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근대 단형서사의 `기독교 예화집` 수용 양상 = Modern short narratives`s the acceptance aspects of Christian parables

      한글로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이 논문은 근대 신문 매체, 특히 기독교계 신문에서 단형서사가 출현하는 과정과 1900년대 초기 기독교 소재 단편 그리고 이해조의 『자유종』과 같은 토론체 신소설에 단형서사가 어떻게 수...

      이 논문은 근대 신문 매체, 특히 기독교계 신문에서 단형서사가 출현하는 과정과 1900년대 초기 기독교 소재 단편 그리고 이해조의 『자유종』과 같은 토론체 신소설에 단형서사가 어떻게 수용되는지 고찰하였다. 또한 단형서사가 『비유요지』와 『안인거』와 같은 `기독교 예화집`과 일정 정도 관련이 있음을 밝혔다. 이를 통해 내릴 수 있는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기독교계 신문에 실린 단형 서사 중 서양이 배경인 글은 서양인 중국 선교사가 한문 문언체로 중국에서 간행한 `기독교 예화집`에서 골라 번역한 글이다. 이와 같은 사실은 `서사적 논설` 양식의 글쓰기 유래를 조선후기의 한문 단편과 야담 등 전통적 글쓰기 양식 이외에서도 찾을 수 있다는 가능성을 제시한다. 기독교인이며 한학에 밝은 『조선/대한 크리스도인 회보』의 집필진이 선교와 계몽에 필요한 글쓰기를 위해 `기독교 예화집`에 실린이야기를 번역했다는 사실로 보아, 단형서사 양식의 유래로서 기존 논의와는 다른 경로를 추가할 수 있는 것이다. 둘째, `기독교 예화집`의 단형서사는 1900년대 초반에 발표된 기독교 소재 단편과 『자유종』과 같은 토론체 신소설에도 수용되었다. 기독교 소재 단편에서는 주제의 강화 측면에서, 『자유종』에서는 각 토론자의 주장에 대한 근거로서 `기독교 예화집`의 예화가 수용되었는데 이는 단형서사와 근대소설사 전개의 상관성에 관한 가설을 제기할 수 있는 근거가 되리라 생각한다. 셋째, 1890년부터 1900년 초기의 근대 소설사에서 중국을 경유한 서양 문학의 번역·번안에 대한 관심이 요청된다. 특히 기독교 관련 문학 작품은 선교 경로와 관련되어 일본보다는 중국을 경유하여 번역된 경우가 많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paper aims to study short narratives which was published in newspapers in modern Korean period from 1890`s to 1900`s and the correlation between them and Korean modern literature. Some short narratives were put in books, Important Purpose of Para...

      This paper aims to study short narratives which was published in newspapers in modern Korean period from 1890`s to 1900`s and the correlation between them and Korean modern literature. Some short narratives were put in books, Important Purpose of Parables, Illustration of Christian Truth, etc, that was published in China with the purpose of the propagation of Christianity. Journalist who studied Chinese classics translated book from Chinese into Korean and published extracts from the books because they thought that the contents of the books benefitted enlighten they fellow countrymen. Short narratives were parenthetic in Short story in the 1900`s and Sin-So-Sul, Cha-Yu-Jong. This shows short narratives the relation between short narratives and Korean modern novel. Meanwhile, It should be noted that the translation of Chinese literature is important in modern korean literature in the period from 1890`s to 1900`s.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