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운동장에 존재하는‘유리천장’ : 중등 기간제 여자체육교사의 진입장벽과 적응전략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T16688474

      • 저자
      • 발행사항

        부산: 신라대학교 교육대학원, 2023

      • 학위논문사항

        학위논문(석사) -- 신라대학교 교육대학원 , 체육교육전공 , 2023. 2

      • 발행연도

        2023

      • 작성언어

        한국어

      • 주제어
      • KDC

        337.2 판사항(6)

      • 발행국(도시)

        부산

      • 기타서명

        The 'Glass Ceiling’that Exists in the Playground : barriers to entry and adaptation strategies for fixed-term female physical education teachers in middle

      • 형태사항

        iv,70장.: 도표; 26 cm

      • 일반주기명

        지도교수: 김인형
        국문, 영문초록 수록
        참고문헌 수록

      • UCI식별코드

        I804:21020-200000675765

      • 소장기관
        • 신라대학교 도서관 소장기관정보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는 중등 기간제 여자체육교사로의 진입 어려움과 교직 생활을 하면서 겪는 갈등을 이해하고, 그 속에서 기간제 여자체육교사로서 받는 대우를 극복해내는 본인만의 적응 및 대처방법을 알게 되며, 향후 중등 기간제 여자체육교사를 채용하는 과정에 정책적인 기초자료 마련과 처우개선에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눈덩이표집법을 사용하여 부, 울, 경 지역에서 현재 중등학교 기간제 체육교사로 종사하고 있는 여교사 5명을 선정하였다. 연구를 위해 심층 면담과 기사, 뉴스를 중심으로 자료를 수집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전사작업을 통해 텍스트화 하였고, 공통된 의미를 범주화하여 개념 분석과정을 통해 다음과 같은 결론을 도출하였다.
      첫째, 중등 기간제 여자체육교사의 진입의 어려움은 ‘체육교과목에 대한 젠더 편견’, ‘짜여진 각본의 엑스트라’, ‘체육교사 = 안전생활부로’의 카테고리로 분류되었다. 체육 과목은 오랫동안 남성들에게 적합하다고 여겨져 왔다. 이러한 선입견은 아직도 교직 문화에 많이 자리 잡고 있으며, 이에 따라 체육과목에 대한 젠더적 편견이 발생하여 기간제 여자체육교사로의 진입장벽이 존재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특히 기간제 체육교사 채용 면접에서 이미 남교사를 채용할 계획이 있는 학교도 허다하였고, 서류전형에 통과한 여성들은 자릿수를 채우는 엑스트라의 역할을 해야 했다. 더해서 학교의 안전생활부는 체육교사의 주된 업무이기 때문에 학생을 통제하기에 여성들은 힘이 부족하다는 이유로 뽑지 않아 기간제 체육교사 진입에 어려움을 겪고 있다.
      둘째, 중등 기간제 여자체육교사의 교직 생활의 적응 어려움은 크게 ‘꼬리표 : “여자라서”’, ‘불공정한 업무 분장’, ‘불안정한 신분’, ‘불공정한 성과보상’으로 나타났다. 기간제 여자체육교사는 여자라는 이유로 남자체육교사, 관리자 등에게 부당한 대우를 받으며 소외감을 느끼기도 하였다. 또한 업무분장을 할 때면, 기존 정규교원의 업무의 분담이 완료된 후, 기간제 교원에게 남은 업무를 주기 때문에 기간제 여자체육교사에게 업무가 과중되는 불공정한 사례도 있었다. 그러나 불안정한 신분의 이유로 부당함을 표출하지 못하고 매년 12월이 되면 재계약의 두려움으로 인해 계약직의 어려움을 겪어야했다. 더해서 기간제 여자체육교사의 매 분기마다 받는 성과급여는 정규교원과의 차이가 분명하게 나타났다. 이는 제도적인 측면에서의 불공정한 문제점이 된다. 그뿐만 아니라 성과를 내기 위해 기간제교원에게 더 많은 일을 주지만, 결국 성과의 보상과 공로는 정규교원이 가져가는 사례도 나타났다.
      셋째, 중등 기간제 여자체육교사의 적응전략은 ‘적극적으로 대처하기’, ‘전문성 함양을 위한 노력’, ‘정규교원으로의 갈망’으로 분석되었다. 기간제 여자체육교사는 부당한 교직생활 가운데에서 본인이 교사임을 잊지 않고 다른 정규교원들과 동화되는 모습을 보이거나 변화된 제도를 잘 활용하여 기간제교원으로서 할 수 있는 최대한의 지위로 올라가기도 하는 적극적인 적응전략을 보였다. 또한 이들은 끝없이 수업에 대해 연구하고, 여자체육교사만의 강점을 통해 변화되는 학생들의 모습을 보며 체육교사로서의 전문성 함양을 위해 노력하는 대처를 보이기도 했다. 기간제 여자체육교사의 삶을 만족하는 사람이 있지만, 기간제 여자체육교사의 여러 가지 어려움 때문에 정규교원으로의 전환을 갈망하며 임용고시를 준비하는 집단도 존재했다.
      번역하기

