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연구는 사전세액심사 대상 수입 농산물 관세 담보의 법적 쟁점과 정책적 개선방향을 제시하는데 목적을 둔다. 1997년 농산물 수입 자유화 이후 저가 신고 문제와 국내 농업 보호 필요성이 ...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https://www.riss.kr/link?id=A109599079
2025
Korean
KCI등재
학술저널
3-23(21쪽)
0
상세조회0
다운로드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는 사전세액심사 대상 수입 농산물 관세 담보의 법적 쟁점과 정책적 개선방향을 제시하는데 목적을 둔다. 1997년 농산물 수입 자유화 이후 저가 신고 문제와 국내 농업 보호 필요성이 ...
본 연구는 사전세액심사 대상 수입 농산물 관세 담보의 법적 쟁점과 정책적 개선방향을 제시하는데 목적을 둔다. 1997년 농산물 수입 자유화 이후 저가 신고 문제와 국내 농업 보호 필요성이 대두되면서, 관세청은 2005년부터 특정 농산물을 사전세액심사 대상으로 지정하고 담보기준가격을 적용하는 제도를 도입하였다. 그러나 이 제도는 과도한 담보 제공 요구, 법적 근거 미비, 자유무역 저해 등의 논란을 초래하고 있다. 연구는 사전세액심사 대상 수입 농산물에 대한 담보가 헌법상 재산권 침해 가능성, 관세법상 법적 근거 부족, 시장 왜곡 및 공무역 조장 문제, 국제 무역 규범과의 충돌 등의 법적 쟁점을 내포하고 있음을 분석한다. 이를 바탕으로 담보기준가격 폐지 및 신고가격 중심 과세 체계 전환, 법령 정비를 통한 투명성 강화, 담보 제공 방식의 유연화 및 환급 절차 개선, 사전세액심사 대상 품목의 정교화 및 심사 절차 효율화등 정책적 개선 방향을 제안한다. 본 연구는 이러한 개선 방향을 통해 수입 농산물 시장의 공정성을 확보하고, 납세자의 부담을 완화하며, 국가 재정 안정성을 강화하는 데 기여할 것을 기대한다.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study aims to analyze the legal issues and policy improvement measures regarding customs bonds for imported agricultural products subject to pre-tariff examination. Since the liberalization of agricultural imports in 1997, issues related to under...
This study aims to analyze the legal issues and policy improvement measures regarding customs bonds for imported agricultural products subject to pre-tariff examination. Since the liberalization of agricultural imports in 1997, issues related to underreporting of import prices and the need to protect domestic agriculture have emerged. In response, the Korea Customs Service introduced a system in 2005 that designated specific agricultural products for pre-tariff examination and applied a reference price for securing customs bonds.
However, this system has led to controversies, including excessive bond requirements, insufficient legal basis, and restrictions on free trade. The study examines the legal issues associated with customs bonds for imported agricultural products subject to pre-tariff examination, including potential violations of constitutional property rights, lack of legal basis under customs act market distortions and promotion of state-controlled trade, and conflicts with international trade norms. Based on this analysis, the study proposes policy improvements such as abolishing the reference price system and transitioning to a taxation system based on declared import prices, enhancing transparency through legal revisions, introducing flexibility in bond requirements and improving refund procedures, and refining the selection of pre-tariff examination items while streamlining the examination process.
This study expects that these improvements will contribute to ensuring fairness in the imported agricultural product market, reducing the burden on dutypayers, and enhancing the stability of national finances.
해외직구 증가가 우리나라 관세수입에 미치는 영향 연구 - 코로나(19) 이후를 중심으로 -
데이터 기반 경제에서 디지털세 적용과 통관법적 고찰에 관한 연구
태국시장에서 한국 수출 상품의 불변시장점유율과 수출경합도 분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