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 연구는 조선 후기 지식인들이 과학을 소재로 하여 작성한 글을 대상으로 하여 과학 지식을 글로 구성한 양상을 살펴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과학 지식을 탐구하여 자신이 깨달은 과정...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국문 초록 (Abstract)
이 연구는 조선 후기 지식인들이 과학을 소재로 하여 작성한 글을 대상으로 하여 과학 지식을 글로 구성한 양상을 살펴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과학 지식을 탐구하여 자신이 깨달은 과정...
이 연구는 조선 후기 지식인들이 과학을 소재로 하여 작성한 글을 대상으로 하여 과학 지식을 글로 구성한 양상을 살펴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과학 지식을 탐구하여 자신이 깨달은 과정을 기술한 글과 이해한 과학 지식을 기반으로 타인을 깨닫게 하기 위해 작성한 글로 분류하여 그 목적에 따라 글을 구사한 방법을 살펴보았다. 이는 궁극적으로는 지식의 이해를 위한 글쓰기와 지식의 표현을 위한 글쓰기의 차이를 보고자 한 것이다.
이 연구에서는 18세기 후반 서양 과학에 대해 다룬 글들을 조선 후기 과학 담론이라 지칭하고 성호 이익, 다산 정약용, 담헌 홍대용으로 연구 대상을 한정하였다. 선정한 이유는 다음과 같다.
첫째, 과학적 인식에 대한 패러다임의 전환이 이루어지는 시기이기 때문이다. 서양 과학의 수용으로 인해 조선후기 지식인들의 성리학적 인식은 깨어지고 사고의 축이 변화하게 되었다. 이는 사물을 인식하는 방법에서부터 세계를 인식하는 영역에까지 변화를 일으켰다. 둘째, 이러한 역동적인 사유의 변화 과정이 글에 나타나기 때문이다. 새로운 지식을 받아들이기 급급했던 시기가 지나고 이에 대한 원리를 탐구하고 활용을 할 수 있는 방안을 체득하게 되자, 그러한 지식을 변용하여 자신만의 새로운 지식 체계로 구현해내기도 하였다. 셋째, 기존 인식의 전환을 요구하는 과학 지식을 탐구하고 이를 이해하기 위해 쓴 글을 통해 과학적 지식을 구성한 방법을 볼 수 있기 때문이다. 서양에서 유입된 과학 지식은 기존의 성리학 체계와는 다른 지식 구성을 체계를 지니고 있었기 때문에 이를 체득하는 과정이 필요했다. 이 과정은 기존에 학문을 습득하는 체계 안에서 이루어지기도 하였으며, 새로운 방법을 고안하여 지식을 검증하기도 하였는데 학자마다 다른 방법을 구사하였다.
서양 과학의 유입으로 인한 조선 후기 지식인들의 인식 체계의 변화 과정을 알아보기 위해 Ⅱ장에서는 과학사의 관점에서 조선후기에 서양 과학의 유입 과정을 살펴보고 이에 따라 기존의 성리학적 자연관이 변화되는 과정을 검토하였다. 성리학의 지배 담론으로서의 위치가 흔들리게 되자 지식인들은 기존의 성리학적 우주론의 범주 안에서 서양 과학을 수용할 것인지 새로운 인식 체계를 고안해낼 것인지의 기로에 놓이게 되었다. 조선후기에 전개된 대표적인 담론으로는 지구설을 둘러싼 논쟁, 천체운행론 논쟁, 우주생성론에 대한 것이 있었다. 조선후기 지식인들은 전통적인 우주론에 대한 입장과 서양 과학 수용의 태도에 따라 다양한 분화의 양상을 보여주었다.
성호와 다산의 서양 과학 수용 과정은 기존의 탐구 방식에서 벗어나지 않았으며 성리학적 자연 인식체계에서 크게 벗어나지 않았다. 이는 천문・역법에 대한 탐구는 성리학적 학문론의 연장선상에서 이루어졌다는 것이다. 물론 서양 과학의 유입에 따라 천문에 대한 인식체계가 변화했음은 분명하다. 그러나 특히 성호가 지식을 탐구하는 방식은 현대의 과학에서 사용하는 객관적인 탐구라기보다는 경전의 내용을 철저하게 이해하듯이 서양 과학서를 오류가 없는 경전으로 상정하여 이를 통해 지식을 습득하는 것이라고 볼 수 있다. 담헌의 학문은 성리학의 바탕에서 청을 통해 서양 과학 문물을 흡수하고, 거기에 독자적인 과학사상이 더해진 것으로 볼 수 있다. 또한 ‘수학과 실측’에 기반을 둔 서양 과학의 우수성을 인정하고 이에 대해 적극적인 태도로 서양 과학 기술을 수용하였다. 그들은 새로운 지식을 탐구하는 과정을 글로 남겼으며, 글을 통해 수용한 지식을 상대에게 설명하거나 이를 통해 설득하여 상대의 인식 변화를 이끌어 내기도 하였다. 이러한 과정을 Ⅲ, Ⅳ장에서 그들이 작성한 글을 중심으로 살펴보았다.
Ⅲ장에서는 과학 지식을 탐구하는 과정이 글쓰기를 통해 드러난 양상을 살펴보기 위해 글에 나타난 탐구 방법에 따라 구분하고 그 내용을 의미 단락을 기준으로 구조화한 후 세부 내용을 살펴보는 방식을 취하였다. 이를 위해 과학 지식을 탐구하는 과정을 과학 지식의 이해와 적용으로 구분하여 대상 텍스트를 선정하였다.
이러한 글쓰기는 목적에 따라 탐구 방법을 달리하는 양상을 나타냈는데 먼저 과학 지식의 이해를 위한 글쓰기는 문헌을 통한 검증과 관찰을 통한 실증을 탐구 방법으로 삼았다. 과학 지식의 적용을 위한 글쓰기에서는 원리를 도출하고, 이해한 원리를 적용하거나 다른 원리에 적용하는 과정을 기술하였다.
과학 지식의 이해를 위한 글쓰기는 1절에서 살펴보았다. 과학 지식의 이해를 위한 글에는 문헌이나 실제 관찰 과정이 나타나 있었다. 절대적인 위상을 가진 지식인 경우에도 일방적으로 수용하지 않고 비판적 사고를 기반으로 한 탐구 과정도 확인할 수 있었다. 2절에서는 과학 지식의 적용을 위해 원리를 도출하거나 원리를 적용하는 과정이 드러난 글을 살펴보았다. 이때 기반이 되는 원리는 주로 지리적인 것과 관련된 지식, 천체 측량과 관련된 지식이었으며 제시된 원리를 적용하여 수학적인 증명 과정을 통해 밝혀내기도 하였다. 이러한 탐구 과정이 담겨있는 글을 통해 과학 지식의 적용을 위한 글쓰기 과정을 살펴보았다. 과학 지식을 탐구하는 과정에서 글쓴이는 지식을 일방적으로 수용하는 것이 아니라 끊임없는 회의를 통해 지식의 옳고 그름을 검증하기도 하고 지식이 옳다는 것을 입증하기도 하며 자득에 도달하는 것을 알 수 있었다.
