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후보

      건설 현장 스마트 안전 장비 도입에 따른 실효성 제고 방안 연구 = A Study on Efficiency Improvement by Introduction of Smart Safety Equipment in Construction Sites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7973950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최근 국내 건설산업은 정부정책으로 인해 변화를 요구받고 있으며, 제조업 등에 비해 2배 이상 사망재해가 발생하는 등 안전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필요성이 제기된다. 변화에 대응하기 위...

      최근 국내 건설산업은 정부정책으로 인해 변화를 요구받고 있으며, 제조업 등에 비해 2배 이상 사망재해가 발생하는 등 안전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필요성이 제기된다. 변화에 대응하기 위해서는 건설기술의 혁신이 필요한 상황이다. 현재 국내 건설 현장은 4차 산업 현명을 맞이하여 BIM, 드론, ICT 기반 현장관리 기술 등 스마트 건설기술이 일부 도입되어 활용되거나 시범적으로 적용되고 있으며, 일부 스마트 기술들은 아직 연구개발 중으로 전면 활용이 어렵지만, 학계, 발주처 및 건설업체 등에서는 활용방안을 모색하는 등 현장 적용성에 관해 연구를 진행 중이다. 2020년부터 건설사 및 공공기관은 IoT, 센서, 웨어러블 등의 스마트 안전 장비 도입을 본격화하고 있지만, 국내 건설 현장은 전반적으로 스마트 안전관리 체계 구축이 시급하며, 따라서 「스마트 건설안전 시스템」모델 개발을 통해 효율적인 안전관리 시스템 구축이 필요하다. 본 연구에서는 건설 현장의 스마트 안전 장비 도입에 따른 실효성 제고 방안으로 공공부문 300억 이상의 건설 현장 스마트 안전 장비 적용실태 사례조사와 건설 현장 전문가 설문 분석을 통하여 방안을 도출하였으며, AHP 분석법으로 상대 비교를 통한 우선순위를 선정하는 등 결과를 얻을 수 있었다. 연구의 결과로는 건설 현장 스마트 안전 장비 종류를 계층화하고, 공공기관 발주 공사금액 300억이상 10개 현장에 대해 스마트 안전 장비 적용사례, 스마트 안전 장비 비용 적용사례를 1차로 조사한 결과를 바탕으로 건설 현장 전문가들의 설문 분석을 AHP 분석을 통해 어느 정도 신뢰성이 확보되는 것으로 평가하며, 실효성이 높은 스마트 안전 장비를 도출하여 제시함으로써 건설 현장의 스마트 안전 장비 선정에 활용할 수 있으리라 판단된다. 또한, AHP 분석에서도 도출됐듯이 관제 시스템을 통하여 사고당사자인 근로자의 위험 요소를 상시모니터링하여 사고위험 요소를 사전에 제거해야만 사고는 예방될 수 있다고 판단된다. 현장 조사 결과와 설문 분석 결과로 볼 때 건설 현장 스마트 안전 장비 비용에 대한 계상 주체와 계상금액 설계가 표준화되지 못한 부분은 정부에서 기준을 통계방식으로 요율을 표준화하여 발주자가 일괄 적용하고 시공사가 운영하여 효과를 높이는 것이 사고 예방에 실질적으로 도움이 될 것으로 판단된다. 본 연구를 활용하여 건설 현장의 스마트 안전 장비의 실효성 제고 적용을 통한 안전 활동 수준 향상으로 이어지기를 기대한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Recently, the domestic construction industry is being asked to change due to government policies, and there is a need to solve safety issues, such as the occurrence of fatal accidents twice as many as in the manufacturing industry. In order to respond...

      Recently, the domestic construction industry is being asked to change due to government policies, and there is a need to solve safety issues, such as the occurrence of fatal accidents twice as many as in the manufacturing industry. In order to respond to change, innovation in construction technology is required. Currently, domestic construction sites are entering the 4th industrial era, and some smart construction technologies such as BIM, drone, and ICT-based site management technologies have been introduced and used or applied on a trial basis. , academia, ordering companies, and construction companies are researching and developing methods for application and field applicability. From 2020, construction and public institutions in District 1 have secured safety and safety such as IoT, sensors, etc., and in domestic construction, the current smart safety system is not broken. Service maintains this system. In this study, as a way to improve the effectiveness of the introduction of smart safety equipment in the construction site, a plan was derived through a case study of the application of smart safety equipment in the public sector with more than 30 billion won and a survey analysis by construction site experts. I was able to get results, such as selecting priorities. As a result of the study, the types of smart safety equipment at construction sites were stratified, and based on the results of the first investigation of smart safety equipment application cases and smart safety equipment cost application cases for 10 sites with a construction cost of 30 billion or more ordered by public institutions, the construction site It is evaluated that reliability is secured to some extent through the AHP analysis of the expert questionnaire analysis, and it is judged that it will be possible to use it in the selection of smart safety equipment at the construction site by deriving and presenting smart safety equipment with high effectiveness. In addition, as derived from the AHP analysis, it is judged that accidents can be prevented only when the risk factors of the workers who are the parties to the accident are constantly monitored through the control system and the accident risk factors are removed in advance. Judging from the results of the on-site survey and survey analysis, the government standardizes the rate in a statistical method for the part where the design of the accounting entity and the amount of compensation for the cost of smart safety equipment at the construction site is not standardized, and the clients apply the standard and the construction company manages the operation. Therefore, it is judged that increasing the effectiveness will actually help prevent accidents. Using this study, it is expected that it will lead to the improvement of the safety activity level through the application to enhance the effectiveness of smart safety equipment at the construction site.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Ⅰ. 서론 Ⅱ. 건설 현장 스마트 안전 장비 도입 배경 및 동향 Ⅲ. 건설 현장 스마트 안전 장비의 적용 실태 조사 Ⅳ. 설문 분석 Ⅴ. 결론 및 제언
      • Ⅰ. 서론 Ⅱ. 건설 현장 스마트 안전 장비 도입 배경 및 동향 Ⅲ. 건설 현장 스마트 안전 장비의 적용 실태 조사 Ⅳ. 설문 분석 Ⅴ. 결론 및 제언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KDI경제정보센터, "지금은 4차 산업혁명 시대" 나라경제 2018

