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초등학생의 비만 유ㆍ무에 따른 주중과 주말 신체활동량 평가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1390090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이 연구는 초등학교 고학년을 대상으로 동작가속도계를 이용하여 비만아동과 정상체중아동의 신체활동량 및 신 체활동 강도를 측정, 비교 분석하고 신체활동량과 아동비만과의 관계를 알...

      이 연구는 초등학교 고학년을 대상으로 동작가속도계를 이용하여 비만아동과 정상체중아동의 신체활동량 및 신 체활동 강도를 측정, 비교 분석하고 신체활동량과 아동비만과의 관계를 알아보는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하여 강 원도에 위치한 A초등학교 고학년 59명을 대상으로 동작가속도계를 이용하여 4일 동안(목, 금, 토, 일) 평상시 신 체활동량을 측정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 18.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주중과 주말에 따른 비만아동과 정상체중 아동의 신체활동량 차이 및 상관관계를 파악하기 위해 t-test와 양류상관분석을 실시하였으며,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첫째, 성별에 따른 신체활동량은 남학생이 여학생보다 신체활동량(스텝수, 칼로리, 카운트)이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신체활동 강도의 경우, 남학생은 중강도 활동이 많고, 여학생은 저강도 활동이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주중, 주말의 비교에서는 주중이 주말에 비해 신체활동량(스텝수, 칼로리, 카운트)이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신체 활동 강도는 주중이 중강도 활동이 많고, 주말에는 저강도 활동이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비만아동과 정상 체중아동에 따른 신체활동량은 정상체중아동이 비만아동에 비해 신체활동량(스텝수, 카운트)이 많은 것으로 나타 났다. 신체활동 강도에서는 비만아동은 저강도 활동이 많았으며 정상체중아동은 중강도 활동이 많았다. 주중, 주 말의 비교에서는 비만아동과 정상체중아동 모두 주중에 신체활동량(스텝수, 칼로리, 카운트)이 많은 것으로 나타 났다. 신체활동 강도에서는 비만아동과 정상체중아동 모두 주중에는 중강도 활동이, 주말에는 저강도 활동이 많 았다. 결론적으로 초등학생의 신체활동량은 성별과 비만유무에 따라 주중과 주말에 차이가 있다. 여학생보다는 남학생의 신체활동량이 높으며, 주말보다는 주중의 신체활동량이 많다. 특히 남녀 모두 주중 신체활동량과 비만 의 관계가 높은 것으로 확인되었다. 따라서 아동들이 학교생활을 하는 평상시 활동 프로그램 개발 및 여학생 및 비만 아동들을 위한 다양한 후속 연구들이 필요할 것으로 사료된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measured physical activity and intensity of physical activity for mormal weight and obesity elementary 5th and 6th graders with accelerometer, determine the relationship between physical activity and obesity. In order to achi...

      The purpose of this study measured physical activity and intensity of physical activity for mormal weight and obesity elementary 5th and 6th graders with accelerometer, determine the relationship between physical activity and obesity. In order to achieve the purpose of this study, 59 elementary school students living in Gangwondo was a population sampled. This study classified and evaluated the record of accelerometer for 4 days(weekday and weekend). The results is as follows. At first, physical activity of male students was more than female students. Male students did moderate intensity activity mainly but female students did low intensity activity mainly. Comparative study on physical activity by weekdays and weekend, physical activity on weekdays was more than weekend. Secondly, physical activity of normal weight students was more than obese students. In intensity of physical activity, obese students did low intensity activity mainly and normal weight students did moderate intensity activity mainly. Comparative study on physical activity by weekdays and weekend, physical activity of both students on weekdays was more than weekend. In conclusion, there were differences among the amount of physical activity of elementary students on weekdays and weekend depending on gender and weight(normal and obesity). So various studies and programs will have to be developed for enhancement of physical activity of obese students.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국문초록
      • Ⅰ. 서론
      • Ⅱ. 연구방법
      • 1. 연구대상
      • 2. 측정도구
      • 국문초록
      • Ⅰ. 서론
      • Ⅱ. 연구방법
      • 1. 연구대상
      • 2. 측정도구
      • 3. 측정방법
      • 4. 자료처리방법
      • Ⅲ. 연구결과
      • 1. 신체활동량 비교
      • 2. 신체활동 강도 비교
      • 3. 비만 유ㆍ무와 신체활동량의 관계
      • Ⅳ. 논의 및 결론
      • 참고문헌
      • ABSTRACTS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이보람, "통통한 자녀, 자칫하면 뚱뚱이 된다" 경향신문

