히 대금에 대하여 친밀감을 느꼈으며 대금을 잡는 것에 익숙하게 되었다.
      복식 호흡을 통한 호흡조절 방법에 대하여 중점적으로 지도하고, 길게 내뱉는 입김의 사용 방법과 소리 내는 방법을 다양한 보조 활동으로 흥미롭게 유도하였으며, 안공법 지도 단계에 따른 연습곡을 이용한 대금 학습을 통하여 대금 익히기에 많은 흥미를 갖게 되었다.
      국악의 시김새 익히기로써 요성이나 퇴성의 연주법을 짧은 시간에 익히기에는 다소 어려움이 있었으나 국악의 대표적인 특징의 하나인 시김새를 하나하나 익히는 것을 매우 흥미로워하였으며, 반복 지도와 교육 지도안의 학습 단계에 따라 스스로 연습해 봄으로써 자연스럽게 대금 연주 기능을 터득하게 되었다.
      앞으로 우리나라 전통 국악기를 다양하게 접해보고 학생들 스스로 연주해 봄으로써 국악의 아름다움과 가치를 이해하고 우리 문화에 대한 자긍심을 갖길 바라며, 국악의 다양한 기악 교육을 통하여 우리나라의 고유한 전통음악을 계승 발전시켜 나가도록 해야 하겠다
      번역하기

      우리나라의 미래를 이끌어갈 학생들로 하여금 우리 고유의 악기를 접하게 하는 것은 우리의 음악 문화유산을 바르게 이해함은 물론, 우리 음악 문화에 대한 올바른 가치관을 확립하고, 우리...

      우리나라의 미래를 이끌어갈 학생들로 하여금 우리 고유의 악기를 접하게 하는 것은 우리의 음악 문화유산을 바르게 이해함은 물론, 우리 음악 문화에 대한 올바른 가치관을 확립하고, 우리 음악 문화를 계승 발전시켜 새로운 음악 문화 창달에 기여할 수 있는 능력을 기르는 것이다.
      국악 교육은 국악에 대한 개념을 암기하거나, 전통 음악곡을 그대로 재현하는 것이 목적이 아니라 국악의 아름다움과 의미를 표현하고 향수하는 데 중점을 두어야 한다. 현행 초등학교에서의 대금 교육은 감상활동에서만 다루고 있어 대금을 통하여 느낄 수 있는 국악의 아름다움과 의미를 느끼는데 부족한 면이 많다.
      국악기 중 대금은 소리내기가 매우 어려운 점을 감안해서 기능 습득보다는 국악기를 통해 조상들의 훌륭한 문화를 서로 교감할 수 있다는 의미에 가치를 두고 체계적인 접근을 통하여 대금 학습에 대한 흥미를 갖도록 하여야 한다.
      본 연구에서는 ‘음악(국악)의 생활화’라는 큰 목표를 두고 정규 음악시간이 아닌 특별(계발)활동 시간을 이용하여 다양한 국악기 연주 기능 습득의 일환으로 대금 지도 방안을 연구하였다.
      이를 위하여 대금 지도의 단계를 기초 기능 익히기 단계, 안공법 익히기 단계, 그리고 전통 국악곡 익히기 단계로 구분하여 연구하였으며, 국악 기악의 실제 지도법 개발을 위해 대금 지도 단계별로 교육 지도안을 개발 작성하였다.
      첫째, 기초 기능 익히기 단계에서는 대금을 처음 배우는 학생들의 대금에 대한 전반적인 이해에 초점을 맞추고 국악에 대해 흥미를 갖고 친숙해질 수 있도록 하였으며, 국악기 연주 기능의 향상을 위해 바른 자세, 호흡법, 소리 내는 방법 등에 대한 다양한 지도 방법을 제시하고 기악 연습 과정에 따라 교육 지도안을 작성하였다.
      둘째, 안공법 익히기 단계에서는 일반적으로 지도되어지는 관악기 (리코더, 단소)의 초등학교 교육과정 지도 내용상의 지도 단계를 분석하여 대금 안공법 지도의 방향 및 단계를 설정하고, 대금이라는 악기가 가지는 특성상 학습자들이 쉽게 운지하여 소리 낼 수 있으며 국악곡 연주에 많이 쓰이는 음들로 지도 단계를 설정하였다. 또 교과서 제재곡 및 동요를 분석하여 각 안공법에 따른 연습곡으로 선정하고 정간보 악보를 만들어 제시하였다.
