노화 변화 알아차림(AARC, awareness of age related change)은 노화(aging)로 인해 자신의 행동, 수행 수준, 일상 경험이 변화했음을 즉각적으로 포착하는 알아차림을 의미한다. 선행 연구에 따르면 노화...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https://www.riss.kr/link?id=T15532739
용인 : 단국대학교 대학원, 2020
학위논문(박사) -- 단국대학교 대학원 , 상담학과 상담학 전공 , 2020. 2
2020
한국어
155.67 판사항(23)
경기도
Development & Validation of Awareness of Age Related Change Scale for Korean Middle-aged Adults
vii, 206 p. : 삽화, 표 ; 30cm.
단국대학교 논문은 저작권에 의해 보호받습니다.
지도교수:유현실
참고문헌 : p.126-154
I804:11017-000000194927
0
상세조회0
다운로드국문 초록 (Abstract)
노화 변화 알아차림(AARC, awareness of age related change)은 노화(aging)로 인해 자신의 행동, 수행 수준, 일상 경험이 변화했음을 즉각적으로 포착하는 알아차림을 의미한다. 선행 연구에 따르면 노화...
노화 변화 알아차림(AARC, awareness of age related change)은 노화(aging)로 인해 자신의 행동, 수행 수준, 일상 경험이 변화했음을 즉각적으로 포착하는 알아차림을 의미한다. 선행 연구에 따르면 노화 변화 알아차림(AARC, Brothers, 2016)의 긍정, 부정 양상은 개인의 심신의 건강은 물론 노후 준비와 수명과도 관련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개인의 노화 변화 알아차림(AARC)은 현재의 삶이 어떠한가를 나타내주며, 미래의 삶이 어떠할 것인가를 예측해 준다고 할 수 있다. 앞으로 노년기를 맞이할 이들이 자신의 삶을 적극적으로 준비하며 더욱 건강하고 활기찬 생활을 유지하기 위해서는 연령 변화로 인해 생활 전반에서 나타난 개인의 행동과 태도에 대한 평가가 필요하며, 이를 위해서 한국인이 노화 변화 알아차림의 내용과 적응 방식에 대한 기본적인 정보들을 구비하고 있을 필요가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우리나라 사람들이 지각하는 노화 변화 알아차림을 측정하는 검사 도구를 개발하고 구성요인을 검토하고자 한다.
본 연구에서 설정한 문제는 다음과 같다. 첫째, 노화 변화 알아차림(AARC)척도의 구성 요인은 무엇인가? 둘째, 노화 변화 알아차림(AARC)척도는 신뢰롭고 타당한가?
이상과 같은 문제를 파악하기 위해서 본 연구에서는 노화 변화 알아차림(AARC)과 관련된 연구 문헌, 노화 경험과 관련된 척도들에서 항목들을 추출하고 일반인들을 대상으로 노화 변화 알아차림(AARC)의 내용을 수집하여 예비 검사 문항을 작성하였고 예비조사와 본조사를 통해 최종 64문항의 척도가 개발되었다. 본 연구의 주요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면담, 설문을 통해 한국인이 지각한 노화 변화 알아차림(AARC)의 내용을 살펴본 결과, 해외에서 개발된 척도와는 달리 우리나라 사회 문화적 특성을 반영하는 하위요인과 항목들이 나타났다. 예를 들면 배우자와의 관계 변화, 자녀와의 관계변화에서는 자녀로부터는 독립적인 관계를 유지하고 부부관계에서는 더욱 친밀하고 중요한 관계로 변화하는 것으로 나타나 기존 전통 노인 세대와 다른 개인주의적 서구화된 가치관의 변화를 나타냈다. 또한 세대 조화 및 협응 변화, 사회적 기여, 타인과 조화로운 관계 추구, 사회에 대한 책임을 다하는 성숙한 인간의 특성이 발달함을 나타내는 항목이 검출되었다. 둘째, 요인분석 및 요인에 대한 전문가 평가과정을 거쳐, 최종 64문항의 노화 알아차림 척도가 개발되었다. 본 연구에서 개발된 노화 알아차림 척도의 신뢰도와 반분신뢰도는 모두 유의수준(>.70) 이상으로 나타났다. 셋째, 한국 중・장년층 남녀를 대상으로 노화 변화 알아차림 척도를 설문하고, 이를 요인분석 한 결과 여섯 개의 요인 신체 및 건강 기능, 인지기능, 대인관계, 사회인지-사회정서, 생활양식, 영성이 추출되었고 18개의 하위요인이 추출되었다. 넷째, 한국인이 지각한 노화 변화 알아차림은 삶의 만족, 우울, 노화태도, 내적 적응유연성, 외적 적응유연성, 주관적 연령과 유의미한 상관이 있는 결과로 나타났다.
