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연구는 대전광역시와 천안시 소재 어린이집에 근무하는 보육교사 285명을 대상으로 하고 있으며, 보육교사의 인구학적 특성에 따라 교사효능감, 전문성 인식, 상호작용 유형에 차이가 있...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는 대전광역시와 천안시 소재 어린이집에 근무하는 보육교사 285명을 대상으로 하고 있으며, 보육교사의 인구학적 특성에 따라 교사효능감, 전문성 인식, 상호작용 유형에 차이가 있...
본 연구는 대전광역시와 천안시 소재 어린이집에 근무하는 보육교사 285명을 대상으로 하고 있으며, 보육교사의 인구학적 특성에 따라 교사효능감, 전문성 인식, 상호작용 유형에 차이가 있는지, 교사효능감과 유아와의 상호작용의 관계에서 교사가 인식하는 전문성 수준이 매개효과를 갖는지 분석하는데 목적을 두고 있다. 자기보고식 설문지를 통해 수집된 자료를 분석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교사의 인구통계학적 특성에 따른 집단 간 차이검증 결과, 연령이 높아질수록, 경력이 많아질수록, 결혼한 경우, 평가인증 경험이 있는 경우에 교사효능감과 전문성에 대한 인식수준이 높았으며, 유아와의 상호작용 역시 긍정적이었다. 둘째, 유아와의 상호작용에 대해 전문성 인식, 일반적 교사효능감, 개인적 교사효능감의 순서로 영향을 미치고 있다. 셋째, 일반적 교사효능감과 정서적 상호작용의 관계에서, 전문성 인식은 완전 매개효과를 갖고 있다. 즉, 일반적 교사효능감이 전문성 인식을 매개하였을 때 유아와의 상호작용에 미치는 직접효과는 사라지고 일반적 교사효능감은 간접효과를 나타내었고, 결과적으로 전체효과는 오히려 더 증가하였다. 그리고 행동적, 언어적 상호작용에서 전문성 인식은 부분매개효과를 나타냈다. 이로서 일반적 교사효능감은 유아와의 행동적, 언어적 상호작용에 대한 직접효과와 간접효과 모두 유의미하였다. 이러한 연구결과와 함께 보육교사 양성과정에서 교사효능감과 교사로서의 전문성을 높게 인식할 수 있는 지원 방안이 필요함을 제언하고 있다.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effects of child care teachers' efficacy on their interaction with children and an mediating role of professional perception between their self-efficacy and interaction with children. A total of 285 child c...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effects of child care teachers' efficacy on their interaction with children and an mediating role of professional perception between their self-efficacy and interaction with children. A total of 285 child care teachers enrolled in child center in Daejeon and Cheonan city participated in this study. The results were as follows.
First, there was the significant differences in teacher efficacy level, professional perception level, and interaction level by age, career, marital status, and accreditation experiences. Second, independent variables had significant effects on children-teachers interaction. The influences were in order: professional perception, general teacher’s efficacy, and personal teacher’s efficacy. Third, child care teachers' professional perception had the full mediating effect on emotional interaction style. And there was partial mediating effect on behavioral and verbal interaction style.
Finally, Understanding of the relationships among teacher’s self-efficacy, professional perception, and children-teachers interaction may contribute to improving the quality of child care teacher education.
참고문헌 (Reference)
1 임성택, "학부모의 교육지원이 교사의 심리적 소진에 미치는 영향 : 교사효능감의 매개효과" 한국교원교육학회 29 (29): 149-173, 2012
2 서재경, "학부모 및 보육교사가 지각하는 보육교사-학부모간의 의사소통에 관한 어려움과 보육교사 효능감과의 관계" 경희대학교 교육대학원 2014
3 이윤식, "학교조직건강, 개인적 교사효능감, 집단적 교사효능감 및 수업전문성 간의 관계" 한국교원교육학회 29 (29): 541-564, 2012
4 김영한, "특수학급 교사의 교직적응탄력성이 성취목표지향성에 미치는 영향: 전문성 인식을 매개변인으로" 특수교육재활과학연구소 53 (53): 147-167, 2014
5 최용재, "특수학급 교사의 교직 적응 탄력성 척도 개발 및 타당성 분석" 대구대학교 대학원 2013
6 김종철, "초등교사가 지각하는 학교장의 수업지도성, 교사의 수업전문성, 학교조직몰입, 학교조직효과성 간의 관계" 한국교원교육학회 30 (30): 331-354, 2013