Ⅳ장에서는 탐구한 과학 지식을 기반으로 타자와의 소통을 목적으로 작성된 글들의 양상을 살펴보기 위해 글에 나타난 설명이나 설득 방법에 따라 구분한 후 그 내용을 의미 단락을 기준으로 구조화한 후 세부 내용을 살펴보는 방식을 취하였다. 이는 자득한 지식을 타인에게 전달하여 깨닫게 하기 위함이다.
1절에서는 과학 지식의 설명을 위한 글쓰기를 살펴보았다. 이는 글의 대상인 독자의 인식 수준을 중심으로 일반 독자와 전문 독자로 구분하여 일반 독자를 위한 설명적 글쓰기와 전문 독자를 위한 설명적 글쓰기로 구분되었다. 각각의 설명 방법은 전자는 유추를 통한 원리 설명과 도식을 활용한 원리 설명으로, 후자는 원리의 응용 과정을 설명하는 방법으로 구분하였다. 앞서 두 가지 설명 방법은 비교적 과학 지식에 대한 이해도가 낮은 독자를 고려한 글쓰기라면 이것은 전문적인 과학 내용을 대상으로 하고 있기에 원리에 대한 직접적인 설명을 기반으로 구성되어 있다. 전문적인 독자를 대상으로 한 설명적 글쓰기에서는 기술에 대한 원리를 제시하고 구체적인 활용 방법을 익힐 수 있도록 다양한 예제를 제시하였으며, 기존의 기술을 변용하여 새로운 기기를 만들어 원리를 설명한 후 이에 대한 평을 직접 작성하기도 하였다. 이러한 설명 방식은 직접 의기를 제작하는 방식에서도 사용된다.
2절에서는 과학 지식을 기반으로 타자를 설득하기 위해 작성된 글을 살펴보았다. 조선후기 유입된 서양 과학은 기존의 인식 체계를 뒤집는 지식이었다. 성호, 담헌, 다산은 이러한 지식에 대해 탐구하고 이해하는 과정을 거쳐 수용된 지식을 기반으로 타인을 설득하고자 하는 글들을 작성하였다. 성호는 주로 문헌을 기반으로 한 논증의 방식을 취하였으며, 다산은 반증을 통해 입증하고자 하는 바를 제시하는 방법을 취하였다. 담헌의 경우 「의산문답」을 통해 문답의 과정과 논박을 통해 과학 지식을 깨닫는 과정을 제시하였다. 이러한 양상을 논증을 통한 설득, 반증을 통한 설득, 문답을 통한 설득으로 나누어 살펴보았다.
목차 (Table of Contents)
1 신선경(Shin Sun-kyung), "과학의 언어", 한국사고와표현학회, 한국사고와표현학회 , 사고와표현 2, 2009
2 정민, "다산의 재발견", 휴머니스트, 2011
3 홍대용, "‘정률(定率)’", 담헌서(湛軒書) 외집(外集) 주해수용 외편 하(籌解需用 外編 下) 권6, null
4 심경호, 진필상, "역, 한문문체론", 이회문화사, 2001
5 이원순, "조선서학사연구", 일지사, 일지사, 1986
6 박성래, "한국과학사상사", 책과함께, 책과함께, 2012
7 박성래, "과학기술 대중화", 한국과학기술단체총연합회, 한국과학기술단체총연합회 , 과학과 기술 38, 2005
8 홍대용, "‘구고의(句股儀)’", 담헌서(湛軒書) 외집(外集) 권6, null
9 홍대용, "‘규의명(圭儀銘)’", 담헌서(湛軒書) 외집(外集) 권6, null
10 정약용, "‘온성론(穩城論)’", 다산시문집(茶山詩文集) 권11, null
1 신선경(Shin Sun-kyung), "과학의 언어", 한국사고와표현학회, 한국사고와표현학회 , 사고와표현 2, 2009
2 정민, "다산의 재발견", 휴머니스트, 2011
3 홍대용, "‘정률(定率)’", 담헌서(湛軒書) 외집(外集) 주해수용 외편 하(籌解需用 外編 下) 권6, null
4 심경호, 진필상, "역, 한문문체론", 이회문화사, 2001
5 이원순, "조선서학사연구", 일지사, 일지사, 1986
6 박성래, "한국과학사상사", 책과함께, 책과함께, 2012
7 박성래, "과학기술 대중화", 한국과학기술단체총연합회, 한국과학기술단체총연합회 , 과학과 기술 38, 2005
8 홍대용, "‘구고의(句股儀)’", 담헌서(湛軒書) 외집(外集) 권6, null
9 홍대용, "‘규의명(圭儀銘)’", 담헌서(湛軒書) 외집(外集) 권6, null
10 정약용, "‘온성론(穩城論)’", 다산시문집(茶山詩文集) 권11, null
11 홍대용, "‘측관의(測觀儀)’", 담헌서(湛軒書) 외집(外集) 권6, null
12 홍대용, "‘통천의(統天儀)’", 담헌서(湛軒書) 외집(外集) 권6, null
13 홍대용, "‘혼상의(渾象儀)’", 담헌서(湛軒書) 외집(外集) 권6, null
14 정영기, "과학적 설명과 법칙", 한국동서철학회, 한국동서철학회 , 동서철학연구 16, 1998
15 강신택, "과학적 설명과 예측", 서울대학교 행정대학원, 서울대학교 한국행정연구 소 , 행정논총 11, 1973
16 정영기, "과학적 설명과 default", 대전대학교 인문과학연구소, 대전대학교 인문 과학연구소 , 인문과학논문집 41, 2006
17 구만옥, "영조 대 과학의 발전", 한국학중앙연구원 출판부, 한국중앙연구원출판부, 2015
18 정약용, "‘갑을론(甲乙論) 1’", 다산시문집(茶山詩文集) 권11, null
19 정약용, "‘갑을론(甲乙論) 2’", 다산시문집(茶山詩文集) 권11, null
20 류인조, "성호사설의 철학사상", 진단학회, 진단학회 , 진단학보 59, 1985
21 문중양, "조선후기 과학사상사", 들녘, 2016
22 이성만, "텍스트언어학과 작문", 한국작문학회, 한국작문학회 , 작문연구 7, 2008
23 여영서, 정규태, "과학적 글쓰기와 논술", 새한철학회, 새한철학회 , 철학논총 43, 2006
24 김유신, "과학적 설명과 실재론", 한국과학철학회, 한국과학철학회 , 과학철학 1, 1998
25 한국사상사연구회 편, "도설로 보는 한국유학", 예문서원, 2000
26 김영식, "동아시아 과학의 차이", 사이언스북스, 2013
27 Moriaty, 정희모 외 역, "비판적 사고와 글쓰기", 연세대학교 출판부, 2008
28 구만옥, "성호 이익의 과학사상", 한양대학교 민족학연 구소 , 민족과문화 19, 2002
29 박무영, "정약용 시문학의 연구", 이화여자대학교 박사학위 논문, 1993
30 한국사상사연구회 편저, "조선 유학의 자연철학", 예문서원, 예문서원, 1998
31 주자사상연구회 편, "조선의 주자학과 실학", 혜안, 2009
32 朴星來, "「홍대용의 과학사상」", 일지사, 일지사 , 한국학보 23, 1981
33 박성래, "대원군시대의 과학기술", 한국과학사학회, 한국과학사학회 , 한국과학사학회지 2, 1980
34 문중양, "조선후기의 ‘수리학’", 서울대학교 박사학위논문, 1995