본 연구에서는 개인의 노화 과정을 형성하는 심리적 요소 중 하나인 노화 변화 알아차림(AARC)이 한국인들의 삶의 영역에서 어떻게 나타나고 있는지에 대한 자료를 마련하였으며, 이를 토대로 노화로 인한 변화에 대한 적응을 향상시킬 수 있는 검사 도구를 개발하였다는데 그 의의가 있다. 이러한 연구 결과물은 상담 현장에서 신체적, 심리적 건강을 촉진할 수 있는 상담․교육의 체계적인 자료가 될 것으로 예상되며 나아가 건강 증진, 활발한 사회 참여와 같은 생애 개발을 촉진하기 위한 프로그램 개발에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예상된다.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Awareness of age-related change(AARC) is an awareness that immediately captures changes in one's own behavior, performance level, and daily experiences as a result of aging. Previous studies have shown that the positive and negative aspects of awar...
Awareness of age-related change(AARC) is an awareness that immediately captures changes in one's own behavior, performance level, and daily experiences as a result of aging. Previous studies have shown that the positive and negative aspects of awareness of age related change(AARC) are related to the health and mental health of individuals as well as the preparation and longevity of old age. Therefore, the individual's awareness of age related change(AARC) indicates what life is like and predicts what life will be like in the future. In order to actively prepare for their lives and maintain a healthier and more active life in the future, it is necessary to evaluate the behaviors and attitudes of individuals throughout their lives due to age change. It is necessary to have basic information about the content and the adaptation method. Therefore, this study aims to develop a test tool for measuring the aging perception perceived by Korean people and to examine its components.
The problems set in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what constitutes the AARC? Second, is the awareness of age related change(AARC) reliable and valid?
In order to identify the above problems, this study extracts items from research literature related to awareness of age related change(AARC) and aging experience scales and prepares preliminary examination questions by collecting the contents of aging awareness among the general public. It was. The preliminary and main surveys developed the scale of the last 64 questions. The main results of this study ar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as a result of examining the contents of Korean awareness of age related change(AARC) perceived by interviews and surveys, sub-factors and items reflecting Korean social and cultural characteristics appeared differently from the measures developed overseas. For example, changing relationships with spouses and changing relationships with children are found to maintain independent relationships from children and become more intimate and important relationships in marital relationships. Indicated. In addition, items indicating changes in generation harmonization and coordination, social contributions, seeking harmonious relationships with others, and the development of mature human responsibilities for society were detected. Second, through the factor analysis and expert evaluation process, the aging awareness scale of the final 64 items was developed. Both the reliability and half-confidence of the aging awareness scale developed in this study were above the significance level (> .70). Third, the questionnaire of aging awareness was surveyed among Korean middle-aged and middle-aged men and women. As a result of analyzing the factors, six factors, physical and health function, cognitive function, interpersonal relationship, social cognition-social emotion, lifestyle, and spirituality Eighteen subfactors were extracted. Fourth, the perception of aging perceived by Koreans was significantly correlated with life satisfaction, depression, aging attitude, internal adaptive flexibility, external adaptive flexibility, and subjective age.