      2 이명구, "재해분석을 이용한 교량공사 공종별 위험지수 평가" 한국안전학회 23 (23): 144-149, 2008

      3 강인모, "자동 스마트 계측을 통한 굴착공사 안전관리시스템" 한양대학교 대학원 2021

      4 박경수, "스마트건설기술의 적용을 위한 건설안전 제도개선 연구" 3 (3): 09-17, 2020

      5 임형은, "스마트 웨어러블을 활용한 소규모건축공사 안전관리용 애플리케이션개발방안" 한국교통대학교 2020

      6 김성은, "스마트 안전 기술 도입이 건축공사 위치별 떨어짐 사망재해 저감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경기대학교 대학원 2021

      7 민경석, "스마트 기술을 활용한 건설현장 안전사고 방지에 대한 연구" 사단법인 안전문화포럼 (11) : 97-114, 2021

      8 김경백, "스마트 건설기술 현황 및 활성화 방안에 관한 연구" 동국대학교 대학원 2019

      9 추연수, "밀폐공간 안전사고 저감을 위한 스마트안전관리기술 활용에 관한 연구" 경희대학교 대학원 2020

      10 김제상, "국내 산업현장에 맞는 스마트 안전문화 구축에 관한 연구" 순천향대학교 대학원 2018

      1 KDI경제정보센터, "지금은 4차 산업혁명 시대" 나라경제 2018

      2 이명구, "재해분석을 이용한 교량공사 공종별 위험지수 평가" 한국안전학회 23 (23): 144-149, 2008

      3 강인모, "자동 스마트 계측을 통한 굴착공사 안전관리시스템" 한양대학교 대학원 2021

      4 박경수, "스마트건설기술의 적용을 위한 건설안전 제도개선 연구" 3 (3): 09-17, 2020

      5 임형은, "스마트 웨어러블을 활용한 소규모건축공사 안전관리용 애플리케이션개발방안" 한국교통대학교 2020

      6 김성은, "스마트 안전 기술 도입이 건축공사 위치별 떨어짐 사망재해 저감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경기대학교 대학원 2021

      7 민경석, "스마트 기술을 활용한 건설현장 안전사고 방지에 대한 연구" 사단법인 안전문화포럼 (11) : 97-114, 2021

      8 김경백, "스마트 건설기술 현황 및 활성화 방안에 관한 연구" 동국대학교 대학원 2019

      9 추연수, "밀폐공간 안전사고 저감을 위한 스마트안전관리기술 활용에 관한 연구" 경희대학교 대학원 2020

      10 김제상, "국내 산업현장에 맞는 스마트 안전문화 구축에 관한 연구" 순천향대학교 대학원 2018

      11 이종식, "건설현장의 안전문화 성숙도 평가에 관한 연구" 사단법인 안전문화포럼 (12) : 33-46, 2021

      12 국토교통부, "건설현장 추락사고 방지 종합대책"

      13 신동기, "건설업 안전보건경영시스템의 도입효과와 실태분석" 사단법인 안전문화포럼 (11) : 29-38, 2021

      14 국토교통부, "건설기술진흥법 하위법령 개정 “스마트안전장비 도입”"

      15 류성렬, "건설공사의 IoT 기술을 활용한 스마트 안전관리시스템 최적화에 대한 연구" 경기대학교대학원 2018

      16 김광배, "건설 현장에서의 IoT 기반 스마트 안전관리시스템에 관한 연구" 숭실대학교 대학원 2019

      17 LH스마트도시개발처, "LH 스마트시티 추진현황"

      18 김승호, "IoT 기반의 대기환경 모니터링 및 건설 현장 안전관리 시스템 개발" 창원대학교 대학원 2018

      19 이명구, "AHP기법을 이용한 교량공사 위험지수 평가" 한국안전학회 24 (24): 119-123, 2009

      20 정충호, "3차원 데이터의 스마트건설 적용연구 : 토공사를 중심으로" 서울시립대학교 대학원 2020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2 평가예정 계속평가 신청대상 (계속평가)
      2020-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