35 홍대용, "‘유포문답(劉鮑問答)’", 담헌서(湛軒書) 외집(外集) 연기(燕記) 권7, null
36 정약용, "‘지구도설(地球圖說)’", 다산시문집(茶山詩文集) 권10, null
37 유이경, "설 장르 규명을 위한 시론", 한국고전연구학회, 한국고전연구학 회 , 한국고전연구 10, 2004
38 박성래, "과학의 대중화와 과학교육", 한국과학교육학회 , 한국과학교육학회 학술발표 및 세미 나집, 1994
39 박성래, "서구과학과 한국의 근대화", 한국과학사학회, 한국과학사 학회 , 한국과학사학회지 5, 1983
40 구만옥, "조선후기 일월식론의 변화", 한국사상사학회 , 한국사상사학 19, 2000
41 이용범, "중세서양 과학의 조선전래", 동국사학회, 동국대학교 출판부, 1988
42 이정민, "언어의 연구와 과학적 설명", 세계평화교수협의회, 세계평화교수협의회 , 광장 91, 1981
43 박성래, "중세 서양 과학의 조선 전래", 한국과학사학회, 한국과학 사학회 , 한국과학사학회지 11, 1989
44 Kuhn, T., "홍성욱 역, 과학혁명의 구조", 까치글방, 2013
45 정영기, "과학적 설명이론의 논쟁사(1)", 한국동서철학회, 한국동서철학 회 , 동서철학연구 8, 1991
46 정영기, "과학적 설명이론의 논쟁사(2)", 고려대학교 철학연구소, 고려대학교 철학 연구소 , 철학연구 15, 1991
47 구만옥, "조선후기 천예운행론의 변화", 역사실학 회 , 역사와실학 17 18, 2000
48 이성만 ( Seong Man Lee ), "텍스트유형학의 현황과 과제", 한국텍스트언어학회, 한국텍스트 언어학회 , 텍스트 언어학 26, 2009
49 이봉재, "과학적 실재론과 설명의 문제", 철학연구회, 철학연구회 , 철학연구 31, 1992
50 신지연, "국어 텍스트의 거시구조 접속", 시학과 언어 학회 , 시학과언어학 11, 2006
51 강병수, "성호 이익의 성호사설의 세계", 동국사학회, 동국대학교사학 회 , 동국사학 50, 2011
52 홍대용, "담헌서(湛軒書) 외집(外集) 권6", null
53 신형기, "모든 사람을 위한 과학 글쓰기", 사이언스북스, 2006
54 전용훈, "서양 점성술 문헌의 조선 전래", 한국과학사학회, 한국과 학사학회 , 한국과학사학회지 34, 2012
55 주세형, "작문의 언어학(1) , 작문연구 10", 한국작문학회, 2010
56 신지연, "“거시구조 접속의 연결어미”", 한국텍스트언어학회, 한국텍스트언 어학회 , 텍스트 언어학 11, 2001
57 구만옥, "『조선후기 과학사상사 연구』", 혜안, 2004
58 박성래, "자연과학 분야에서의 교양교육", 한국대학교육협의회, 한국대학교육협 의회 , 대학교육 22, 1986
59 홍성욱, "경계를 넘는 과학 , 역사학보 215", 역사학회, 2012
60 변종호, "다산 정약용의 설(說) 작품 연구", 울산대학교 박사학위 논문, 2011
61 이정민, "언어학에 있어서의 과학적 설명", 서울대학교 인문학연구소, 서울대학교 인 문학연구원 , 인문논총 10, 1983
62 송정란, "이공계 글쓰기의 교과과정 연구", 한국문예창작학회, 한국문예창 작학회 , 한국문예창작 7, 2008
63 원재린, "조선후기 성호학파의 학풍 연구", 혜안, 2003
64 박성래, "역사속 과학인물-이익(1681~1763년)", 한국 과학기술단체총연합회 , 과학과 기술 29, 1996
65 이홍식(Lee, Hong-shik), "한국 고전 글쓰기의 현재성 탐색", 한국작문학회, 한국작문학회 , 작문연구 25, 2015
66 정약용, "‘애체출화도설(靉靆出火圖說)’", 다산시문집(茶山詩文集) 권10, null
67 곽강제, "과학적 설명과 '이론화의 역설'(1)", 전북대학교 인문학연구소, 전북대학교 인문학연구소 , 인문논총 8, 1980
68 구만옥, "15세기 후반 이학적 우주론의 대두", 조선시대사학회, 조선 시대사학회 , 조선시대사학보 7, 1998
69 이성만, "「텍스트 언어학의 방법과 과제」", 고려대학교 한국학연구소, 한국학연구학회 , 한국학연구 23, 2005
70 이덕환, "과학과 과학교육에서 언어의 역할", 한국국어교육학회, 한국국어 교육학회 , 새국어교육 95, 2013
71 안호영, "복합 교육으로서의 과학 교양교육", 한국문화 융합학회 , 문학과 언어 37, 2015
72 김여수, "인문과학에 있어서의 과학적 설명", 서울대학교 인문학연구원, 서울대학교 인문학연구소 , 인문논총 10, 1983
73 송윤미, "『과학 글쓰기 평가 루브릭 개발』", 한국교원대학교 박사학위 논문, 2012
74 이문규, "고대 중국인이 바라본 하늘의 세계", 문학과지성사, 문학과 지성사, 2000
75 유재형, "담헌 홍대용의 제일등인 논쟁 연구", 한양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16
76 정시호, "반 데이크의 텍스트학 이론에 대해", 한국텍 스트언어학회 , 텍스트 언어학 5, 1998
77 이성영 ( Seong Young Lee ), "작문 교육을 위한 텍스트 분석 방법", 한국텍스트언어학회, 한국 텍스트언어학회 , 텍스트 언어학 11, 2001
78 정혜영, "공학교육인증제와 과학 기술 글쓰기", 한국문학이론과비평학회, 한국문학이론과비평학회 , 한국문학이론과 비평 45, 2009
79 서혁, "국어교육적 관점에서의 텍스트 분석", 한국텍스 트언어학회 , 텍스트 언어학 5, 1998
80 김형관, "서양 과학과 동양사상과 현대우주관", 한양대학교 반월캠퍼스, 한양대학교 반월 캠퍼스 , 밀물 3, 1985
81 서종태, "성호학파의 양명학과 서양 과학기술", 한국사상사학회, 한국사 상사학회 , 한국사상사학 9, 1997
82 한영호, "홍대용의 측관의 연구 , 역사학보 164", 역사학회, 1999
83 정병철, "과학 글쓰기의 시뮬레이션 과정 연구", 청람어문교육학회, 청람 어문교육학회 , 청람어문교육 42, 2010
84 주재우, "설을 활용한 설득적 글쓰기 교육연구", 서울대학교 대학원 박사학 위논문, 2011
85 정진수, 권용주, 강민정, 양일호, "과학적 설명 지식의 창의적 생성 과정", 한국창의력교육학회, 한국창의력교육학회 , 창의력교육연구 5, 2002
86 김지혜, "대학 계열별 글쓰기 수업의 교육 방안", 이화어문학회, 이화 어문학회 , 이화어문논집 32, 2014
87 Brinker, K., "이성만 역(1996), 텍스트 언어학의 이해", 역락, 1989