In this study, we prepared data on how awareness of age related change(AARC), one of the psychological factors that shape an individual's aging process, appears in the area of Korean life. It is significant that a test tool has been developed to improve the level. It is expected that these findings will be systematic data of counseling and education that can promote physical and psychological health at the counseling site, and can be used to develop programs to promote life development such as health promotion and active social participation. It is expected.
목차 (Table of Contents)
1 이부영, "분석심리학", 서울: 일조각, 1978
2 김석우, 최태진, 박상욱, "교육연구방법론", 학지사, 2015
3 정진웅, "노년의 문화인류학", 서울: 한울 아카데미, 2006
4 김열규, "원한: 그 짙은 안개", 서울: 범문 출판사, 1980
5 김종성, 한성열, 안상섭, "영성의 긍정적 기여", 한국심리학회지: 문화 및 사회문제, 15(1), 207-226, 2009
6 김석수, 정해창, 장승구, 윤형식, 박흥기, "중용의 덕과 합리성", 서울: 청계, 2004
7 최재석, "한국가족제도사연구", 일지사, 1976
8 박태진, "노화의 인지신경기전", 한국심리학회지: 인지 및 생물, 16(3), 317-336, 2004
9 조긍호, "한국인 이해의 개념 틀", 서울: 교문사, 2003
10 이금룡, "나이는 숫자에 불과한가?", 한국노년학, 28(2), 251-267, 2008
1 이부영, "분석심리학", 서울: 일조각, 1978
2 김석우, 최태진, 박상욱, "교육연구방법론", 학지사, 2015
3 정진웅, "노년의 문화인류학", 서울: 한울 아카데미, 2006
4 김열규, "원한: 그 짙은 안개", 서울: 범문 출판사, 1980
5 김종성, 한성열, 안상섭, "영성의 긍정적 기여", 한국심리학회지: 문화 및 사회문제, 15(1), 207-226, 2009
6 김석수, 정해창, 장승구, 윤형식, 박흥기, "중용의 덕과 합리성", 서울: 청계, 2004
7 최재석, "한국가족제도사연구", 일지사, 1976
8 박태진, "노화의 인지신경기전", 한국심리학회지: 인지 및 생물, 16(3), 317-336, 2004
9 조긍호, "한국인 이해의 개념 틀", 서울: 교문사, 2003
10 이금룡, "나이는 숫자에 불과한가?", 한국노년학, 28(2), 251-267, 2008
11 조해경, "성공적 노화에 관한 연구", 연세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02
12 박일영, "가톨릭과 巫敎의 相互宣敎", 신학전망, (115), 2-18, 1996
13 장인협, 최성재, "고령화 사회의 노인복지학", 서울 대학교 출판 문화원, 2010
14 김숙남, 최순옥, 이정희, 신경일, "일부 지역 성인의 노후불안", 한국노년학, 28(1), 19-32, 2008
15 국립특수교육원, 노안영, "상담 심리학의 이론 과 실제", 학지사, 2005
16 조긍호, "이상적 인간형론의 동서비교", 지식산업사, 2006
17 김숙남, 최순옥, 이정희, 신경일, "노화불안 척도의 타당화 연구", 정신간호학회지, 17(3), 292-301, 2008