      본 연구는 중등 기간제 여자체육교사로의 진입 어려움과 교직 생활을 하면서 겪는 갈등을 이해하고, 그 속에서 기간제 여자체육교사로서 받는 대우를 극복해내는 본인만의 적응 및 대처방...

      본 연구는 중등 기간제 여자체육교사로의 진입 어려움과 교직 생활을 하면서 겪는 갈등을 이해하고, 그 속에서 기간제 여자체육교사로서 받는 대우를 극복해내는 본인만의 적응 및 대처방법을 알게 되며, 향후 중등 기간제 여자체육교사를 채용하는 과정에 정책적인 기초자료 마련과 처우개선에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눈덩이표집법을 사용하여 부, 울, 경 지역에서 현재 중등학교 기간제 체육교사로 종사하고 있는 여교사 5명을 선정하였다. 연구를 위해 심층 면담과 기사, 뉴스를 중심으로 자료를 수집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전사작업을 통해 텍스트화 하였고, 공통된 의미를 범주화하여 개념 분석과정을 통해 다음과 같은 결론을 도출하였다.
      첫째, 중등 기간제 여자체육교사의 진입의 어려움은 ‘체육교과목에 대한 젠더 편견’, ‘짜여진 각본의 엑스트라’, ‘체육교사 = 안전생활부로’의 카테고리로 분류되었다. 체육 과목은 오랫동안 남성들에게 적합하다고 여겨져 왔다. 이러한 선입견은 아직도 교직 문화에 많이 자리 잡고 있으며, 이에 따라 체육과목에 대한 젠더적 편견이 발생하여 기간제 여자체육교사로의 진입장벽이 존재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특히 기간제 체육교사 채용 면접에서 이미 남교사를 채용할 계획이 있는 학교도 허다하였고, 서류전형에 통과한 여성들은 자릿수를 채우는 엑스트라의 역할을 해야 했다. 더해서 학교의 안전생활부는 체육교사의 주된 업무이기 때문에 학생을 통제하기에 여성들은 힘이 부족하다는 이유로 뽑지 않아 기간제 체육교사 진입에 어려움을 겪고 있다.
      둘째, 중등 기간제 여자체육교사의 교직 생활의 적응 어려움은 크게 ‘꼬리표 : “여자라서”’, ‘불공정한 업무 분장’, ‘불안정한 신분’, ‘불공정한 성과보상’으로 나타났다. 기간제 여자체육교사는 여자라는 이유로 남자체육교사, 관리자 등에게 부당한 대우를 받으며 소외감을 느끼기도 하였다. 또한 업무분장을 할 때면, 기존 정규교원의 업무의 분담이 완료된 후, 기간제 교원에게 남은 업무를 주기 때문에 기간제 여자체육교사에게 업무가 과중되는 불공정한 사례도 있었다. 그러나 불안정한 신분의 이유로 부당함을 표출하지 못하고 매년 12월이 되면 재계약의 두려움으로 인해 계약직의 어려움을 겪어야했다. 더해서 기간제 여자체육교사의 매 분기마다 받는 성과급여는 정규교원과의 차이가 분명하게 나타났다. 이는 제도적인 측면에서의 불공정한 문제점이 된다. 그뿐만 아니라 성과를 내기 위해 기간제교원에게 더 많은 일을 주지만, 결국 성과의 보상과 공로는 정규교원이 가져가는 사례도 나타났다.
      셋째, 중등 기간제 여자체육교사의 적응전략은 ‘적극적으로 대처하기’, ‘전문성 함양을 위한 노력’, ‘정규교원으로의 갈망’으로 분석되었다. 기간제 여자체육교사는 부당한 교직생활 가운데에서 본인이 교사임을 잊지 않고 다른 정규교원들과 동화되는 모습을 보이거나 변화된 제도를 잘 활용하여 기간제교원으로서 할 수 있는 최대한의 지위로 올라가기도 하는 적극적인 적응전략을 보였다. 또한 이들은 끝없이 수업에 대해 연구하고, 여자체육교사만의 강점을 통해 변화되는 학생들의 모습을 보며 체육교사로서의 전문성 함양을 위해 노력하는 대처를 보이기도 했다. 기간제 여자체육교사의 삶을 만족하는 사람이 있지만, 기간제 여자체육교사의 여러 가지 어려움 때문에 정규교원으로의 전환을 갈망하며 임용고시를 준비하는 집단도 존재했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understand the difficulties of entering and conflicts that fixed-term female physical education (PE) teachers experienced in middle schools and how to adapt and cope with which they were treated as fixed-term female PE teachers within such experience; and contribute to policy reforms that the hiring process could be improved and such teachers could be better treated.
      Using the snowball sampling methods, five fixed-term female PE teachers were selected working in Busan, Ulsan, and Gyeongnam. For this study, data were collected mainly through in-depth interviews and news articles. The collected data was converted into text through transcription work, and the following conclusions were drawn through the concept analysis process by categorizing common meanings.
      First, the barriers to entry as they faced were categorized in ‘gender prejudice in PE’, ‘playing an extra part of the previously made scenario’, and ‘a fixed-term female PE teacher was considered as student’s safe-living division.’ It has long believed that PE is suitable for men. This kind of gender prejudice remained in teaching culture, and the barriers of entry and duties practically assigned to them were found in PE. In particular, in the process of hiring fixed term PE teachers, there were potential male candidates designated already by third persons for the positions. The fixed term female PE teachers who passed the application review processes played second fiddle to the potential male candidates. In addition, since ensuring students’ safe living on the school site was the primary duties of PE teachers, the female teachers were discriminated against male PE teachers because of lack of ability to manage students’ behavioral issues.