      셋째, 전통 국악곡 익히기 단계에서는 전통 기악곡 중 ‘평조회상 상령산’의 장식음, 퇴성, 요성 등의 시김새 학습을 통해 국악의 아름다움과 가치를 이해하는데 중점을 두고, ‘평조회상 상령산’의 악곡을 분석하여 선율에 나오는 시김새의 연주 방법에 대한 지도내용을 제시하였으며 기악 연습 과정에 따른 교육 지도안을 작성하였다.
      넷째, 국악 기악의 실제 지도법 개발을 위해 초등학교 음악과 교육과정 기악활동 중심의 지도 방법에 따른 기악 수업 전략을 적용하여 기악 연습 과정을 위한 교육 지도안을 개발하여 효과적인 대금 교육의 교수-학습 지도 자료로 제시하였다.
      대금은 초등학생들이 배우기엔 그 구조(크기)와 소리내기 등이 매우 힘든 악기임에도 불구하고 바른 자세로 대금 잡기 연습과 안공법 지도 단계에 따라 단계별로 연습함으로써 서서히 대금에 대하여 친밀감을 느꼈으며 대금을 잡는 것에 익숙하게 되었다.
      복식 호흡을 통한 호흡조절 방법에 대하여 중점적으로 지도하고, 길게 내뱉는 입김의 사용 방법과 소리 내는 방법을 다양한 보조 활동으로 흥미롭게 유도하였으며, 안공법 지도 단계에 따른 연습곡을 이용한 대금 학습을 통하여 대금 익히기에 많은 흥미를 갖게 되었다.
      국악의 시김새 익히기로써 요성이나 퇴성의 연주법을 짧은 시간에 익히기에는 다소 어려움이 있었으나 국악의 대표적인 특징의 하나인 시김새를 하나하나 익히는 것을 매우 흥미로워하였으며, 반복 지도와 교육 지도안의 학습 단계에 따라 스스로 연습해 봄으로써 자연스럽게 대금 연주 기능을 터득하게 되었다.
      앞으로 우리나라 전통 국악기를 다양하게 접해보고 학생들 스스로 연주해 봄으로써 국악의 아름다움과 가치를 이해하고 우리 문화에 대한 자긍심을 갖길 바라며, 국악의 다양한 기악 교육을 통하여 우리나라의 고유한 전통음악을 계승 발전시켜 나가도록 해야 하겠다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Ⅰ. 서 론 1
      • 1.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1
      • 2. 연구 내용 및 방법 3
      • 3. 연구의 범위 및 제한점 3
      • 4. 선행 연구의 고찰 4
      • Ⅰ. 서 론 1
      • 1.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1
      • 2. 연구 내용 및 방법 3
      • 3. 연구의 범위 및 제한점 3
      • 4. 선행 연구의 고찰 4
      • Ⅱ. 이론적 배경 6
      • 1. 국악기악교육의 의의 6
      • 2. 음악교육과정속의 국악기악교육 8
      • 3. 대금 지도의 필요성 9
      • 4. 대금의 이해 11
      • 가. 대금의 유래 11
      • 나. 대금의 종류 14
      • 다. 대금의 구조와 음역 15
      • 라. 정간보의 이해 17
      • Ⅲ. 단계별 대금지도 방안 연구 21
      • 1. 대금 연주 자세 지도 21
      • 가. 앉는 자세 22
      • 나. 대금 잡는 방법 23
      • 2. 올바른 호흡법의 지도 23
      • 가. 복식호흡의 이해 23
      • 나. 복식호흡 연습 방법 25
      • 3. 기본 소리내기 지도 27
      • 가. 소리내기 원리 27
      • 나. 소리내기 방법 27
      • 4. 안공(운지)법 지도 29
      • 가. 단계별 안공법 지도의 필요성 29
      • 나. 안공법 지도 단계의 방향 30
      • 다. 안공법 지도 단계 32
      • Ⅳ. 단계별 대금 지도방안의 실제와 적용 34
      • 1. 대금지도를 위한 단계별 교육 지도안 개발 34
      • 2. 대금지도의 실제와 적용 37
      • 가. 기초 기능 익히기 단계 교육 지도안 37
      • 나. 안공법 익히기 단계 교육 지도안 43
      • 1) 연습곡으로서의 교과서 제재곡의 활용가치 43
      • 2) 단계별 연습곡 선정 43
      • 3) 단계별 연습곡 분석 및 동요를 활용한 교육 지도안 45
      • 다. 전통 국악곡 익히기 단계 교육 지도안 67
      • 1) 영산회상(靈山會相)의 이해 68
      • 2) 평조회상 상령산 시김새 분석 및 교육 지도안 71
      • Ⅴ. 연구 성과 점검 88
      • Ⅵ. 결론 및 제언 91
      • 참고문헌 94
      • 국문초록 96
      • ABSTRACT 99
      • 부록 103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