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이광수의 『무정』 연구 : ‘반개(半開)’ 이념의 식민지적 형상을 중심으로 = A study on Lee, Kwang-su’s Mujeong(Heartlessness) : focusing on the colonial shape of ‘semi-civilization’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T15628183

      • 저자
      • 발행사항

        서울 : 서강대학교 대학원, 2020

      • 학위논문사항

        학위논문(석사) -- 서강대학교 대학원 , 국어국문학과 , 2020. 8

      • 발행연도

        2020

      • 작성언어

        한국어

      • DDC

        811 판사항(23)

      • 발행국(도시)

        서울

      • 형태사항

        ⅱ, 86 p. ; 26 cm

      • 일반주기명

        지도교수: 김경수
        참고문헌: p. 81-83

      • UCI식별코드

        I804:11029-000000065337

      • 소장기관
        • 국립중앙도서관 국립중앙도서관 우편복사 서비스
        • 서강대학교 도서관 소장기관정보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thesis drew the concept of 'semi-civilization' from modernity embodied by Lee Kwang-su's Mujeong(Heartlessness), and critically discussed colonial modernity of the novel. In addition, in order to explain cracks in the Enlightenment and ‘semi-ci...

      This thesis drew the concept of 'semi-civilization' from modernity embodied by Lee Kwang-su's Mujeong(Heartlessness), and critically discussed colonial modernity of the novel. In addition, in order to explain cracks in the Enlightenment and ‘semi-civilization’ of Mujeong, this thesis focused on the fact that the emotion of ‘heartlessness’ appears when ‘Hyeong-sik’ pursues modernity, unlike in Lee Kwang-su’s essays on the Enlightenment. The purpose of this analysis is to find problematic colonial modernity and its cracks in Mujeong’s narrative structure.
      Chapter Ⅰ discussed about ‘semi-civilization’ to examine colonial modernity in Mujeong. The term ‘semi-civilization’ refers to the intermediate stage between ‘barbarism’ and ‘civilization.’ This concept provided a theoretical basis to ‘civilization and modernization’ movement in Japan and Chosun while it also justified colonialism. It's because ‘semi-civilization’ is an identity that relies on pursuit of Western ‘civilization’ and otherization of East ‘barbarism.’ The concept of ‘semi-civilization’ not only justifies self-colonization by positioning itself as a state less than ‘civilization’, but also promotes otherization of ‘barbarism’ to separate itself from it.
      Chapter Ⅱ examined the narrative of ‘semi-civilization’ by analyzing the composition of the characters in Mujeong. The characters are classified into ‘Person of the Past,’ ‘Person of the Present,’ and ‘Person of the Future,’ depending on the degree of adaptation to the modernization of Chosun. This stratification is based on strong binary oppositions such as the past and the future, premodernity and modernity. Furthermore, it shows a clear orientation towards modernity by contrasting the fate each group faces. The word ‘heartlessness’ is used to indicate that people who belong to the premodern world are inevitably sacrificed in the transitional state of Chosun. Above all, ‘Hyeong-sik’ makes choice of deserting ‘Yeong-chae’ who symbolize premodernity and getting engaged to ‘Seon-hyeong’ who represent modernity so that he could become a modern individual. Similarly, ‘semi-civilization’ relies on the exclusion of ‘barbarism’ and the orientation towards ‘civilization.’ Therefore, modernity embodied in Mujeong includes the colonial unconsciousness and the colonial consciousness.
      Chapter Ⅲ explained the process of revealing the falsehood of ‘semi-civilization’ through cracks in the story. The emotion of ‘heartlessness’ ‘Hyeong-sik’ shows to ‘Yeong-chae’ is both rationalized as the expression of modern ‘emotion’ and criticized as immoral ‘heartlessness.’ The self-justification and guilty conscience of ‘Hyeong-sik’ come from the entanglement of premodern values and modern values. Even after the love triangle of ‘Hyeong-sik’, ‘Yeong-chae’ and ‘Seon-hyeong’ was solved, the entanglement of premodernity and modernity occurs because of the contradictory character the figuration of ‘semi-civilization’ has. In Chosun at the transitional state, the choice to break away from premodernity as ‘barbarism’ in pursuit of ‘civilization’ actually relies on the authority of the Confucian patriarchal system, including the sacrifice of ‘Yeong-chae’ and obedience of ‘Seon-hyeong.’ At this point, the logic of ‘semi-civilization’ to reject the past as ‘barbarism’ and cultivate the future as ‘civilization’ is revealed as falsehood. The ‘heartlessness’ of ‘Hyeong-sik’ cannot be only justified as modern ‘emotion’, also the premodern world cannot be completely removed. Accordingly, the guilty consciousness of ‘Hyeong-sik’ and the return of ‘Yeong-chae’ reveal the falsehood of ‘semi-civilization’ and instability of colonial modernity.
      Chapter Ⅳ analyzed the second half of the work in which the ‘heartlessness’ is deflected and the contradiction of ‘semi-civilization’ is concealed. ‘Byeong-uk’, as an alternative character to ‘Hyeong-sik’, seeks harmony between premodernity and modernity and prevent ‘heartlessness’ instead of taking the logic of ‘semi-civilization.’ However, this concord is jeopardized when ‘Yeong-chae’ group and ‘Hyeong-sik’ group reunite in the train. In Samrangjin, ‘Hyeong-sik’ otherizes flood victims as ‘barbarism’ in order to emphasize the necessity of the modern Enlightenment movement and strengthens the binary confrontation of premodernity and modernity. As a result, the division among the enlightened subjects including ‘Hyeong-sik’, ‘Yeong-chae’, ‘Seon-hyeong’, ‘Byeong-uk’ is eliminated and the logic of ‘semi-civilization’ is rationalized. Nonetheless, the lack of probability and ‘unnaturalness’ are the traces of concealing the contradiction of ‘semi-civilization’ and thus become another symptom for its fabrication.
      Although Mujeong is regarded as the first modern novel in the history of Korean literature, discussions on its modernity have continued to this day. It’s because Mujeong contains disparate elements that cannot be included in modernity and the Enlightenment. Rather than explaining these cracks in the work as the writer's lack of capacity or the limitation of modernity achievement, this thesis tried to explain them with contradictions inherent in the modernity itself drawn by Mujeong. Mujeong embodies colonial modernity through its character composition and narrative structure, but it exposes the instability of colonial modernity with its cracks. Therefore the significance of this study lies in the fact that it tried to find complexity in Mujeong, which neither completely explained by the Enlightenment nor colonial modernity.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본 논문은 이광수의 『무정』이 형상화하는 근대성으로부터 ‘반개(半開)’ 개념을 도출하여, 『무정』의 식민지 근대성을 비판적으로 논의하였다. 또한, 이광수의 계몽 담론에서와는 달리...