88 김정우, "자연 과학 텍스트의 번역 방법론 시론", 한국번역학회, 한국번 역학회 , 번역학연구 4, 2003
89 박무영, "정약용의 초기(仕宦期) 산문에 대하여", 다산학술문 화재단, 다산학 6, 2005
90 구만옥, "조선왕조의 집권체제와 과학기술정책", 연세대학교 국학연구원, 연세대 학교 국학연구원 , 동방학지 124, 2004
91 김선희 ( Kim Seon-hee ), "19세기 조선 학자의 자연철학에 관하여", 서울대학교 철학사상연구소, 서울대 학교 철학사상연구소 , 철학사상 60, 2016
92 구만옥, "「조선후기 주자학적 우주론의 변동」", 연세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001
93 안호영, "교양교육을 위한 현대과학과 생명교육", 한국교양교육학회, 한국 교양교육학회 , 교양교육연구 7, 2013
94 박상태, "과학기술 글쓰기 교육의 위상과 정체성", 한국작문학회, 한국작 문학회 , 작문연구 19, 2013
95 김종록, "자연과학계 논문 텍스트의 연결성 분석", 한국어문학회, 한국어 문학회 , 어문학 124, 2014
96 박수밀, "한문산문의 교육에의 활용 가능성 고찰", 온지학회, 온지학 회 , 온지논총 22, 2009
97 강범모 ( Beom Mo Kang ), "텍스트 맥락과 단어 의미: 잠재의미분석", 사단법인 한국언어학회, 한국언어 학회 , 언어학 68, 2014
98 박희병, "홍대용 연구의 몇 가지 쟁점에 대한 검토", 진단학회, 진단학 회 , 진단학보, 1995
99 조진호, "‘이공계 글쓰기 교육' 어떻게 할 것인가?", 한국교양교육학회, 한국교양교육학회 , 한국교양교육학회 학 술대회자료집 2011(12), 2011
100 임종태, "무한우주의 우화-홍대용의 과학과 문명론", 역사문제연구소, 역사 문제연구소 , 역사비평 71, 2005
101 신선경, "지식융합시대의 대학 글쓰기 교육의 방향", 한국사고와표현학회, 한국 사고와표현학회, 사고와표현 5, 2012
102 박현이, "융합적 사고에 기반한 이공계 글쓰기 교육", 한국교양교육학회, 한국교양교육학회 , 교양교육연구 6, 2012
103 김종록, "자연과학계 논문의 문장 표현에 대한 연구", 한국어문학회, 한국 어문학회 , 어문학 122, 2013
104 오철우(Oh, Cheol-Woo), "진화론과 문학: 은유, 서사, 마음의 재발견", 한국과학기술학회, 한국과학기술학회 , 과학기술학연구 14, 2014
105 이삼형, "텍스트언어학의 응용: 텍스트 이해와 추론", 한국텍스트언어학회, 한국텍스트언어학회 , 텍스트 언어학 7, 1999
106 이성만 ( Seong Man Lee ), "텍스트에서 담화로 -텍스트언어학의 확장-", 한국텍스트언어학회, 한국텍스트언어학회 , 텍스트 언어학 29, 2010
107 박상태, "과학기술 글쓰기 교육의 운영 현황 및 전망", 한국사고와표현학회, 한 국사고와표현학회 , 사고와표현 6, 2013
108 이정찬, "글쓰기 교육을 위한 과학 텍스트 분석 연구", 우리말교육현장학회, 우리말교육현장학회 , 우리말교육현장연 구 7, 2013
109 고영근, "텍스트이론-언어문학통합론의 이론과 실제", 아르케, 아르케, 1999
110 구만옥, "16세기 말~17세기 초 주자학적 우주논의 변화", 한국사상사학회, 한국사상사학회 , 한국사상사학 13, 1999
111 이상숙, "공학글쓰기의 새로운 위상정립을 위한 고찰", 한국어문교육연구회, 한 국어문교육연구회 , 어문연구 38, 2010
112 노윤채, "과학대중화 담화에서의 은유: 천문학의 경우", 프랑스학회, 프랑스학회 , 프랑스학연구 62, 2012
113 박철완, "다산 ‘설’체 산문의 서술양상과 특징 고찰", 청람어문학회, 청람어문교육학회 , 청람어문교육 22, 2000
114 박성래, "역사속 과학인물-조선조 중엽 실학자 홍대용", 한국과학기술단체총연합회, 한국과학기술단체총연합회 , 과학과 기술 27, 1994
115 김현정, "융복합 시대의 이공계생을 위한 글쓰기 교육", 한국 리터러시 학회, 대 학작문학회 , 대학작문 14, 2015
116 박선양, "이공계 글쓰기 교육의 효과적 교수방안 연구", 국어문학회, 국 어문학회 , 국어문학 49, 2010
117 박종훈, "텍스트의 기능적 분석과 그 국어교육적 의미", 국어교육학회, 국어교육학회 , 국어교육학연구 33, 2008
118 주민재(Joo, minjae), "과학 글쓰기 교육의 전문성 제고를 위한 제안", 대학작문학회, 대 학작문학회 , 대학작문 9, 2014
119 신지연, "논증(論證)텍스트의 단락간(段落間) 의미구조", 한국텍스트언어학회 , 텍스트 언어학 27, 2006
120 이삼형, "텍스트 구조 분석 연구-화제 전개를 중심으로", 한국텍스트언어학회 , 텍스트 언어 학 6, 1999
121 김정호, "홍대용 <의산문답>의 정치사상적 특성과 의의", 한국동양정치사상사학회 , 동양정치사상 사, 2006
122 이남은, "과학 글쓰기를 통한 세균 개념 변화 과정 분석", 한국생물교육학회, 한국생물교육학회 , 생물교육 37, 2009
123 김봉순, "구성주의적 읽기 교육의 텍스트언어학적 기반", 한국텍스트언어학회, 한국텍스트언어학회 , 텍스트언어학 11, 2001
124 이재호, "설명적 관계의 다중구조와 설명이론의 정체성", 한국과학철학회, 한국과학철학회 , 과학철학 15, 2012
125 김종록, "자연과학계 논문 문장의 사용실태와 개선방안", 한국어문학회 , 어문학 111, 2011
126 길진숙, "홍대용의 <의산문답> 읽기와 문학 교육적 성찰", 우리어문학회 , 우리어문연구 29, 2007
127 김태옥, 이현호, "「담화 연구의 텍스트성 이론과 적합성 이론」", 담화·인지 언어학회, 담 화 인지언어학회 , 담화와인지 1, 1995
128 신선경, "과학기술자를 위한 글쓰기 교육의 새로운 방향", 한국작문학회, 한국작문학회 , 작문연구 7, 2008
129 오준영, "융 복합 기초교양교육을 위한 과학의 본성교육", 한국교양교육학회, 한국교양교육학회 , 교양교육 연구 7, 2013
130 장경희, "「국어 지시화행의 유형과 방법 및 지시 강도」", 한국텍스트언어학회, 한국텍스트언어학회 , 텍스트 언어학 19, 2005
131 김재영 외 역, 에른스트 페터 피셔, "과학한다는 것: 세상과 소통하는 교양 인을 위한", 반니, 2015