7 김운정, "지역아동센터 종사자의 전문성 인식과 직무만족" 한국콘텐츠학회 14 (14): 257-269, 2014
8 이정미, "자폐아동의 자발적 의사소통 행동에 관한 연구" 한국정서·행동장애아교육학회 23 (23): 345-359, 2007
9 김수영, "유치원의 질적 수준에 따른 교사의 행동 및 유아의 놀이 활동 차이" 21 : 89-105, 2000
1 임성택, "학부모의 교육지원이 교사의 심리적 소진에 미치는 영향 : 교사효능감의 매개효과" 한국교원교육학회 29 (29): 149-173, 2012
2 서재경, "학부모 및 보육교사가 지각하는 보육교사-학부모간의 의사소통에 관한 어려움과 보육교사 효능감과의 관계" 경희대학교 교육대학원 2014
3 이윤식, "학교조직건강, 개인적 교사효능감, 집단적 교사효능감 및 수업전문성 간의 관계" 한국교원교육학회 29 (29): 541-564, 2012
4 김영한, "특수학급 교사의 교직적응탄력성이 성취목표지향성에 미치는 영향: 전문성 인식을 매개변인으로" 특수교육재활과학연구소 53 (53): 147-167, 2014
5 최용재, "특수학급 교사의 교직 적응 탄력성 척도 개발 및 타당성 분석" 대구대학교 대학원 2013
6 김종철, "초등교사가 지각하는 학교장의 수업지도성, 교사의 수업전문성, 학교조직몰입, 학교조직효과성 간의 관계" 한국교원교육학회 30 (30): 331-354, 2013
7 김운정, "지역아동센터 종사자의 전문성 인식과 직무만족" 한국콘텐츠학회 14 (14): 257-269, 2014
8 이정미, "자폐아동의 자발적 의사소통 행동에 관한 연구" 한국정서·행동장애아교육학회 23 (23): 345-359, 2007
9 김수영, "유치원의 질적 수준에 따른 교사의 행동 및 유아의 놀이 활동 차이" 21 : 89-105, 2000
10 김하종, "유치원교사의 수업전문성 관련 변인간의 구조 분석" 전남대학교 대학원 2015
11 권남리, "유치원교사의 교수효능감과 교사-유아 상호작용과의 관계" 경남대학교 교육대학원 2015
12 이분려, "유치원 조직풍토와 직무만족 및 교사 효능감의 관계"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1998
13 백은주, "유치원 교사의 전문성 발달 수준 자기 평가 도구 개발" 한국유아교육학회 24 (24): 95-117, 2004
14 민재철, "유아체육교사의 행복감과 자아정체감이 교사효능감과 상호작용 및 직무만족에 미치는 영향" 계명대학교 대학원 2012
15 손미현, "유아교사의 전문성인식과 교사 효능감이 유아의 학습행동에 미치는 영향" 경희대학교 교육대학원 2014
16 이수련, "유아교사의 전문성 인식과 교사-유아 상호작용 관계 분석" 한국어린이미디어학회 12 (12): 221-239, 2013
17 류민영, "유아교사의 자아개념과 교사효능감이 교사-유아의 상호작용에 미치는 영향" 성신여자대학교대학원 2014
18 신장미, "유아교사의 교직 전문성 인식에 관한 조사 연구" 총신대학교 교육대학원 2008
19 심성경, "유아교사의 교수몰입도와 교사-유아 상호작용 관계분석" 한국교원교육학회 31 (31): 73-92, 2014
20 손희진, "유아교사의 교사효능감이 유아의 사회성에 미치는 영향:직무만족도와 교사-유아 상호작용 질의 순차적 매개효과" 한국아동학회 35 (35): 191-209, 2014
21 송지연, "예비 보육교사의 배경변인 및 교사전문성 인식이 교사효능감에 미치는 영향" 미래유아교육학회 18 (18): 293-321, 2011
22 노진형, "영유아교사의 전문성 인식과 직무만족 수준에 관한 연구" 한국유아교육ㆍ보육복지학회 17 (17): 73-93, 2013
23 김숙령, "영아와 교사의 집단 활동 상호작용에 있어서 영아교사의 민감성에 관한 연구" 한국영유아교원교육학회 10 (10): 125-150, 2006
24 노수래, "영아보육교사의 전문성 인식에 미치는 요인" 안양대학교 경영행정대학원 2011
25 이정애, "영아보육교사의 보육효능감과 영아 발달지식이 교사-영아 간 상호작용에 미치는 영향" 수원대학교 대학원 2013
26 이경례, "영아보육교사의 발달지식,교사효능감, 전문성 지원환경이전문성 발달 수준에 미치는 영향" 한국보육학회 13 (13): 163-182, 2013
27 정순희, "영아보육교사의 교사효능감 및 정서적 지지가 소진에 미치는 영향" 미래유아교육학회 20 (20): 193-215, 2013
28 이수현, "영아반 교사의 영아발달지식 및 보육효능감과 교사-영아 상호작용 간의 관계" 가천대학교 교육대학원 2015
29 정혜진, "영아반 교사의 민감성과 놀이교수효능감에 따른 전문성 인식" 한국가정관리학회 32 (32): 193-205, 2014
30 신희이, "영아교사의 전문성 발달에 영향을 미치는 변인에 관한 연구 : 영아교사의 민감성, 교직헌신을 중심으로" 가톨릭대학교 대학원 2011
31 김숙령, "영아-교사간 상호작용의 질적 수준과 교사의 민감성이 영아의 부모와 교사에 대한 애착과 사회적 행동에 미치는 영향" 한국영유아보육학회 (61) : 197-215, 2010
32 이인수, "어린이집 평가인증제도와 교사효능감이 교사전문성에 미치는 영향" 대구한의대학교 2013
33 조미환, "어린이집 평가인증 참여에 따른 평가인증에 대한 보육교사의 인식, 교사효능감 및 직무만족 -강원도 보육교사를 중심으로-" 한국보육학회 12 (12): 101-119, 2012
34 우연희, "보육시설 평가인증 여부가 보육교사의 교사효능감에 미치는 영향" 대구가톨릭대학교 교육대학원 2007
35 김지영, "보육교사의 전문성 발달과 효능감, 역할 수행 간의 관계" 한국아동교육학회 20 (20): 127-137, 2011
36 이은정, "보육교사의 교사효능감과 교사-영아 상호작용간의 관계" 한국자치행정학회 25 (25): 319-337, 2011
37 김미경, "보육교사의 교사효능감 및 전문성 수준이 교사-유아 상호작용에 미치는 영향" 숭실대학교교육대학원 2015