18 조긍호, "유학사상에서 본 성숙한 노화", 한국인의 성숙한 노화를 향하여-제1회 한국 사회기반연구 워크숍 자료집, 37-75, 2011
19 백순근, "중 고등학교에서의 교사평가", 한국교육학회 학술대회논문집, 89-117, 2004
20 김아영, 최기연, 이채희, "교수몰입 척도 개발 및 타당화", 교육심리연구, 22(4), 647-670, 2008
21 한정란, "청소년의 노인에 대한 태도연구", 한국노년학, 23(4), 181-194, 2003
22 강인, "“성공적 노화의 지각에 관한 연구", 한국노인복지협회, 20, 95-116, 2003
23 이준우, 황준호, 이현아, "한국 노인의 노후생활에 관한 인식", 한국노년학, 31(3), 711-732, 2011
24 홍현방, 최혜경, "성공적인 노화 정의를 위한 문헌연구", 한국가정관리학회지, 21(2), 145-154, 2003
25 김애순, 윤진, "중년기 위기감 척도 제작에 관한 연구", 한국심리학회지: 발달, 4(1), 73-87, 1991
26 김미한, 서순림, "독거노인 건강관련 삶의 질의 영향 요인", 한국노년학, 34, 705-716, 2014
27 신경일, "중년의 노화불안에 대한 Q방법론적 접근", 상담학연구, 14(6), 3595-3614, 2013
28 송숙자, "중년기 대처방식과 정서적 위기와의 관계", 서강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 문, 2002
29 이금룡, "한국사회의 노년기 연령규범에 관한 연구", 한국노년학, 26(1), 143-159, 2005
30 김진숙, 임성숙, "노인 적응유연성척도 개발 및 타당화 연구", 상담학연구, 10(4). 1805-1822, 2009
31 강영백, 안수경, 노선욱, 금미숙, "이미선, 이영숙, 이효자 특수교육실태조사", 아산:, 2011
32 왕은자, 이은영, "중년기 위기감 척도의 개발 및 타당화 연구", 한국심리학회지: 상담 및 심리치료, 29(2), 481-503, 2017
33 전혜정, "한국노인의 비공식적 지원제공과 정신건강", 노인복지연구, 26, 337-361, 2004
34 배병렬, "Amos 19 구조방정식 모델링 원리와 실제. 서울", 청람, 2011
35 유희정, "농촌 사별여성노인의 성공적 노화 경험 연구", 한국노년학, 27, 617-634, 2007
36 김재은, "한국인의 의식과 행동양식-문헌 및 조사연구", 서울: 이화여자대학교 출판부, 1987
37 이선자, "연령단계별 노인에 대한 태도. 박사 학위논문", 이화여자대학교, 1989
38 이옥희, 이지연, "중년기 생성감(Generativity) 척도개발 및 타당화", 상담학연구, 13(2), 665-688, 2012
39 이수림, 조성호, "나이 듦과 지혜: 성공적 노화의 통합적 개념화", 한국심리학 회지, 13(3), 65-87, 2007
40 문선모, "인간관계훈련 집단상담의 효과에 관한 일 연구", 경상대 논문집, 19(2), 195-204, 1980
41 안태용, "중년기 한국인 적응유연성척도 개발 및 타당화", 상담학연구, 14(5), 2751-2781, 2013
42 Corey, G., "조현춘, 조현재 심리상담과 치료의 이론과 실제", 시그마프레스, 1991
43 김동배, "한국 노인의 성공적 노화 척도 개발을 위한 연구", 한국사회복지학, 60(1), 211-231, 2008
44 강부송, "성역할 정체감과 대인관계의 연구. 석사학위논문", 이화여자대학교, 1986
45 송미영, 조추용, "이근선 중년층의 노후준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노인복지연구, 43(1), 135-156, 2009
46 최상진, "한의 사회심리학적 개념화 시도. 한국심리학회 편", 한국심리학회 연차 학술 발표대회 논문집. (pp. 339-350). 서울: 한국심리학회, 1991
