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연변 지역에서 한국어 ‘괜찮다’와 조선어 ‘일없다’의 사용 양상 연구 = A study on the Use Patterns of ‘Gaenchanda’ and ‘Ilupda’ in Yanbian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6174749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In this study, the use of ‘Gaenchanda’ and ‘Ilupda’ in Yanbian from the perspective of sociolinguistics and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ddress the influential relationship between Korean and the Language of ethics Koreans living in China ...

      In this study, the use of ‘Gaenchanda’ and ‘Ilupda’ in Yanbian from the perspective of sociolinguistics and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ddress the influential relationship between Korean and the Language of ethics Koreans living in China as well as their linguistic attitudes in order to predict the changes in the use of language in Yanbian. For this study, the meaning of ‘Gaenchanda’ and ‘Ilupda’ and their function of discourse have been analyzed in order to prepare the criterion for the analysis. In the domain of meaning, ‘Gaenchanda’ means ‘no worry’, ‘fine/allowed’, ‘ok’, and ‘fine for use’ while ‘Ilupda’ means ‘no worry’, ‘not necessary/no’, and ‘not occupied’.
      Also, it performs various functions according to the relation between a speaker and a listener and the situation of utterance. ‘Gaenchanda’ is used to ‘suggest that it is ok’, ‘express an emotion’, ‘allow’, and ‘accept’, and ‘Ilupda’ is used to ‘suggest a negative opinion’, ‘express an emotion’, ‘allow’, and ‘accept.’ From the sociolinguistic analysis, it was revealed that the meaning of ‘Ilupda’ has been diminished in Yanbian while of ‘Gaenchanda’ has been extended, and in discourse, ‘Gaenchanda’ has been preferred as well. The main reason for preferring ‘Gaenchanda’ is in its linguistic attitude, of ‘Politeness and kindness’, followed by the public influence of media such as broadcasting and TV.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본고는 연변 지역에서 한국어 ‘괜찮다’와 조선어 ‘일없다’의 사용 양상을 사회언어학적으로 분석하여 한국어가 조선어에 미친 영향 및 그에 따른 언어 태도 조사 결과를 통해 연변 지...

      본고는 연변 지역에서 한국어 ‘괜찮다’와 조선어 ‘일없다’의 사용 양상을 사회언어학적으로 분석하여 한국어가 조선어에 미친 영향 및 그에 따른 언어 태도 조사 결과를 통해 연변 지역의 언어 사용 변화를 예측하고자 한다. 본고는 사용 양상에 대한 설문 조사의 분석 기준을 마련하기 위하여 ‘괜찮다’와 ‘일없다’의 의미와 담화 기능을 분석한다. 의미 영역에서 ‘괜찮다’는 [걱정 없음], [무방함/허락함], [좋음], [쓸만함]을 의미하고, ‘일없다’는 [걱정 없음], [필요 없음/싫음], [한가함]을 의미한다. 그리고 이러한 의미는 화자와 청자 간의 관계 및 발화 상황에 따라 다양한 기능을 수행하게 되는데, ‘괜찮다’는 의견 제시하기, 감정말하기, 허락하기, 수용하기를 나타내고, ‘일없다’는 부정 의견 제시하기, 감정말하기, 허락하기, 수용하기를 나타낸다. 그리고 연변 지역에서 ‘일없다’의 의미가 축소되는 반면에, ‘괜찮다’는 확대되고 있으며 담화 기능에서도 ‘괜찮다’를 선호하여 사용하고 있다. ‘괜찮다’를 선호하는 원인은 ‘공손함, 친절함’ 등의 언어 태도가 주요한 원인이며, 방송이나 TV와 같은 매체의 공적인 영향이 그 다음이다. 이외에 ‘괜찮다’는 윗사람이나 동료에게 공손한 표현으로 많이 사용되기 때문에 ‘일없다’보다 사용 범위가 확대되어진 경향을 보인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서희정, "형용사 ‘괜찮다’의 담화 기능" 이중언어학회 (28) : 135-160, 2005