132 윤대선(Yun, Dae-Sun), "새로운 융복합시대의 지식문화와 대학의 글쓰기", 새한철학회, 새한철학회 , 철학논총 78, 2014
133 최정연, "성호의 우주론에 미친 서학의 영향 , 교회사학 12", 한국기독교 회사학회, 2015
134 오윤선, "이공계 대학생의 학술논문쓰기 교육과 평가항목", 국제어문학회, 국제어문학회 , 국제어문 45, 2009
135 강성주, 이순이, "과학글쓰기가 화학Ⅰ 과목의 학습에 미치는 영향", 한국교원대학교교육연구원, 한국교원대학교 교육연구원 , 교 원교육 25, 2009
136 강현석, 이동복, "과학적 설명과 과학교육 적용방안의 예비적 탐색", 경북대학교 중등교육연구소, 경북대학교 중등교육연구소 , 중 등교육연구 51, 2003
137 전용훈, "서양 사원소설에 대한 조선후기 지식인들의 반응", 한국과학사학회, 한국과학사학회 , 한국과학사 학회지 31, 2009
138 이영호, "고전산문 글쓰기를 활용한 작문 교육의 방향 연구", 한국작문학회, 한국작문학회 , 작문연구 22, 2014
139 박수밀, "이익의 성호사설에 나타난 유추의 양상과 그 의미", 한국고전문학교육학회, 한국고전문학교육학회 , 고전문학과 교육 26, 2013
140 장소원 ( So Won Chang ), "한국에서의 텍스트언어학 연구 성과 및 향후 전망", 한국텍스트언어학회, 한국텍스트언어학회 , 텍스트 언어 학, 2010
141 고영근, "“텍스트의 개념정립과 텍스트처리에 관한 문제”", 한국텍스트언어학회 , 텍스트언어학 19, 2005
142 심규철, 이혜정, "과학 영재의 세포 설명에 나타난 글쓰기 특성 분석", 한국영재학회, 한국영재학회 , 영 재교육연구 22, 2012
143 오철우, "과학기술인과 대중의 소통, 그 기술과 철학에 관해", 한국공학교육학회 ( 구 한국공학기술학회 ), 한국공학교육학회 , 공학교육 15, 2008
144 박영민, "과학영역의 작문에서 예상독자 유형과 은유의 전략", 국어교육학회, 국어교육학회 , 국어교육 학연구 16, 2003
145 Gros, A., "오철우 역, 과학의 수사학: 과학은 어떻게 말하는가", 궁리, 2007
146 이은민, "다산 <해조론> 연작의 과학 글쓰기 방법에 대한 연구", 우리말글학회 , 우리말 글 69, 2016
147 이보경, "대학교양교육에서 자연과학의 자리매김에 대한 소고", 한국교육과정학회, 한국교육과정학회 , 교육 과정연구 27, 2009
148 김찬종, 함석진, 차현정, 신현정, 신명환, 맹승호, "「지구과학 논문의 언어 특성 이해: 레지 스터 분석」", 한국지구과학회, 한국지구과학회 , 한국지구 과학회지 31, 2010
149 신선경 ( Sun Kyung Shin ), "과학 탐구와 과학 글쓰기에 대한텍스트언어학적 접근", 한국텍스트언어학회, 텍스트언어학회 , 텍스트 언어학 24, 2008
150 김세영, "응집장치가 과학텍스트의 기억과 이해에 미치는 효과", 한국인지과학회, 한국인지과학회 , 인지 과학 13, 2002
151 김영식, 정형민, "조선 후기의 기술도: 서양 과학의 도입과 미술의 변화", 서울대학교 출판부, 서울대학교 출판부, 2007
152 김용헌, "「서양과학에 대한 홍대용의 이해와 그 철학적 기반」", 한국철학회, 한국철학회 , 철학 43, 1995
153 노대환, "「정조대 서양 과학기술의 수용과 정조의 서학 정책」", 한림대학교 태동고전연구소, 한림대학교 태동고전연구소 , 태동고전연 구 21, 2005
154 손정우, "고등학교 과학 교과서에 서술된 내러티브 텍스트 분석", 에너지기후변화교육학회, 에너지기후변화교육학회 , 에너지 기후변화교육 3, 2013
155 임종태, "17·18세기 서양 지리학에 대한 조선 중국 학인들의 해석", 서울 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003
156 김영식, "“기독교와 서양 과학에 대한 정약용의 태도 재검토,”", 다산학술문화재단, 다산학술문화재단 , 다산학 20, 2012
157 구만옥, "「16-17세기 조선지식인의 서양 이해와 세계관의 변화」", 연세대학교 국학연구원, 연세대학교 국학연구원 , 동방학 지 122, 2003
158 전용훈, "「조선후기서양 천문학과 전통천문학의 갈등과 융화」", 서울대학교 박 사학위논문, 2004
159 이정은, 정은영, "과학 글쓰기를 활용한 과학적 사고력 평가 도구의 개발", 부산대학교 과학교육연구소, 부산대학교 과학교육연구소 , 교사교육연구 52, 2013
160 김찬종, 김혜경, "이공계 의사소통 능력 향상을 위한 통합교육 방안 연구", 어문연구학회, 어문연구학회 , 어문연구 74, 2012
161 김남미, 정옥현, "이공계 학습자의 요약 과제에 나타난 글쓰기 특성 분석", 한국국어교육학회, 한국국어교육학회 , 새국어교육 100, 2014
162 이익, "‘북신(北辰)’, 성호사설(星湖僿說) 천지문(天地門) 권1", null
163 이익, "‘세차(歲差)’, 성호사설(星湖僿說) 천지문(天地門) 권1", null
164 이익, "‘지구(地球)’, 성호사설(星湖僿說) 천지문(天地門) 권2", null
165 남정희, 조혜숙, 이동원, "과학적 글쓰기를 활용한 논의-기반 모델링 전 략의 개발", 한국과학교육학회, 한국과학교육학회 , 한국과학교육학회지 34, 2014
166 문중양, "조선후기 서양 천문도의 전래와 신, 고법 천문도의 절충", 한국과학사학회 , 한국 과학사학회지 26, 2003
167 이익, "‘담천(談天)’, 성호사설(星湖僿說) 천지문(天地門) 권3.", null
168 이익, "‘분야(分野)’, 성호사설(星湖僿說) 천지문(天地門) 권2.", null
169 이익, "‘세차(歲差)’, 성호사설(星湖僿說) 천지문(天地門) 권3.", null
170 이익, "‘지후(地厚)’, 성호사설(星湖僿說) 천지문(天地門) 권2.", null
171 이익, "‘측천(測天)’, 성호사설(星湖僿說) 천지문(天地門) 권3.", null
172 이익, "‘혼개(渾蓋)’, 성호사설(星湖僿說) 천지문(天地門) 권3.", null
173 황성근, "과학글쓰기의 학제적 접근을 위한 고찰 , 교양교육연구 7", 한국 교양교육학회, 2013
174 이승준, "담헌 홍대용의 <의산문답> 연구-문학적 의미를 중심으로-", 우리어문학회 , 우리어문연구 53, 2015
