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19-20세기 병풍차(屛風次)의 제작과 유통 = From Works of High Art to Consumption Goods: The Production and Circulation of Folding Screens in Nineteenth to Early Twentieth-Century Korea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5432448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paper aims to explore how painters attempted to meet the increasing demand of folding screens from the nineteenth to early twentieth century. Painters in the late Joseon period developed new strategies in the production and circulation of folding...

      This paper aims to explore how painters attempted to meet the increasing demand of folding screens from the nineteenth to early twentieth century. Painters in the late Joseon period developed new strategies in the production and circulation of folding screens for the growing demand. When it comes to the production, the discussion is focused on three types of preparatory drawings (Ko. chobon) which served as models and samples: The first type was the complete preparatory drawing. It was mainly used for hinge-connected panel screens which required complicated designs such as “Ten Symbols of Longevity,” “Tribute Mission at the Chinese Court,” “General Guo Ziyi’s Banquet,” and “the Banquet at the Abode of Xiwangmu, the Queen Mother of the West.” In Joseon society, since court painters produced their works not only for their official duties but also for their commercial profits, they shared the same model drawings for both court and commercial uses. In this case, the sketch itself would be the same even though final products’ quality or the level of workmanship shows discrepancies depending on the costs. The second type was the partial preparatory drawing. It was mostly applied to complex motifs and could be used in association with other drawings for diverse visual effects. Chaekgeori painting was the best example to demonstrate how a certain group of painters from a lineage or workshop monopolized a certain genre of paintings by making use of the preparatory drawings. The third was a combination of complete and partial drawings. This combination made it easy for painters to create isolated panel screens. If customers chose particular subjects among sample panels for their preference, painters could assemble them into one set of screens by using these combination drawings.
      As for the marketing channels, modern inventions such as public transportation, postal service, and offset printing press expedited the circulation of folding screens. Thanks to these inventions, folding screens came to be circulated not only by art galleries located near Gwangtonggyo but also by bookstores, wedding utensil stores, and furniture shops all around Seoul. The variety of the price of the final products also provided people easy access to folding screens depending on their budgets. Some painters used the mail service to deliver their work to remote customers and received its payment via the postal money-order service. These new environment of transaction brought enormous changes to the status of folding screens, which were no longer works of high art relished only by the upper classes, but items of customer goods for ordinary people.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강명관, "한양가" 신구문화사 2008

      2 국립문화재연구소, "한국역대서화가사전" 국립문화재연구소 2011

      3 박근아, "한국 근대기 인쇄 병풍화와 민화 연구 : 동물·화조화를 중심으로"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2010

      4 이성혜, "한국 근대 서화의 생산과 유통" 해피북미디어 2014

      5 김홍남, "한국 <郭汾陽行樂圖> 연구" 한국미술연구소 (34) : 67-104, 2012

      6 정병모, "책거리 특별전: 조선선비의 서재에서 현대인의 서재로" 경기도박물관 172-189, 2012

      7 강관식, "조선후기 궁중화원 연구" 돌베개 2001

      8 권지은, "조선후기 佛畵草本의 종류와 의미에 관한 연구" 동서미술문화학회 9 (9): 1-24, 2016

      9 박정혜, "조선후기 <王會圖> 屛風의 제작과 의미" 한국미술사학회 277 (277): 105-132, 2013

      10 이훈상, "조선왕조 사회의 성취와 귀속" 일조각 477-487, 2007

      1 강명관, "한양가" 신구문화사 2008

      2 국립문화재연구소, "한국역대서화가사전" 국립문화재연구소 2011

      3 박근아, "한국 근대기 인쇄 병풍화와 민화 연구 : 동물·화조화를 중심으로"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2010

      4 이성혜, "한국 근대 서화의 생산과 유통" 해피북미디어 2014

      5 김홍남, "한국 <郭汾陽行樂圖> 연구" 한국미술연구소 (34) : 67-104, 2012

      6 정병모, "책거리 특별전: 조선선비의 서재에서 현대인의 서재로" 경기도박물관 172-189, 2012

      7 강관식, "조선후기 궁중화원 연구" 돌베개 2001

      8 권지은, "조선후기 佛畵草本의 종류와 의미에 관한 연구" 동서미술문화학회 9 (9): 1-24, 2016

      9 박정혜, "조선후기 <王會圖> 屛風의 제작과 의미" 한국미술사학회 277 (277): 105-132, 2013

      10 이훈상, "조선왕조 사회의 성취와 귀속" 일조각 477-487, 2007

      11 국립고궁박물관, "조선왕릉, 왕실의 영혼을 담다"

