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연구의 목적은 고등학교 태권도 선수를 대상으로 심리기술훈련(Psychological Skills Training)을 적용하여 경쟁불안과 태권도 자기효능감에 미치는 효과를 살펴보는 것이다. 고등학교 태권도 선...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https://www.riss.kr/link?id=T13996519
서울 : 한국체육대학교, 2016
학위논문(석사) -- 한국체육대학교 대학원 , 체육학과 , 2016
2016
한국어
692.8 판사항(6)
796.01 판사항(23)
서울
vi, 101장 : 도표 ; 26 cm
지도교수: 장덕선
권말부록: 연구 참여 동의서 등
참고문헌: 장 76-85
0
상세조회0
다운로드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의 목적은 고등학교 태권도 선수를 대상으로 심리기술훈련(Psychological Skills Training)을 적용하여 경쟁불안과 태권도 자기효능감에 미치는 효과를 살펴보는 것이다. 고등학교 태권도 선...
본 연구의 목적은 고등학교 태권도 선수를 대상으로 심리기술훈련(Psychological Skills Training)을 적용하여 경쟁불안과 태권도 자기효능감에 미치는 효과를 살펴보는 것이다. 고등학교 태권도 선수 16명을 대상으로 실험집단과 통제집단으로 배치하였다. PST 효과검증을 위하여 스포츠 불안 척도(SAS)와 태권도 자기효능감 질문지를 사용하였다. 심리기술훈련 프로그램은 자신감, 목표설정, 심상/이완, 합리적 인지재구성, 자화 훈련으로 구성하였다. 본 연구의 양적 분석은 사전·사후·추후 시기별로 스포츠 불안 척도와 태권도 자기효능감 질문지를 통해 반복측정 변량분석과 대응표본 t검증을 사용하였다. 질적 분석은 선수들의 사전·사후 면담을 통해 진술내용을 분석하였다. 분석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심리기술훈련 프로그램을 적용한 결과, 선수들의 경쟁불안을 감소시키는 긍정적인 효과를 보여주었다. 스포츠경쟁불안의 세가지 요인인 걱정, 집중불안, 신체불안 모두에서 실험집단이 사전·사후·추후 시기별로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으며, 반복측정 변량분석 결과 집단 간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
둘째, 심리기술훈련 프로그램을 적용한 결과, 선수들의 태권도 자기효능감이 증가하여 긍정적인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태권도 자기효능감의 하위요인인 기술과 경기운영 요인에서는 실험집단 선수들이 사전·사후·추후 시기별로 점차 증가하는 추세를 보였다. 또한 신체, 체력, 심리 요인에서는 사전·사후 시기 간에 증가하였고, 사후·추후 시기 간에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다. 그러나 사후검증 결과가 사전검증 결과보다 증가된 값을 보였으며, 반복측정 변량분석 결과 시기 간에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 따라서 심리기술훈련이 고등학교 태권도 선수의 경쟁불안 감소와 자기효능감 증가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확인하였다.
결론적으로 태권도 선수들에게 심리기술훈련을 적용하여 선수들의 불안감소과 자기효능감의 증진 효과를 검증하였다. 본 연구의 태권도 심리기술훈련 프로그램을 바탕으로 향후 다양한 심리훈련 프로그램의 개발과 적용을 통해 태권도 선수들의 심리기술 및 경기력 향상에 이바지하기를 기대해 본다.
목차 (Table of Conten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