      Second, grievances of the teaching life as fixed-term female PE teachers in middle schools were identified: largely: ‘labeled as a woman', ‘unfair division of duties’, ‘unstable status', and ‘unfair compensation for performance’. They felt treated unfairly by fellow male PE teachers and managers just because they were women and felt alienated. Also, when division of duties was completed, there was an unfair case in which the fixed-term female PE teachers were overburdened because the remaining duties were given to them after the division of duties of the existing regular teachers was completed. The teachers also suffered from fear that the conract would not be guaranteed every year and were not able to make voice due to their temporary position. Moreover, there was a clear difference in the performance-related bonus received every quarter of fixed-term female PE teachers from that of regular teachers. This is an unfair issue in institutional terms. In addition to that, there were several cases in which regular teachers took the rewards and merit of performance in a biased manner to fixed-term teachers in order to produce results.
      Third, the adaptation strategies of fixed-term female PE teachers in middle schools were found as 'active coping’, ‘efforts to develop professionalism’, and ‘longing for regular teachers’. It demonstrated that they did not forget that they are being a 'teacher' despite of unfair teaching life, tried to have good relationship with the regular teachers, and took advantage of the changed employ system, therefore they experienced the maximum possible position as fixed-term teachers. Also, they continued studying on what best teaching could be done and showed efforts to improve their processualism as PE teacher since they found that their students became better persons with the female PE teacher’s strengths. On the one hand, there were some fixed-term female PE teachers that were satisfied with their current teaching life, on the other hand, there was a group of people that strongly desired for a transfer their current positions to the regular teacher positions due to the institutionalized discrimination so they continued to prepare for the national teacher qualification exams.
      번역하기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understand the difficulties of entering and conflicts that fixed-term female physical education (PE) teachers experienced in middle schools and how to adapt and cope with which they were treated as fixed-term female P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understand the difficulties of entering and conflicts that fixed-term female physical education (PE) teachers experienced in middle schools and how to adapt and cope with which they were treated as fixed-term female PE teachers within such experience; and contribute to policy reforms that the hiring process could be improved and such teachers could be better treated.
      Using the snowball sampling methods, five fixed-term female PE teachers were selected working in Busan, Ulsan, and Gyeongnam. For this study, data were collected mainly through in-depth interviews and news articles. The collected data was converted into text through transcription work, and the following conclusions were drawn through the concept analysis process by categorizing common meanings.