47 김미혜, 신경림, "강미선, 강인 한국노인의 성공적 노후에 대한 경험", 한국노년학, 24(2), 79-95, 2004
48 이혜진, "중년여성의 노화불안 측정도구 개발. 박사학위논문", 아주대학교, 2018
49 홍세희, "구조 방정식 모형의 적합도 지수 선정기준과 그 근거", Korean Journal of Clinical Psychology, 19(1), 161-177, 2000
50 곽인숙, 홍성희, "세대간 노인에 대한 태도와 행동의 차이에 관한 연구", 한국가족자 원경영학회지, 14(2), 177-199, 2010
51 정성훈, "사회의 분화된 합리성과 개인의 유일무이한 비합리성", 사회와 철학, (25), 135-168, 2013
52 주용국, "‘노인다움’ 노화 지원을 한 상담․교육 모형의 개발", 상담학 연구, 10(1), 17-42, 2009
53 권혜진, 정문신, "중년 여성들의 노화인식에 영향을 미치는 복합적 요인", 디지털융복 합연구, 15(2), 493-501, 2017
54 성혜영, 유정헌, "성공적 노화 개념의 인식에 관한 연구 : Q방법론적 접근", 한국노년 학, 22(2), 75-93, 2002
55 고기숙, "중년기 남성의 심리적 위기에 관한 연구. 박사학위논문", 성균관대학교, 2003
56 김정은, 최해경, "지역사회 노인의 삶의 만족도와 영향 요인의 성별 차이", 한국콘텐 츠학회논문지, 18(6), 467-480, 2018
57 김욱, 김정현, "노화태도척도(AAQ)의 한국 노인 적용을 위한 타당성 연구", 한국노년 학, 32(4), 1181-1197, 2012
58 안정신, 정여진, "남성 노인의 성공적 노화에 가족관계 변인이 미치는 영향", 한국노년 학, 30(2), 535-550, 2010
59 배문조, "중년기 성인의 노인에 대한 태도와 노후준비에 관한 연구", 한국노년학, 29(3), 1107-1122, 2009
60 김미혜, 성기옥, 문정화, "성인의 생애주기별 주관적 행복감과 영향요인에 관한 연구", 한국노년학, 34, 857-875, 2014
61 김은주, "노인의 성공적 노화 측정도구에 대한 요인 구성타당도 평가", 한국간호학회, 43(4), 568-578, 2013
62 장미옥, "신 노년문화 형성을 위한 노화담론분석과 평생 교육적 논의", 문화예술교육 연구, 11(4), 63-87, 2016
63 한정란, "우리나라 대학생들의 노화에 관한 지식과 태도에 대한 연구", 연세교육연 구, 1 3(1), 191-206, 2000
64 양미자, 조성제, "노인의 노화에 대한 태도가 자살에 대한 생각에 미치는 영향", 노 인복지연구, 62, 345-360, 2013
65 김지훈, "완벽주의 성향과 자기효능감이 대인관계기술에 미치는 영향", 대구가톨릭대 학교 석사학위논문, 2011
66 김재은, "한국가족의 집단성격과 부모자녀관계에 관한 심리학적 연구", 이화여자대학 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1974
67 정주원, 조소연, "주관적 노후인식이 60대 중고령자의 우울에 미치는 영향 연구", 보 건사회연구, 33(4), 155-184, 2013
68 김정순, "노인의 사회적 활동과 자아통합감에 관한 연구. 박사학위논문", 이화여자대 학교, 1989
69 배성만, "“한국 성인의 대인관계 유능성 척도의 개발과 타당화 연 구”", 한국상담학회, 16(3), 51-65, 2015
70 강수연, 염유식, 김호영, "노년기 사회활동이 인지기능에 미치는 영향: 교육의 조절 효과", 한국심리학회지: 일반, 35(4), 563-587, 2016
71 황미영, "도시 저소득층 노인의 비공식 지지망 구조와 기능에 관한 연구", 이화여자대 학교 대학원 박사학위 청구논문, 1998
72 이화진, 정영숙, "중년기의 성숙한 노화와 죽음태도 및 죽음대처 유 능감의 관계", 한국심리학회지: 발달, 27(2), 131-154, 2014
