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漢代 四言詩 初探 = A Basic Study on four-word poem of the Han Dynasty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4879694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四言诗是中国最古老的一种文学样式。通过对汉诗四言诗中≪先秦汉魏晋南北朝诗≫的调查,我们发现其数量方面在汉代诗歌中占有明显的优势。以≪古诗源≫汉诗中的四言诗为调查对象,根据其内容分类如下:宗庙祭祀,述志,讽以及人品, 赞颂才德等4种,如此具有数量优势及丰富内容的四言诗,从发达的最高峰中逐渐走向衰落。其理由主要归结为四字具有四个音节,四言诗中以“2-2”式为节奏单位的自身句式。首先,在以儒教作为国教的汉代,其四言诗不仅在继承≪诗经≫中的四言诗的基础上,强化了“雅言”的观念,而且已经不能满足人们通过诗来表达内心丰富感情的要求。其次,“2-2”式的语言构造,在用“之”承接宾语或者不能使用多样化的谓语动词进行构词等方面,与五言七言诗相比描写上受到了极大地限制。然而,汉代的四言诗通过对≪诗经≫的继承,可以说为五言七言诗的发展打下了坚实的基础。
      번역하기

      四言诗是中国最古老的一种文学样式。通过对汉诗四言诗中≪先秦汉魏晋南北朝诗≫的调查,我们发现其数量方面在汉代诗歌中占有明显的优势。以≪古诗源≫汉诗中的四言诗为调查对象,...

      四言诗是中国最古老的一种文学样式。通过对汉诗四言诗中≪先秦汉魏晋南北朝诗≫的调查,我们发现其数量方面在汉代诗歌中占有明显的优势。以≪古诗源≫汉诗中的四言诗为调查对象,根据其内容分类如下:宗庙祭祀,述志,讽以及人品, 赞颂才德等4种,如此具有数量优势及丰富内容的四言诗,从发达的最高峰中逐渐走向衰落。其理由主要归结为四字具有四个音节,四言诗中以“2-2”式为节奏单位的自身句式。首先,在以儒教作为国教的汉代,其四言诗不仅在继承≪诗经≫中的四言诗的基础上,强化了“雅言”的观念,而且已经不能满足人们通过诗来表达内心丰富感情的要求。其次,“2-2”式的语言构造,在用“之”承接宾语或者不能使用多样化的谓语动词进行构词等方面,与五言七言诗相比描写上受到了极大地限制。然而,汉代的四言诗通过对≪诗经≫的继承,可以说为五言七言诗的发展打下了坚实的基础。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葛曉音, "한위진남북조시가" 역락 2012

      2 吳戰壘, "중국시학의 이해" 태학사 2003

      3 陸費達總勘, "漢書" 中華書局

      4 陸費達總勘, "後漢書" 中華書局

      5 赵敏俐, "四言诗與五言诗的句法结构與语言功能比较研究" 03 : 1996

      6 陸費達總勘, "史記" 中華書局

      7 馮保善, "古詩源" 三民書局 2006

      8 崔宇錫, "古代 四言詩와 唐代 律詩 속의 '雅正'審美觀" 중국어문연구회 (26) : 139-167, 2004

      9 逯欽立, "先秦漢魏晉南北朝詩" 中華書局 1993

      10 刘文斌, "二言诗的成因及意义" 05 : 2009

      1 葛曉音, "한위진남북조시가" 역락 2012

      2 吳戰壘, "중국시학의 이해" 태학사 2003

      3 陸費達總勘, "漢書" 中華書局

      4 陸費達總勘, "後漢書" 中華書局

      5 赵敏俐, "四言诗與五言诗的句法结构與语言功能比较研究" 03 : 1996

      6 陸費達總勘, "史記" 中華書局

      7 馮保善, "古詩源" 三民書局 2006

      8 崔宇錫, "古代 四言詩와 唐代 律詩 속의 '雅正'審美觀" 중국어문연구회 (26) : 139-167, 2004

      9 逯欽立, "先秦漢魏晉南北朝詩" 中華書局 1993

      10 刘文斌, "二言诗的成因及意义" 05 : 2009

      11 王力, "中國詩律學1" 소명 2005

      12 吳賢哲, "≪詩經≫四言體詩歌創作在漢代的賡續和轉化" 2004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4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KCI등재
      2020-12-01 평가 등재후보로 하락 (재인증) KCI등재후보
      201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3-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3-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13 0.13 0.18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18 0.18 0.368 0.04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