38 권미성, "보육교사의 교사효능감 및 전문성 수준이 교사-유아 상호작용에 미치는 영향" 한국보육지원학회 9 (9): 277-296, 2013
39 권미성, "보육교사의 교사효능감 및 전문성 수준이 교사-유아 상호작용에 미치는 영향" 카톨릭대학교 일반대학원 2013
40 김아영, "교사전문성 핵심요인으로서의 교사효능감" 한국교육심리학회 26 (26): 63-84, 2012
41 임성택, "교사의 학생체벌관에 대한 개인적 교사효능감과 일반적 교수효능감의 설명 효과 비교" 교육과학연구소 39 (39): 51-77, 2008
42 윤주연, "교사의 전문성 인식과 유아의 성별 및 보육기간에 따른 유아의 사회적 상호작용행동" 연세대학교 교육대학원 2013
43 이숙자, "교사·유아의 상호작용과 보육교사변인간의 관계" 한국보육학회 11 (11): 1-18, 2011
44 김시연, "교사-유아 상호작용에 영향을 미치는 유아교사의 내적변인과 외적변인들 간의 구조분석" 한국열린유아교육학회 19 (19): 23-50, 2014
45 Enochs, L. G., "Toward the development of and efficacy belief instrument for elementary for elementary teachers" 79 (79): 63-75, 1990
46 Shulman, L. S., "Those who understand : Knowledge growth in teaching" 15 (15): 4-14, 1986
47 Baron, R. M., "The Moderator-Mediator variable distinction in Social Psychological research : Conceptual, strategic, and statistical considerations" 51 : 1173-1182, 1986
48 Woolfolk, A. E., "Teacher's sense of efficacy and their beliefs about managing students" 6 (6): 137-148, 1990
49 Jain, S., "Teacher's job satisfaction and job performance" 2 (2): 1-14, 2014
50 Gibson, S., "Teacher efficacy : A construct validation" 76 : 569-582, 1984
51 Sagi A., "Shedding further light on the effects of various types and quality of early child care on infant-mother attachment relationship : The Haifa Study of Early Child Care" 73 (73): 1166-1186, 2002
52 DeMullar, E. K., "Q-sort assessment of attachment security during the preschool years : Links from home to school" 36 (36): 274-282, 2000
53 Saracho, O. N. ., "Professionalism and the preparation of early childhood education practitioners" 89 : 1-17, 1993
54 Weinfield, N. S., "Handbook of Attachment:Theory, research, and clinical application" Guilford Press 68-88, 1999
55 Buchman, M., "Education : The overcoming of experience" 92 : 30-51, 1983
56 Howes, C., "Children’s relationships with caregivers : Mothers and child care teachers" 63 : 856-866, 1992
57 Barnas, M. V., "Caregiver stability and toddlers’attachment-related behaviors towards caregivers in day care" 17 : 171-177, 1997
어머니의 양육스트레스가 영아발달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단기종단연구
예비유아교사의 교수법 선호 경향이 도덕지능과 창의적 신념체계에 미치는 영향
누리과정에 그림책을 활용한 유아사회·정서교육 프로그램 개발 및 효과
예비유아교사가 지각한 교수자의 수업몰입 정도와 학업적 자기효능감, 학습흥미 및 교직교과 학업성취 간의 관계모형 검증
학술지 이력
연월일 | 이력구분 | 이력상세 | 등재구분 |
---|---|---|---|
2022 | 평가예정 |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 |
2019-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 ![]() |
2016-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 ![]() |
2012-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 ![]() |
2011-01-01 | 평가 |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 ![]() |
2009-01-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 ![]() |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 WOS-KCI 통합IF(2년) | KCIF(2년) | KCIF(3년) |
---|---|---|---|
2016 | 1.92 | 1.92 | 2.04 |
KCIF(4년) | KCIF(5년) | 중심성지수(3년) | 즉시성지수 |
1.97 | 1.93 | 2.336 | 0.8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