      12 국립중앙박물관, "조선시대 초상화 초본" 열린박물관 2007

      13 장진성, "조선시대 도화서 화원의 경제적 여건과 사적활동" 삼성미술관 Leeum 296-307, 2011

      14 김수진, "조선 후기 병풍 연구" 서울대학교 2017

      15 홍선표, "조선 회화" 한국미술연구소 410-425, 2014

      16 박정혜, "조선 궁궐의 그림" 돌베개 12-182, 2012

      17 방병선, "이형록의 책가문방도 팔곡병에 나타난 중국도자" 한국불교미술사학회 (28) : 209-238, 2007

      18 유재건, "이향견문록" 문학동네 2008

      19 이옥, "이옥전집 3" 소명출판 2001

      20 이성혜, "서화가 金圭鎭의 작품 활동과 수입" 동방한문학회 (41) : 203-232, 2009

      21 이민희, "백두용과 한남서림 연구" 역락 2013

      22 김윤정, "민화와 장식병풍" 국립민속박물관 348-361, 2005

      23 정병모, "민화 : 가장 대중적인 그리고 한국적인" 돌베개 2012

      24 국립중앙박물관, "미술 속 도시, 도시 속 미술" 그라픽네트 2016

      25 Ercums, Kris Imants, "미국소재 <곽분양행락도> 보존처리 특별공개" 국립고궁박물관 51-99, 2016

      26 국립문화재연구소, "미국 보스턴미술관 소장 한국문화재" 국립문화재연구소 2004

      27 윤열수, "문자도를 통해 본 민화의 지역적 특성과 작가 연구" 동국대학교 대학원 2007

      28 임창순, "두당척소" 3 : 167-176, 1990

      29 이원복, "근대한국미술논총" 학고재 103-126, 1992

      30 양선하, "근대기 서화합작품 연구" 한국미술연구소 (29) : 273-296, 2009

      31 고려대학교 박물관, "근대 서화의 요람, 耕墨堂: 石丁 安鍾元家 기증 기념전" 고려대학교 박물관 2009

      32 강민기, "근대 서화의 요람, 耕墨堂: 石丁 安鍾元家 기증 기념전" 고려대학교 박물관 146-155, 2009

      33 김예진, "근대 서화의 요람, 耕墨堂: 石丁 安鍾元家 기증 기념전" 고려대학교 박물관 10-15, 2009

      34 오세창, "국역 근역서화징(하)" 시공사 1998

      35 민길홍, "국립중앙박물관 소장 이형록 필 책가도 : 덕수4832 <책가도>를 중심으로" 16 : 72-88, 2015

      36 김취정, "광통교서화사" 서울역사박물관 204-215, 2016

      37 김취정, "개화기 화단의 신경향과 잡화병" 한국미술연구소 (27) : 253-287, 2008

      38 김취정, "개화기 서울의 문화 유통 공간- 광통교 일대의 서화(書畵)·도서(圖書) 유통을 중심으로-" 서울학연구소 (53) : 43-93, 2013

      39 김취정, "韓國 近代期의 畵壇과 書畵 需要 硏究" 고려대학교 대학원 2014

      40 김취정, "開化期 서울畵壇의 後援과 繪畵 活動 硏究" 한국미술사학회 263 (263): 139-173, 2009

      41 김소연, "金圭鎭의 『海岡日記』" 16 : 385-428, 2003

      42 유재빈, "正祖代 宮中繪畫 연구" 서울대학교 2016

      43 윤선우, "朝鮮後期 佛畵 草本 硏究" 동악미술사학회 (12) : 169-199, 2011

      44 寶晉齋七十年史編纂委員會, "寶晋齋七十年史: 1912-1982" 寶晋齋 1982

      45 Hough, Walter, "The Bernadou, Allen, And Jouy Corean Collections In The U.S. National Museum" GPO 1893

      46 Lippit, Yukio, "Painting of the Realm: the Kano House of Painters in Seventeenth-Century Japan" University of Washington Press 2012

      47 Black, Kay E., "Ch’aekkŏri Paintings: A Korean Jigsaw Puzzle" 46 : 63-75, 1993

      48 Kim, Sunglim, "Chaekgeori: Multi-Dimensional Messages in Late Joseon Korea" 64 : 3-32, 2014

      49 Houchins, Chang-su Cho, "An Ethnography of the Hermit Kingdom-The J. B Bernadou Korean Collection(1884-1885)" Asian Cultural History Program, Smithsonian Institution 2004

      50 이성혜, "20세기 초, 한국 서화의 매매와 유통 양상 -신문 광고와 기사를 통해 봄-" 한국한문학회 (44) : 441-489, 2009

      51 박근아, "20세기 인쇄 병풍화의 유행과 民畵에의 영향 : 翎毛·花鳥畵를 중심으로" 한국미술연구소 (42) : 83-106, 2016

      52 최경현, "19세기 洪世燮의 翎毛畵에 대한 새로운 해석: 일주학술문화재단 소장품을 중심으로" 미술사연구회 (26) : 193-214, 2012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7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7-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5-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37 0.37 0.47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46 0.45 0.903 0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