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이윤영, "현대미술가들의 개입적 공공미술의 양상"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2011
2 김현정, "현대 공공 공간과 공공미술의 상호 작용에 관한 연구" 한국실내디자인학회 16 (16): 147-154, 2007
3 우정아, "한 장소 다음에 또 한 장소: 장소특정적 미술과 지역의 정체성" 26 :
4 이은정, "픽춰레스크 이미지 적용에 의한 도시 가로디자인 연구 : 대구도심 역사가로 공공디자인을 중심으로" 홍익대학교 대학원 2012
5 김지현, "지역의 특성을 강조한 공공미술에 대한 연구 : '장소특정성(Site-Specificity)' 개념을 중심으로"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2008
6 방승애, "장소특정적 미술을 넘어서 : 공간특정성 연구" 숭실대학교 대학원 2010
7 이지희, "장소특정적 미술(Site-Specific Art)에 대한 담론적 연구 : 1960년대∼1990년대를 중심으로" 홍익대학교 대학원 2009
8 박삼철, "왜 공공미술인가" 학고재 2006
9 수잔레이시, "새로운 장르 공공미술: 지형그리기" 문화과학사 2010
10 맬컴 마일스, "미술 공간 도시" 학고재 2000
1 이윤영, "현대미술가들의 개입적 공공미술의 양상"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2011
2 김현정, "현대 공공 공간과 공공미술의 상호 작용에 관한 연구" 한국실내디자인학회 16 (16): 147-154, 2007
3 우정아, "한 장소 다음에 또 한 장소: 장소특정적 미술과 지역의 정체성" 26 :
4 이은정, "픽춰레스크 이미지 적용에 의한 도시 가로디자인 연구 : 대구도심 역사가로 공공디자인을 중심으로" 홍익대학교 대학원 2012
5 김지현, "지역의 특성을 강조한 공공미술에 대한 연구 : '장소특정성(Site-Specificity)' 개념을 중심으로"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2008
6 방승애, "장소특정적 미술을 넘어서 : 공간특정성 연구" 숭실대학교 대학원 2010
7 이지희, "장소특정적 미술(Site-Specific Art)에 대한 담론적 연구 : 1960년대∼1990년대를 중심으로" 홍익대학교 대학원 2009
8 박삼철, "왜 공공미술인가" 학고재 2006
9 수잔레이시, "새로운 장르 공공미술: 지형그리기" 문화과학사 2010
10 맬컴 마일스, "미술 공간 도시" 학고재 2000
11 "뮌스터 조각 프로젝트"
12 박삼철, "도시 예술 산책" 나름북스 2012
13 신혜경, "다니엘 뷔렝(D. Buren)의 탈역사주의와 공간의 재구조화 - ‘in situ’ 작업을 중심으로 -" 프랑스문화예술학회 32 : 537-564, 2010
14 민지혜, "공론장(public sphere) 개념으로 본 1980년대 미국 공공미술 : <기울어진 호>와 <베트남참전용사기념비>를 중심으로" 홍익대학교 대학원 2010
15 김지현, "공공미술을 통한 도심 속 공공공간 발전 방향에 관한 연구" 연세대학교 대학원 2009
16 Ronald Lee Fleming, "The Art of Placemaking" Merrell Publishers 2007
17 Ernst-Gerhard Güse, "Richard Serra" Rizzoli 1988
18 김덕현, "Place and Placelessness" 논형 2005
19 Mi won Kwon, "One place after another" MIT Press 2004
20 Hatje Cantz, "Donald Judd Architecture" 2000
21 유정아, "1970-90년대 뉴욕의 공공미술 : 장소와 관람자의 인식변화를 중심으로" 서울대학교 대학원 200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