      First, the barriers to entry as they faced were categorized in ‘gender prejudice in PE’, ‘playing an extra part of the previously made scenario’, and ‘a fixed-term female PE teacher was considered as student’s safe-living division.’ It has long believed that PE is suitable for men. This kind of gender prejudice remained in teaching culture, and the barriers of entry and duties practically assigned to them were found in PE. In particular, in the process of hiring fixed term PE teachers, there were potential male candidates designated already by third persons for the positions. The fixed term female PE teachers who passed the application review processes played second fiddle to the potential male candidates. In addition, since ensuring students’ safe living on the school site was the primary duties of PE teachers, the female teachers were discriminated against male PE teachers because of lack of ability to manage students’ behavioral issues.
      Second, grievances of the teaching life as fixed-term female PE teachers in middle schools were identified: largely: ‘labeled as a woman', ‘unfair division of duties’, ‘unstable status', and ‘unfair compensation for performance’. They felt treated unfairly by fellow male PE teachers and managers just because they were women and felt alienated. Also, when division of duties was completed, there was an unfair case in which the fixed-term female PE teachers were overburdened because the remaining duties were given to them after the division of duties of the existing regular teachers was completed. The teachers also suffered from fear that the conract would not be guaranteed every year and were not able to make voice due to their temporary position. Moreover, there was a clear difference in the performance-related bonus received every quarter of fixed-term female PE teachers from that of regular teachers. This is an unfair issue in institutional terms. In addition to that, there were several cases in which regular teachers took the rewards and merit of performance in a biased manner to fixed-term teachers in order to produce results.
      Third, the adaptation strategies of fixed-term female PE teachers in middle schools were found as 'active coping’, ‘efforts to develop professionalism’, and ‘longing for regular teachers’. It demonstrated that they did not forget that they are being a 'teacher' despite of unfair teaching life, tried to have good relationship with the regular teachers, and took advantage of the changed employ system, therefore they experienced the maximum possible position as fixed-term teachers. Also, they continued studying on what best teaching could be done and showed efforts to improve their processualism as PE teacher since they found that their students became better persons with the female PE teacher’s strengths. On the one hand, there were some fixed-term female PE teachers that were satisfied with their current teaching life, on the other hand, there was a group of people that strongly desired for a transfer their current positions to the regular teacher positions due to the institutionalized discrimination so they continued to prepare for the national teacher qualification exams.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목 차
      • 표목차 ⅲ
      • 그림목차 ⅳ
      • Ⅰ. 서 론 1
      • 목 차
      • 표목차 ⅲ
      • 그림목차 ⅳ
      • Ⅰ. 서 론 1
      • 1. 연구의 필요성 1
      • 2. 연구의 목적 5
      • 3. 연구 문제 6
      • 4. 연구의 제한점 6
      • Ⅱ. 이론적 배경 7
      • 1. 기간제교원 7
      • 2. 여자체육교사 12
      • 3. 선행연구 16
      • Ⅲ. 연구 방법 18
      • 1. 연구 참여자 18
      • 2. 연구 절차 19
      • 3. 자료 수집 20
      • 4. 자료 분석 21
      • 5. 자료의 진실성 21
      • 6. 연구의 윤리성 23
      • Ⅳ. 결과 및 논의 24
      • 1. 기간제 여자체육교사로의 진입장벽 25
      • 2. 기간제 여자체육교사의 적응 어려움 34
      • 3. 기간제 여자체육교사의 어려움에 대한 적응전략 45
      • Ⅴ. 결론 및 제언 57
      • 1. 결론 57
      • 2. 제언 59
      • 참 고 문 헌 61
      • Abstract 67
      • 부 록 70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