175 김남미, 신충수, "이공계 학습자 전공글쓰기 개선을 위한 ‘수정’의 활용", 대학작문학회 , 대학작문 11, 2015
176 박희숙, "과학 기술 분야 교양과목에서 과학글쓰기 지도 사례 연구", 한국교양교육학회, 한국교양교육학회 , 교양 교육연구 2, 2008
177 김용헌, "조선후기 서양 과학의 수용에 따른 주자학적 사유의 변화", 대동철학회, 대동철학회 , 대동 철학 10, 2000
178 신지원, 최애란, "논의 및 과학 글쓰기 관련 국내 과학 교육 연구 동향 분 석", 한국과학교육학회, 한국과학교육학회 , 한국과학교육학회지 34, 2014
179 황성근, "이공계 글의 특징과 글쓰기 교육 방향 모색 , 사고와표현 3", 한 국사고와표현학회, 2010
180 김민정, "이공계 연구중심대학의 통합형 교양교육과정에 대한 연구", 한국교양교육학회, 한국교양교육학회 , 교 양교육연구 6, 2012
181 이인영, "효과적인 과학 글쓰기 교육을 위한 공학 실험 보고서 고찰", 한국문학연구학회, 한국문학연구학회 , 현 대문학의 연구 40, 2010
182 현남숙, "과학기술의 대중적 소통과 바꿔쓰기 교육 , 교양교육연구 8", 한 국교양교육학회, 2014
183 오윤정, "과학자와 이공계대학생의 과학 글쓰기에 대한 경험과 인식", 이화 여자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013
184 박나리, "학술논문의 텍스트성 분석-의도성(intentionality)을 중심으로-", 한국텍스트언어학회, 한국텍스트언어학회 , 텍스트 언어학 25, 2008
185 김경남, "과학 기술(공학) 글쓰기 교과의 목표 설정과 내용 선정 시론", 우리말교육현장학회 , 우리말교육현장연구 9, 2015
186 진성배, "과학적 설명에 대한 귀납의 전통적 문제 , 인문대학논문집 1", 선문대학교 인문대학, 1998
187 이은민, "다산의 과학 글쓰기 방법 연구 - ‘도설(圖說)’을 중심으로", 문학교육학회 , 문 학교육학 48, 2015
188 이익, "‘구중천(九重天)’, 성호사설(星湖僿說) 천지문(天地門) 권1", null
189 이익, "‘노인성(老人星)’, 성호사설(星湖僿說) 천지문(天地門) 권2", null
190 이희정, "「한국대학에서의 이공계계열 글쓰기 교육의 현황과 과제」", 한민족문화학회, 한민족문화학회 , 한민 족문화연구 31, 2009
191 강순희, 박혜진, "과학 글쓰기 활동을 통한 문제해결력 신장 방안에 대한 연구", 대한화학회, 대한화학회 , Journal of the Korean Chemical Society 58, 2014
192 이익, "‘방성도(方星圖)’, 성호사설(星湖僿說) 천지문(天地門) 권2.", 성호사설(星湖僿說) 천지문(天地門) 권2, null
193 이익, "‘천행건(天行健)’, 성호사설(星湖僿說) 천지문(天地門) 권3.", null
194 배희숙 ( Hee Sook Bae ) , 전영석 ( Young Seok Jhun ), 홍준희 ( Jun Euy Hong ), "과학 탐구 능력 신장을 위한 과학 글쓰기 교수,학습 전략 개발", 한국초등과학교육학회, 한국초등과학교육학회 , 초등과학교육 28, 2009
195 정민이, "비판적 사고를 강조한 과학 글쓰기 REDPREC 모형의 개발과 적 용", 이화여자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012
196 이용범, "이조실학파의 서양 과학수용과 그 한계-김석문과 이익의 경우", 연세대학교 국학연구원 . 동방학지 58, 1988
197 방담이, "창의적 문제해결 과정을 강조한 과학글쓰기 수업 전략의 제안", 한국사고와표현학회, 한국사고와표현학회 , 사고와표현 5, 2012
198 김민정, "이공계생을 위한 ‘글쓰기 교육’의 방법론과 운영에 대한 연구", 한국문학이론과비평학회, 한국문학이론과 비평, 한국문학이론과 비평 34, 2007
199 이봉호, "정조의 스승, 서명응의 철학: 서양 과학에 대한 조선학자의 대응", 동과서, 동과서, 2013
200 이정은, 정은영, "‘생물Ⅰ’과 ‘생명 과학Ⅰ’ 교과서의 과학 글쓰기 활동 분 석", 한국교육과정평가원, 한국교육과정평가원 , 교육과정평가연구 16, 2013
201 이익, "‘일천지극(日天之極)’, 성호사설(星湖僿說) 천지문(天地門) 권1", 성호사설(星湖僿說) 천지문(天地門) 권1, null
202 박성래, "한, 중, 일의 서양 과학수용: 1800년 이전의 근대과학 잠재력 비 교", 한국과학사학회 , 한국과학사학회지 3, 1981
203 이익, "‘월중미흑(月中微黑)’, 성호사설(星湖僿說) 천지문(天地門) 권3.", null
204 이익, "‘일광도사(日光倒射)’, 성호사설(星湖僿說) 천지문(天地門) 권1.", null
205 이익, "‘일천지행(日天之行)’, 성호사설(星湖僿說) 천지문(天地門) 권2.", null
206 이익, "‘천문천대(天問天對)’, 성호사설(星湖僿說) 천지문(天地門) 권3.", null
207 박성래, "역사속 과학인물-중국에 서양 과학 소개한 이 선교사 마테오리 치", 한국과학기술단체총연합회, 한국과학기술단체총연합회 , 과학과 기술 31, 1998
208 주재우, "설 양식을 활용한 유추적 글쓰기 교육의 구도 , 고전문학과 교육 23", 한국고전문학교육학회, 2012
209 조원형, "고등학교 과학교과서의 흥미 유발 전략과 그 텍스트언어학적 의 의", 한국텍스트언어학회, 한국텍스트언어학회 , 텍스트언어학 31, 2011
210 우정규, "교양교육으로서의 논리학 및 과학기술철학의 현황과 그 확대 방 안", 한국교양교육학회 , 교양교육연구 4, 2010
211 송성수, "김영식의 과학사로 통섭하기 -서양 과학사와 교양과학을 중심으 로", 한국과학사학회, 한국과학사학회 , 한국과학사학회지 35, 2013
212 김민정, "이공계대학 교양교육 강화를 위한 인문통합교과 모형에 관한 연 구", 국제어문학회, 국제어문학회 , 국제어문 55, 2012
213 이정아 ( Jeong A Lee ), 맹승호 ( Seung Ho Maeng ), 김찬종 ( Chan Jong Kim ), "지구과학 논문과 지구과학 교과서 텍스트의 과학 언어적 특성 비교", 한국과학교육학회, 한국과학교육학회 , 한국과학교육학회지 27, 2007
214 김윤지, 정진우, "암석 순환의 구성요소와 과정에 대한 비과학 전공 대학 생들의 이해", 한국교원대학교교육연구원, 한국교원대학교 교육연구원 , 교원교육 26, 2010