73 이향란, "고령자의 평생학습 학습참여동기가 활동적 노화에 미치는 영향", 노인의료복 지연구, 5(2), 69-82, 2013
74 박경실, 정윤철, 왕흥희, "스쿼스 운동 참가자의 운동중독이 심리적행복감에 미치는 영향", 한국체육과학회지, 19(2), 535-545, 2010
75 백지은, 최혜경, 최혜경, 백지은, "한국노인들이 기대하는 성공적인 노화의 개념, 유형 및 예측요인", 한국가정관리학회지, 23(3), 1-16, 2005
76 김춘경, "“중년기 우울 여성의 심리적 경험 양상에 관한 현상학적 연구.”", 특수교육재활 과학연구, 50(3), 25-51, 2011
77 윤영호, "노인의 자원봉사활동이 생활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석사학위논문", 중앙대학 교, 1995
78 남상권, 심옥수, "만성질환노인의 삶의 질 영향요인 연구: 만성질환유형을 중심으로", 노인복지연구, 53, 239-259, 2011
79 Levinson, D. J., "The seasons of a man’s life. 김애순 역 (2003). 남자가 겪는 인생의 사계절", 서울: 이화여자대학교출판부, 1978
80 윤유경, "주관적 연령의 예측 요인과 심리적 특성에 관한 연구. 박사학위논문", 이화여자대학교, 1996
81 김경란, 김경신, "중년기 기혼여성의 자아정체감 및 위기감이 삶의 질에 미치는 영 향", 대한가정학회지, 39(4), 105-120, 2001
82 최혜경, "백지은, 서선영 노인들의 인식을 통한 한국적인 성공적 노 화의 개념", 한국 가정관리학회지, 23(2), 1-10, 2005
83 이창식, "성공적 노화에 대한 청소년세대와 노년세대의 인식차이에 관한 연구", 한국 가족관계학회지, 12(3), 85-107, 2007
84 김미령, "“여성노인의 삶의 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성공적 노화의 구성요소.”", 한국노 년학, 28(1), 33-48, 2008
85 김동선, 모선희, "국가인권위원회 판정 사례를 통해 살펴본 고용상 연령차별의 요인 탐구", 한국노인복지학회, 51, 145-163, 2011
86 최금주, "노인의 영적 웰빙이 자아통합과 죽음불안에 미치는 영향. 박사학위논문", 대 구가톨릭대학교, 2009
87 오현옥, "신체활동 참여 노인들의 사회지원과 성숙한 노화태도 및 심리적 안녕감", 한 국사회체육학회지, 59(1), 619-632, 2015
88 김지현, "중년기 성인의 부부친밀감과 노화불안과의 관계에서 자녀애착의 매개효과", 한국심리학회지 상담 및 심리치료, 26(4), 1131-1149, 2014
89 정영미, "배우자 유무에 따른 노인의 기분 상태, 일상 생활활동 및 노화에 대한 태 도", 성인간호학회지, 17(4), 656-667, 2005
90 고경희, 이정윤, "중년기 성인의 적응유연성 보호요인에 관한 개념 도: 남녀 차이를 중심으로", 상담학연구, 19(2), 279-301, 2018
91 김민희, "노인접촉, 노인에 대한 태도 및 죽음불안이 대학생의 노화불안에 미치는 영향", 한국심리학회지: 문화 및 사회문제, 19(3), 435-456, 2013
92 최상순, "일 지역 성인의 영적 안녕, 희망 및 건강상태에 관한 관계연구. 박사학위논 문", 연세대학교, 1990
93 구본진, "중년 여성의 극복력, 희망, 부부 친밀감 및 가족지지가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 정신간호학회지, 17(4), 421-430, 2008
94 김순은, 김준표, "독거노인의 사회자본과 삶의 만족: 우울과 공적연금 수급의 지역차 를 중심으로", 사회과학연구, 29(3), 267-284, 2018
