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대 한국불교의 성격을 바꾼 불교정화운동의 중심에는 청담대종사가 있었다. 본고에서는 기존의 연구 성과를 토대로 하여 현재적 시각에서 불교정화운동을 되돌아보고 청담대종사가 추구...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https://www.riss.kr/link?id=A109230613
2011
-
학술저널
109-138(30쪽)
0
상세조회0
다운로드국문 초록 (Abstract)
현대 한국불교의 성격을 바꾼 불교정화운동의 중심에는 청담대종사가 있었다. 본고에서는 기존의 연구 성과를 토대로 하여 현재적 시각에서 불교정화운동을 되돌아보고 청담대종사가 추구...
현대 한국불교의 성격을 바꾼 불교정화운동의 중심에는 청담대종사가 있었다. 본고에서는 기존의 연구 성과를 토대로 하여 현재적 시각에서 불교정화운동을 되돌아보고 청담대종사가 추구하였던 정화운동의 본질적 정신과 특징은 무엇이며, 이를 현대한국불교에 어떻게 적용할 것인가 점을 규명하고자 하였다.
첫째, 청담의 정화사상의 내용은 정화의 토대와 정화의 대상 그리고 정화의 목적으로 나누어 살펴보았다. 둘째, 청담이 주창한 정화사상의 특징을 참회에 기초한 정화와‘마음’에 즉(卽)한 정화 및 매 순간 새로워지는 정화 그리고 조국애와 인류평화를 위한 정화 등의 네 가지로 나누어 살펴보았다. 끝으로 정화사상의 현대적 구현방안에 대하여 개인적 정화 방안과 교단적 정화방안 및 민족적 정화 방안 그리고 인류적 정화 방안 등의 네 가지로 나누어 살펴보았다.
이상의 고찰을 통하여 불교정화운동을 주도하였던 청담이 지닌 정화사상의 본질적 가치가 무엇인가를 규명하고, 이를 통해 미래 한국불교의 발전적 대안을 제시하고자 하는 것이 본고의 목적이다.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In the middle of Buddhist Purifying Movement, there was a Buddhist Monk named Master Cheongdam who changed the characteristics of Korean Buddhism. In this paper, I examined the Buddhist Purifying Movement through the modern viewpoint on the basis of p...
In the middle of Buddhist Purifying Movement, there was a Buddhist Monk named Master Cheongdam who changed the characteristics of Korean Buddhism. In this paper, I examined the Buddhist Purifying Movement through the modern viewpoint on the basis of previous studies. I tried to look into the essential mind and characteristics of the purifying movement which he sought and how we can apply them into modern Korean buddhism.
First of all, I divided the contents of the master Cheongdam's purifying movement into its basis, objects and purpose. Second, I also looked into the characteristics by his thought as four purifying categories, based on penitence, mind, love for nation and love for human beings. Lastly, I examined the devices of modern realization of his purifying thought as four levels, personal, Korean Buddhist, national and human beings's viewpoints.
It is the purpose of this paper that I looked into the fundamental value of the purifying thought and tried to suggest a future alternative plan for Korean Buddhism through above consideration.
청담대종사 정화사상의 현대적 활용 방안 연구 - 정화이념의 종책화 과정을 중심으로 -
청담의 불교정화운동과 정화이념 - 단계별, 총괄적 이해를 중심으로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