215 윤주필, "조선조 우언소설의 반문명성: 의산문답 의 허구적 장치를 중심 으로", 한국도교문화학회 ,도교문화연구 12, 1998
216 이익, "‘성토탁개도(星土坼開圖)’,성호사설(星湖僿說) 천지문(天地門) 권1", null
217 김혜연, "과학 글쓰기의 또 다른 가능성-<성호사설>과 <의산문답>을 중 심으로-", 국어교육학회 , 국어교육학연구 46, 2013
218 허왕욱, "다산 정약용의 글쓰기에 나타난 문단 구성의 방법 , 한국어문교 육 11", 한국교원대학교 한국어문교육연구소, 2002
219 구만옥, "다산의 과학사상과 기술관 : 다산 정약용의 천문역법론(天文曆法 論)", 다산학술문화재단 , 다산학 10, 2007
220 이춘희, "담헌 홍대용의 상대주의적 사유에 관한 고찰-<의산문답>을 중 심으로", 범한철학회 , 범한철학 76, 2015
221 이익, "‘중서력삼원(中西曆三元)’, 성호사설(星湖僿說) 천지문(天地門) 권1.", null
222 황혜진, "고전 글쓰기의 현대적 의의, 박지원 평문의 작문론 연구 , 작문 연구 25", 한국작문학회, 2015
223 김훈기, "대학 전공에 따른 국어 능력의 요구-이공계 글쓰기 및 공학 인증 분석-", 한국어교육학회(구 한국국어교육연구학회), 한국어교육학회 , 국어교육 138, 2012
224 박성순, "조선유학과 서양 과학의 만남: 조선후기 소학의 수용과 북학론의 형성", 고즈원, 2005
225 손정우, "과학논술능력 향상을 위한 과학적 사고력에 근거한 과학글쓰기 교수법", 한국교육과정평가원, 한국교육과정평가원 . 교육과정평가연구 9, 2006
226 오철우, "대중과학에서 은유와 유비의 역할: 가모프의 우주론 3부작을 중 심으로", 한국과학사학회, 한국과학사학회 , 한국과학사학회지 37, 2015
227 박성래, "역사속 과학인물-한강 배다리 놓을 때 최초로 기중기 사용 다산 정약용", 한국과학기술단체총연합회, 한국과학기술단체총연합회 , 과학과 기술 26, 1993
228 신선경, "자연과학 텍스트에 나타난 유추와 은유 -개념구조의 사상을 중 심으로-", 한국어의미학회, 한국어의미학회 , 한국어 의미학 29, 2009
229 김혜연, "홍대용 <의산문답>의 글쓰기 방식: 과학 텍스트로서의 특징을 중심으로", 서울대학교 교육종합연구원 , 교육연구와 실천 76, 2010
230 손정우, 정은주, "탐구적 과학글쓰기를 활용한 스토리텔링 교수?학습 방법의개발 및 적용", 이화여자대학교 교과교육연구소, 이화여자대학교 사범 대학 교과교육연구소 , 교과교육학연구 17, 2013
231 한재영, "한국과학교육학회지 논문의 글쓰기 사례 연구 , 한국과학교육학 회지 35", 한국과학교육학회, 2015
232 김영란, 이인호, "과학과 언어(국어)의 통합적 교수 학습을 위한 ‘讀 討 論’ 모형화 연구", 한국교육과정평가원 , 교육과정평가연구 19, 2016
233 박성래, "역사속 과학인물-우리나라 최초로 지전설 제창한 학자 김석문 (1658~1735년)", 한국과학기술단체총연합회 , 과학과 기술 34, 2001
234 김민정, "이공계 전공과 <글쓰기>를 연계한 융합형 교육프로그램 개발을 위한 연구", 배달말학회, 배달말학회 , 배달말 52, 2013
235 김철범, "한문고전의 글쓰기 이론과 그 현재적 의미 - 이조후기 고문론을 대상으로", 한국작문학회, 한국작문학회 , 작문연구 1, 2005
236 남가영, 주세형, "국어과 읽기 평가 맥락에서 과학 지문의 특성 연구 , 교 육과정평가연구 18", 한국교육과정평가원, 2015
237 신선경, "공통 과학 교과서의 텍스트성 연구-텍스트의 의도성과 용인성을 중심으로-", 한국텍스트언어학회, 한국텍스트언어학회 , 텍스트언어학 31, 2011
238 구만옥, "조선후기 천문역산학의 개혁 방안: 정조의 천문책에 대한 대책을 중심으로", 한국과학사학회, 한국과학사학회 , 한국과학사학회지 28, 2006
239 김성숙(Kim, sung-sook), "한양대학교 비교과 의사소통 활동 중 렌즈에세이 쓰기 대회 운영 사례 보고", 한국문화융합학회, 한국문화융합학회 , 문학과 언어 36, 2014
240 주민재, "‘탐구적 과학 글쓰기’에 근거한 연구보고서 쓰기 프로그램의 개발과 적용", 한국교양교육학회, 한국교양교육학회 , 교양교육연구 8, 2014
241 김성룡, "고전 글쓰기의 현대적 의의, 글의 구성에 나타난 고전 글쓰기의 미학적 사유", 한국작문학회 , 작문연구 25, 2015
242 전용훈, "19세기 조선에서 서양 과학과 천문학의 성격-청조 고증학의 영 향을 중심으로", 한국과학사학회 , 한국과학사학회지 35, 2003
243 한수영, "두 문화 사이의 글쓰기 교육 -과학글쓰기 교재 분석을 중심으로 , 인문연구 68", 영남대학교 인문과학연구소, 2013
244 이익, "‘일월도(日月道)’, ‘세차(歲差)’, 성호사설(星湖僿說) 천지문(天地門) 권1.", ‘세차(歲差)’, 성호사설(星湖僿說) 천지문(天地門) 권1., null
245 김찬종, "교육적으로 유의미한 의사소통을 위한 지구과학 관련 전시 라 벨의 서술 특징", 한국지구과학회, 한국지구과학회 , 한국지구과학회지 33, 2012
246 박성래, "동양에서의 서양 과학 수용-난학(일본의 서양 과학), 한국의 실 학과 서양 과학", 한국과학기술단체총연합회, 한국과학기술단체총연합회 , 과학과 기술 15, 1982
247 이상헌, "효과적인 과학 글쓰기 교과 구성을 위한 모색: 가톨릭 대학교 사 례를 중심으로", 한국사고와표현학회 추계학술대회 발표자료집, 2007
248 박길순, "2009 개정 교육과정에 따른 고등학교 과학 교과서의 과학 글 쓰기 제시 양상 분석", 경북대학교 과학교육연구소, 경북대학교 과학교육 연구소 , 과학교육연구지 38, 2014
249 김봉순, "“국어교육을 위한 텍스트 분류 체계 연구 – 읽기와 쓰기 영역을 중심 으로 -”", 국어교육학회, 국어교육학회 , 국어교육학연구 39, 2010
250 박상태, "가설 연역법과 IMRAD를 활용한 이공계 대학생들을 위한 의사소 통 교육 수업 모델", 반교어문학회, 반교어문학회 , 반교어문연구 38, 2014
251 김찬석, "국내 이공계 연구소와 기업의 과학 커뮤니케이션 실행 분석: IOO 모델을 기준으로", 한국커뮤니케이션학회, 한국커뮤니케이 션학회 , 커뮤니케이션학연구 20, 2012