      2 정원엽, "초등학생의 신체활동 배경과 체력 수준" 서울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2001

      3 오정식, "초등학생의 신체적·환경적 특성과 일상생활 시간대별 신체활동량의 관계" 순천향대학교 대학원 2007

      4 추정범, "초등학생의 신체상태와 신체활동의 관계" 한국체육대학교 교육대학원 2004

      5 김혜진, "초등학생의 비만수준별 가속도계를 이용한 신체활동 평가" 한국체육대학교 교육대학원 2006

      6 배문엽, "초등학생 일상생활의 신체 활동량 연구" 인천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 2000

      7 이성민, "초등학교 정상아와 비만아의 건강관련체력과 신체활동량의 비교분석" 한국체육학회 44 (44): 1185-1193, 2005

      8 김혜진, "중학생의 활동장소에 따른 신체활동 유형과 에너지소비량 평가" 한국체육대학교 대학원 2005

      9 이상건, "중학교 중학생의 24시간 에너지소비량에관한 연구" 강원대학교 대학원 1997

      10 김세은, "중학교 비만 학생들에 대한 신체활동량 평가" 한국체육대학교 대학원 2008

      11 이기철, "중고등학교 체육수업이 학생의 체력향상에 미치는 요인분석" 2000

      12 최성용, "일상생활에서의 신체활동량이 초등학생의 체력에 미치는 영향" 서울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 2005

      13 보건복지부, "우리나라 국민의 건강결정요인 분석" 2006

      14 백의진, "여중생의 비만도와 일반환경 요인 및 열량대사에 관한 조사 연구"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1993

      15 강지훈, "비만아동의 신체활동량과 심리적 변인의 관계" 한국체육대학교 대학원 2009

      16 전혜자, "보행계수기를 이용한 초등학생의 일상생활 시간대별 신체활동량의 관계" 한국여성체육학회 21 (21): 39-50, 2007

      17 이주형, "고등학생의 신체활동량에 따른 에너지소비량과 에너지섭취에 관한연구" 26 : 69-78, 2008

      18 李红娟, "北京某初中1~2年级学生在校身体活动水平定量 评估" 卫生研究 2013

      19 李海燕, "上海市青少年日常体力活动测量方法的研究与应用" 上海体育学院 2010

      20 O’Mally. P. M., "School Physical Actiwity Environment Related to Student Obsity and Students" 45 : S71-S81, 2009

      21 Welk, G. J., "Physical activity assessment for health-related research" Human Kinetics 125-141, 2002

      22 Andersen, L. B., "Physical activity and clustered car-diovascular risk in children : a cross-sectional stuty(EYHS)" 27 (27): 2141-2148, 2006

      23 Kelishadi. R., "Obesity and associated modifiable environmental factor in Iranian iadolwscents : Isfahan healthy heart program-hear health promotion from childhood" 45 : 435-442, 2003

      24 Montoye, H. J., "Measuring Physical Activity and Energy Expenditure" Human Kinetics 3-14, 1996

      25 Brage, S., "Features of the metabolic syndrome are associared with objectively measured physical activity and fithness in Danish children : the European Youth Hear Study(ETHS)" 27 (27): 2141-2148, 2004

      26 Dietz, W. H., "Do We Fatten Our Children at the Television Viewing in Children and Adolescents" 40 : 1123-1133, 1986

      27 U. S. Deparment of Health & Human Services, "2008 Physical Activity Guidelines for Americans"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7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KCI등재
      2017-12-01 평가 등재후보로 하락 (계속평가) KCI등재후보
      2013-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1-04-27 학술지명변경 외국어명 : The Korean Joural of Elementary Physical Education -> The Korean Journal of Elementary Physical Education KCI등재
      2011-04-26 학술지명변경 외국어명 : The Korean Joural of the Elementary Physical Education -> The Korean Joural of Elementary Physical Education KCI등재
      2011-03-28 학회명변경 영문명 : The Korean society of the Elementary Physical Education -> The Korean Society of Elementary Physical Education KCI등재
      201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9-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7-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1.67 1.67 1.58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1.5 1.37 1.644 0.46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