      본 논문은 이광수의 『무정』이 형상화하는 근대성으로부터 ‘반개(半開)’ 개념을 도출하여, 『무정』의 식민지 근대성을 비판적으로 논의하였다. 또한, 이광수의 계몽 담론에서와는 달리, ‘형식’이 근대성을 추구하는 과정에서 ‘무정(無情)’의 감정이 출현한다는 점에 주목하여, 『무정』의 계몽성과 ‘반개’에 내재한 균열을 해명하였다. 이를 통해 『무정』의 서사구조로부터 식민지 근대성의 문제성과 균열을 모두 찾아내고자 했다.
      Ⅰ장에서는 『무정』의 식민지 근대성을 구체적으로 논의할 수 있는 개념으로 ‘반개’를 소개하였다. ‘반개’는 ‘야만’과 ‘문명’의 중간 단계를 지칭하는 용어로, 일본과 조선의 ‘문명개화’ 운동에 이론적 근거를 제공한다. 한편 ‘반개’는 식민주의를 정당화하는 역할도 담당하는데, 이는 ‘반개’가 서양 ‘문명’에 대한 모방과 동양 ‘야만’에 대한 타자화로 유지될 수 있는 정체성이기 때문이다. ‘반개’는 ‘문명’에 도달하지 못한 상태로 자신을 위치시킴으로써 자기 식민지화를 정당화할 뿐 아니라, ‘야만’과 자신을 분리하기 위하여 ‘야만’에 대한 타자화를 조장한다.
      Ⅱ장에서는 『무정』의 인물 구성을 분석함으로써 ‘반개’ 개념의 서사화를 살펴보았다. 작중인물들은 조선의 근대화에 적응한 정도에 따라 ‘과거의 인물’, ‘현재의 인물’, ‘미래의 인물’로 구분된다. 이러한 인물의 계층화는 과거와 미래, 전근대와 근대라는 강력한 이항대립을 바탕으로 하며, 근대화 과정에서 각 인물군이 맞는 운명을 대비시켜 뚜렷한 근대지향성을 보인다. 이처럼 과도기적 조선 사회에서 전근대적 세계에 속한 인물들이 필연적으로 희생되는 현상을 나타낼 때 ‘무정’이라는 어휘가 사용된다. 대표적으로 ‘형식’은 전근대를 상징하는 ‘영채’를 외면하고, 근대를 상징하는 ‘선형’과 약혼하는 ‘무정’한 선택을 통해 근대적 개인으로 거듭난다. 그런데 이는 ‘반개’가 ‘야만’의 배제와 ‘문명’에의 지향에 의존하는 것과 유사하다. 즉 『무정』으로 형상화되는 근대지향성은 식민지적 무의식과 식민주의적 의식을 내포하고 있다.
      Ⅲ장에서는 스토리상의 균열을 통해 ‘반개’의 허위성이 드러나는 과정을 설명하였다. ‘형식’이 ‘영채’에게 보이는 ‘무정’은 근대적 ‘정’의 발현으로 합리화되기도 하고, 비도덕적인 ‘무정’으로 비판되기도 한다. 이러한 ‘형식’의 자기합리화와 죄의식은 전근대적 가치관과 근대적 가치관의 착종으로부터 비롯된다. ‘형식’, ‘영채’, ‘선형’ 사이의 삼각관계가 해결된 이후에도, 전근대와 근대의 착종이 나타나는 것은 ‘반개’의 형상화가 모순된 것이기 때문이다. 과도기에 처해 있는 조선에서 ‘문명’화를 추구하기 위해 ‘야만’으로서의 전근대와 결별하는 선택은 사실 ‘영채’의 희생과 ‘선형’의 순종 등 유교적 가부장제의 권위에 의존하고 있다. 이때 ‘야만’으로서의 과거를 배척하고 ‘문명’으로서의 미래를 일군다는 ‘반개’의 논리는 허위가 된다. ‘형식’이 보이는 ‘무정’은 근대적 ‘정’으로 합리화될 수만은 없으며, 전근대적 세계 또한 완전히 청산될 수 없다. 그러므로 ‘형식’의 죄의식과 ‘영채’의 귀환은 ‘반개’의 허위성과 식민지 근대성의 불안정성을 나타내는 요소라고 할 수 있다.