95 김선미, 정영숙, "감사성향, 배우자에 대한 감사표현과 중년기 부부의 결혼만족도, 행 복감의 관계", 한국심리학회지: 여성, 21(3), 511-536, 2016
96 김명신, "교사들의 노인에 대한 태도와 노화지식이 노화불안에 미치는 영향. 석사학 위논문", 한서대학교, 2009
97 이수림, "외상 유형이 외상 후 성장 및 지혜에 미치는 영향: 사회적 지지와 대처의 매개효과", 한국심리학회지: 문화 및 사회문제, 19(3), 319-341, 2013
98 박현숙, "여고생의 노화지식 및 노화불안이 노인에 대한 태도에 미치는 영향. 석사학 위논문", 한서대학교 정보산업대학원, 2009
99 천경인, "중년 성인의 건강증진행위, 자기효능감, 부부친밀감과 성공적 노화. 석사학 위논문", 연세대학교, 2019
100 김정은, 최해경, "돌봄 대상자의 기여 요인이 가족 돌봄 노인의 돌봄 부담감과 만족 감에 미치는 영향", 사회과학연구, 26(2), 123-150, 2015
101 곽종형, "실버세대의 라이프스타일이 건강기능식품구매 만족도 및 재구매의도에 미 치는 영향", 호서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 논문, 2008
102 김수한, "중년기 남성의 심리적 위기감과 성역할 및 무조건적 자기 수용의 관계. 석 사학위논문", 이화여자대학교, 2010
103 마성룡, 이선일, 박상훈, "노인복지시설 이용자의 인구학적 특성에 따른 노화에 대한 태도와 우울에 미치는 영향", 한국엔터테인먼트 산업학회논문지, 13(2), 169-176, 2019
104 김수지, 김순은, "자녀 및 이웃결속감, 고독감, 자기방임 간의 관계: 독거노인과 비독 거노인을 중심으로", 인문사회 21, 10(3), 1-16, 2019
105 서수균, 정영숙, 안정신, "성숙한 노화 태도와 성공적 노화 및 심리사회적 성숙의 관 계: 성숙한 노화 개념의 탐색", 한국심리학회지: 발달, 26(2), 127-147, 2013
106 김윤정, "정선아 청소년의 노인에 대한 태도: 노인에 대한 인식과 행동 간의 관계 규명을 중심으로", 한국가정관리학회지, 19(6), 173-183, 2001
107 백경원, "종합병원 종사자의 노화지식 및 노화불안이 노후생활준비도에 미치는 영향. 석사학위논문", CHA의과대학교, 2011
108 전정원, "뉴실버 세대의 심리적 변수에 따른 외식소비 행동연구: 라이프스타일과 개인가치를 중심으로", 경기대학교 관광전문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08
109 권유림, 박민희, "중년 및 노년기 여성의 한국어판 노화에 대한 기대수준 측정도구 (ERA) 의 타당도와 신뢰도 검증", 한국보건간호학회지, 28(3), 460-470, 2014
110 박경희, "노인복지관을 이용하는 노인들의 성공적 노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관 한 연구. 석사학위논문", 이화여자대학교, 2005
111 이지연, 한경혜, "“노인에 대한 부정적 고정관념과 노화불안이 노인 과의 시공간 공유에 대한 태도에 미치는 영향,”", 한국사회학회, 51(2), 1-30, 2017
112 송희숙, "발견술 모델을 적용한 기하 증명 수업이 학습 양식에 따라 수학적 사고력 에 미치는 영향. 박사학위논문", 전북대학교, 2010
113 김근영, 황미구, "상담일반: 노인의 노화지식수준이 자살생각에 미치는 영향: 노인에 대한 태도, 자아존중감 및 우울을 매개로 하여", 상담학연구, 10(2), 651-668, 2009
114 정미경, "중장년기의 노화인지수준과 노화태도가 행복감에 미치는 영향 : 고령친화적 환경의 조절된 매개효과중심으로. 박사학위논문", 충북대학교, 201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