252 홍대용, "‘용수각기(籠水閣記)’ 담헌서(湛軒書) 외집(外集) 부록 애오려제영(愛 吾廬題詠)", null
253 김성숙, "대학 신입생의 융 복합적 사고 능력 배양을 위한 렌즈에세이 쓰 기 교수 모듈 효과", 한국작문학회, 한국작문학회 , 작문연구 19, 2013
254 Reaves, C., "오철우 역, 과학의 언어: 어떻게 과학을 제대로 이해하고 비 평하고 향유할 것인가", 궁리, 2010
255 김상현, "학술적 의사소통을 위한 과학기술 글쓰기 교육-서울대학교 교육 사례를 중심으로-", 한국공학교육학회 , 공학교육 15, 2008
256 민병곤, "논증적 텍스트의 생산 과정에서 논증 도식의 운용 양상에 대한 분석 및 교육적 시사", 국어교육학회, 국어교육학회 , 국어교육학연구 18, 2003
257 김효진, 조명화, "문답의 수사학-《맹자》〈만장편〉과 《홍명집》〈모자 리혹론〉의 분석을 통하여", 중국문학 44, 한국중국어문학회, p.208., 2005
258 황신영, "과학글쓰기 프로그램이 중학생들의 과학 창의성과 과학에 대한 태 도에 미치는 영향",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 논문, 2010
259 박권수, "이공계 과학글쓰기 교육을 위한 강의 모형-연세대학교의 「과학글쓰기」를 중심으로", 한국작문학회, 한국작문학회 , 작문연구 2, 2006
260 남길임, "텍스트 장르에 따른 문장 확대 양상 연구-학술개론서와 학술강 의 텍스트를 중심으로", 한국텍스트언어학회, 한국텍스트언어학회 , 텍스트 언어학 21, 2006
261 장경화, "학생들의 글쓰기에 나타난 논의구조에 미치는 탐구적 과학 글 쓰기 활동의 효과 분석", 한국과학교육학회, 한국과학교육학 회 , 한국과학교육학회지 32, 2012
262 김형석, 주세형, "전공 글쓰기 교육과정 연구를 위한 쟁점 검토-경제학 분야를 중심으로 , 언어학연구 31", 한국중원언어학회, 2014
263 전용훈, "17~18세기 서양 과학의 도입과 갈등-시헌력 시행과 절기배치법 에 대한 논란을 중심으로", 동방학지 117, 2002
264 문중양, "조선후기 실학자들의 과학담론, 그 연속과 단절의 역사-기론적 우주론 논의를 중심으로", 한국학중앙연구원 , 정신문화연구 26, 2003
265 이규희, 홍훈기, "2007 개정 2009 개정 중학교 과학 교과서 화학영역에 사용된 과학 글쓰기 문항의 비교 분석", 대한화학회 , Journal of the Korean Chemical Society 58, 2014
266 김정남, "텍스트언어학과 언어교육, 대학 작문 교육에서 텍스트 이론의 적 용 가능성에 대한 검토", 한국텍스트언어학회 , 텍스트 언어학 17, 2004
267 문중양, "18세기말 천문역산 전문가의 과학활동과 담론의 역사적 성격-서 호수와 이가환을 중심으로", 연세대학교 국학연구원, 연세대학교 국학연구 원 , 동방학지 121, 2003
268 문중양, "조선후기 자연지식의 변화패턴-실학 속의 자연지식, 과학성과 근 대성에 대한 시론적 고찰", 성균관대학교 대동문화연구원, 한국대동문화연구 소 , 대동문화연구 38, 2001
269 이희자, "“주제부 전개로 본 텍스트 구성 연구 – 텍스트를 단위로 풀어 쓰는 국어 지식 이야기 1 -”", 한국텍스트언어학회, 한국텍스트언어학회 , 텍스트 언어학 17, 2004
270 신선경, "자연과학적 글쓰기의 수사적 전통과 방향(1)-1900년대 학회지 에 실린 과학 텍스트를 중심으로", 한국텍스트언어학회, 한국텍스트 언어학회 , 텍스트언어학 21, 2006
271 김윤기, "원자 모형 발전 단계에 내재된 과학적 추론과 과학의 본성- 과학적 소양함양을 위한 기초과학", 한국교양교육학회, 한국교양교 육학회 , 교양교육연구 9, 2015
272 임종태, "17·18세기 서양 과학의 유입과 분야설의 변화-<성호사설> ‘분 야’의 사상사적 위치를 중심으로", 한국사상사학 회 , 한국사상사학 21, 2003
273 구만옥, "조선후기 천문역산학의 주요 쟁점: 황윤석(黃胤錫, 1729-1791) 의 <이재난고(頤齋亂藁)>를 중심으로", 한 국과학사학회 , 한국과학사학회지 31, 2009
274 이병민, "우리나라와 미국의 중학교 과학 교과서 비교 - 세포 단원의 글의 구조, 어휘, 탐구 질문을 중심으로", 서울대학교 국어교육연구소 , 국어교육연구 35, 2015
275 송영배, "홍대용의 상대주의적 사유와 변혁의 논리-특히 <장자>의 상대 주의적 문제의식과의 비교를 중심으로", 일지사 , 한국학보 74, 1994
276 신선경, "자연과학적 글쓰기의 수사적 전통과 방향 : 개화기 서양 과학기 술의 수용과 한국적 과학 담론의 형성", 한국수사학회 , 한국수사학회 월례학술발 표회, 2005
277 함석진, "‘과학동아’ 지구과학 기사의 언어적 특성으로 본 과학 잡지의 과학 대중화 기제 , 한국지구과학회지 31", 한국지구과학회, 2010
278 박상태, "이공계 대학생을 위한 글쓰기 교육 개선 방안에 대한 연구 -성균 관대학교 율전 캠퍼스의 사례를 중심으로-", 한국작문학회, 한국작 문학회 , 작문연구 7, 2008
279 정소연, "이공계 전공글쓰기 교육의 실태 및 현실적인 교육방안: 서울 대학교와 해외 대학(MIT Stanford)의 사례를 중심으로", 한국공학교육학회, 한국공학교육학회 , 공학교육 연구 14, 2011
280 박정은, "논증 구조 교육을 통한 고등학교 학생들의 과학 글쓰기 분석-과 학 글쓰기 장르에 따른 글쓰기 과제를 중심으로", 서울대학교 대학원, 서울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08
281 구만옥, "동서의 만남과 실학: 동아시아 지식세계와 마테오리치, 마테오 리 치(利瑪竇) 이후 서양 수학에 대한 조선 지식인의 반응", 한국실학학회 , 한국실학 연구 20, 2010
282 시정곤, "핵심 의사소통 역량 강화를 위한 대학 교양교육 발전 방안, 이공 계 글쓰기 교육의 과제와 전망 카이스트 사례를 중심으로-", 한국작문학회, 작문연구 21, 2014
283 박승희, "과학기술자를 위한 의사소통 교육: 무엇을 어떻게 가르칠 것인 가? , 실용적 의사소통을 위한 과학기술 글쓰기 교육 -영남대학교 교육 사례를 중심으로-", 한국공학교육학회 , 공학교육 15, 200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