      Ⅳ장에서는 작품의 후반부에서 ‘무정’의 감정이 무마되고 ‘반개’의 모순이 은폐되는 양상을 분석하였다. ‘병욱’은 ‘형식’의 대안적 인물로서, ‘반개’의 논리를 취하는 대신 전근대와 근대의 조화를 꾀하고 ‘무정’한 감정을 방지한다. 그러나 전근대와 근대의 화합은 기차 안에서 ‘영채’ 일행과 ‘형식’ 일행이 재회하면서 위태로워지게 된다. 삼랑진에서 ‘형식’은 수재민을 ‘야만’으로 타자화하여, 근대 계몽 운동의 필요성을 강조하고 전근대와 근대의 이항대립을 강화한다. 이를 통해 ‘형식’, ‘영채’, ‘선형’, ‘병욱’ 등 계몽 주체 사이의 분열은 사라지고 ‘반개’의 논리는 정당화된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무정』의 결말에 드러나는 개연성 부족과 ‘부자연스러움’은 ‘반개’의 모순을 은폐한 흔적으로서, ‘반개’의 허위성에 대한 또 다른 징후가 된다.
      『무정』은 한국 문학사에서 최초의 근대소설이라는 평가를 받지만, 그 근대성에 대한 논의는 현재까지 끊이지 않고 계속되어 왔다. 이는 『무정』이 근대성 혹은 계몽성에 환원되지 않는 이질적인 요소들을 내포하고 있기 때문이다. 본 논문은 이러한 작품상의 균열을 작가의 역량 부족이나 근대성 성취의 한계라고 설명하기보다는, 『무정』이 그려내는 근대성 자체에 내재한 모순으로 해명하고자 했다. 『무정』은 인물 구성과 서사구조 모두 식민지 근대성을 형상화하고 있지만, 그 안의 균열을 통해 식민지 근대성의 불안정성 또한 폭로하고 있다. 따라서 본 논문의 의의는 『무정』으로부터 계몽성에도 식민지 근대성에도 환원되지 않는 복잡성을 찾았다는 점에 있다.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Ⅰ. 서론 1
      • 1. 기존 논의 검토 및 연구 목적 1
      • 2. 연구의 방법 9
      • Ⅱ. 위계적 인물 구성 17
      • 1. 근대화에 따른 계층화: 전근대와 근대의 기계적 이항대립 17
      • Ⅰ. 서론 1
      • 1. 기존 논의 검토 및 연구 목적 1
      • 2. 연구의 방법 9
      • Ⅱ. 위계적 인물 구성 17
      • 1. 근대화에 따른 계층화: 전근대와 근대의 기계적 이항대립 17
      • 2. 삼각관계를 통한 근대적 개인의 출현: '반개' 개념의 서사화 25
      • Ⅲ. 스토리 전개상의 균열 40
      • 1. '형식'의 자기합리화와 죄의식: 전근대와 근대의 착종 40
      • 2. '선형'과 '영채'의 희생: '반개' 개념의 허구성 돌출 49
      • Ⅳ. 무정의 결말이 제기하는 문제성 58
      • 1. '병욱'을 통한 '영채'의 귀환: 전근대와 근대의 잠정적 조화 58
      • 2. 삼랑진 수해와 계몽 의지의 강조: '반개' 개념의 모순 은폐 65
      • Ⅴ. 결론 78
      • 참고문헌 81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