      2 김현효, "한국어와 영어 성별어 비교연구: 공손표현과 관련하여" 한국산학기술학회 16 (16): 6527-6533, 2015

      3 박은하, "한국어 교재와 구어 말뭉치에 나타난 ‘괜찮다’의 사용 양상과 의미 기능" 길림성민족사무위원회 (4) : 2016

      4 이수연, "한국어 거절 표현 연구" 서울대학교 대학원 2008

      5 원효설, "한국어 ‘괜찮다’와 중국어 ‘沒關系’의 담화 기능 대조" 국제어문학회 (72) : 229-251, 2017

      6 한지민, "한국어 '괜찮다'의 교육방안 연구" 숙명여자대학교 대학원 2012

      7 국립국어연구원, "표준국어대사전" 두산동아 1999

      8 김이협, "평북방언사전" 한국정신문화연구원 1981

      9 이근술, "토박이말 쓰임사전" 동관출판사 2001

      10 강현석, "충남 지역 화자들의 방언 구획, 방언 태도 및 인지에 대한 연구" 한국사회언어학회 18 (18): 249-286, 2010

      1 서희정, "형용사 ‘괜찮다’의 담화 기능" 이중언어학회 (28) : 135-160, 2005

      2 김현효, "한국어와 영어 성별어 비교연구: 공손표현과 관련하여" 한국산학기술학회 16 (16): 6527-6533, 2015

      3 박은하, "한국어 교재와 구어 말뭉치에 나타난 ‘괜찮다’의 사용 양상과 의미 기능" 길림성민족사무위원회 (4) : 2016

      4 이수연, "한국어 거절 표현 연구" 서울대학교 대학원 2008

      5 원효설, "한국어 ‘괜찮다’와 중국어 ‘沒關系’의 담화 기능 대조" 국제어문학회 (72) : 229-251, 2017

      6 한지민, "한국어 '괜찮다'의 교육방안 연구" 숙명여자대학교 대학원 2012

      7 국립국어연구원, "표준국어대사전" 두산동아 1999

      8 김이협, "평북방언사전" 한국정신문화연구원 1981

      9 이근술, "토박이말 쓰임사전" 동관출판사 2001

      10 강현석, "충남 지역 화자들의 방언 구획, 방언 태도 및 인지에 대한 연구" 한국사회언어학회 18 (18): 249-286, 2010

      11 양효하, "중국인 한국어 학습자를 위한 ‘괜찮다’의 담화기능 연구" 동국대학교 2017

      12 김순희, "중국 조선족학교 중학생의 언어 사용 양상 연구" 한국방언학회 (26) : 157-178, 2017

      13 완한석, "중국 요녕성 한인동포의 생활 문화" 국립민속박물관 1997

      14 이홍란, "중국 연변 지역어의 청자대우법 사용 양상 연구- 희극 소품, 드라마를 대상으로" 한국언어문학교육학회 33 : 5-38, 2015

      15 박경래, "중국 연변 조선족들의 언어 태도" 한국사회언어학회 10 (10): 59-86, 2002

      16 연변조선족자치주 사회과학원 언어연구소, "조선말사전" 연변인민출판사 2002

      17 북한 사회과학원 언어학연구소, "조선말대사전" 사회과학출판사 1992

      18 조선출판물수출입, "조선말관련사전" 조선출판물수출입 2012

      19 박경래, "재중 동포 언어 실태 조사" 국립국어연구원 2012

      20 곽충구, "재외 동포의 언어 연구" 한국어문학회 (69) : 2000

      21 이강순, "일본인 고급 한국어 학습자의 요청 화행 연구 : 전략과 표현을 중심으로"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2007

      22 연변조선족자치주 역사언어연구소, "우리말소사전" 민족출판사 1989

      23 한글 학회, "우리말 큰 사전" (주)어문각 1992

      24 서울대 국어교육연구소, "우리말 유의어 대사전" (주)낱말 어휘정보처리연구소 2009

      25 한글 학회, "우리말 사전" 글나래 2005

      26 김정섭, "우리말 바로쓰기 사전" 지식산업사 2008

      27 허상희, "우리말 거절 화행 연구 : 텔레비전 드라마 대본을 중심으로" 인제대학교 대학원 2003

      28 연대언어정보개발연구소, "연세 한국어사전" 동아출판 2002

      29 량빈, "연변 지역의 헤드카피 언어 사용에 반영된 언어태도 연구" 한국사회언어학회 26 (26): 135-158, 2018

      30 유창돈, "여성어의 역사적 고찰" 숙명여자대학교 아세아여성문제연구소 (5) : 1966

      31 민중서림 편집국, "엣센스 국어사전" 민중서림 2006

      32 강현석, "언어와 사회, 그리고 문화" 글로벌콘텐츠 2014

      33 전헤영, "언어 사용자의 성별과 발화 특성" 한국어학회 31 : 47-70, 2006

      34 토박이 사전 편찬실, "보리 국어사전" 보리 2008

      35 두산동아 사서 편집국, "동아 새국어사전" 동아출판 2007

      36 이승재, "담화분석을 통해 살펴본 성별 언어에 대한 연구" 2014

      37 김선희, "남성어·여성어에 관한 연구" 목원대학교 인문과학연구소 (2) : 1992

      38 조재수, "남북한 사전" 한겨레신문사 2000

      39 구현정, "남·여성형 어휘의 사회언어학적 의미" 상명대학교 어문학연구소 (3) : 1995

      40 김민수, "금성판 국어대사전" 금성출판사 1991

      41 남영신, "국어대사전 개정2판" 성안당 2003

      42 이응백, "국어대사전" 교육도서 1991

      43 조영보, "괜찮다’의 의미와 의사소통 기능에 관한" 연세대학교 대학원 2014

      44 고려대학교민족문화연구원, "고려대 한국어대사전" 고려대학교민족문화연구원 2009

      45 한글문화연구회, "겨레말 용례사전" 한글문화연구회 1996

      46 柳亨善, "거절'과 관련된 表現에 대한 硏究" 한국어문교육연구회 29 (29): 5-20, 2001

      47 신승용, "東北三省 朝鮮族 現況과 言語變化 樣相 및 朝鮮語文 敎育" 동아인문학회 1 (1): 235-263, 2006

      48 이유미, "應答發話 “괜찮다”의 脈絡에 따른 認識 硏究" 한국어문교육연구회 43 (43): 125-142, 2015

      49 허상희, "‘괜찮다’의 화용적 기능과 특징" 우리말학회 (20) : 261-285, 2007

      50 Lakoff, R., "The logic of politeness: or minding your p’s and q’s" 9 : 1973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6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KCI등재
      2016-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후보
      2014-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2009-06-02 학회명변경 한글명 : 인문과학연구소 -> 인문학연구소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28 0.28 0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 0 0 0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