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공공디자인으로서 장소-특정성 공공미술의 발전방향에 관한 연구 = A Study on the Development of the Site-specific Public Art in Public Design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3794233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When an art work comes to urban space, "a piece of inappropriate work incompatible to the logical connection and identity of a site" can not receive right evaluation of its value as public art. There may be various causes concerning the problems of public art but this study established a premise with a focus on the relationship of work and site that art that extremely emphasizes internal self-control and artist's originality emphasized by modernism is the result of 'no consideration for the suitability of a site or response of citizens'. First of all, the changes of site-specific notions and effects of surrounding art in the artistic flow through literature review were examined and the methods of the operation of art and a site and rising issues were arranged through site research. In particular, it reviewed the roles and functions of public art according to the characteristics of "Place-making' connected to public design and its roles to improve spatial quality and selected Site-specific work of the type recently expanded based on a site and project public art as study cases and analyzed the correlation of work and site, human beings and environment. In addition, the non-physical situation integrated with physical space was examined to rediscover the potentiality of public art about the future urban environment and searched for a consistent development direction. In this connection, it is hoped that this study can be a chance to be utilized as basic data useful to search for countermeasures for the current problems of public art and furthermore to establish a plan and a direction of public design.
      번역하기

      When an art work comes to urban space, "a piece of inappropriate work incompatible to the logical connection and identity of a site" can not receive right evaluation of its value as public art. There may be various causes concerning the problems of pu...

      When an art work comes to urban space, "a piece of inappropriate work incompatible to the logical connection and identity of a site" can not receive right evaluation of its value as public art. There may be various causes concerning the problems of public art but this study established a premise with a focus on the relationship of work and site that art that extremely emphasizes internal self-control and artist's originality emphasized by modernism is the result of 'no consideration for the suitability of a site or response of citizens'. First of all, the changes of site-specific notions and effects of surrounding art in the artistic flow through literature review were examined and the methods of the operation of art and a site and rising issues were arranged through site research. In particular, it reviewed the roles and functions of public art according to the characteristics of "Place-making' connected to public design and its roles to improve spatial quality and selected Site-specific work of the type recently expanded based on a site and project public art as study cases and analyzed the correlation of work and site, human beings and environment. In addition, the non-physical situation integrated with physical space was examined to rediscover the potentiality of public art about the future urban environment and searched for a consistent development direction. In this connection, it is hoped that this study can be a chance to be utilized as basic data useful to search for countermeasures for the current problems of public art and furthermore to establish a plan and a direction of public design.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미술이 도시공간으로 나왔을 때 “장소의 맥락과 정체성”에 맞지 않는 “나 홀로” 작품은 공공미술로서의 가치를 옳게 평가 받을 수 없다. 공공미술의 문제점으로 여러 가지 원인이 있겠지만 본 연구에서는 모더니즘이 강조한 내적 자율성과 작가의 독창성만을 지나치게 강조한 미술은 ‘장소의 적합성이나 시민의 공감을 고려하지 않은 결과다‘라는 점을 전제로 작품과 장소의 관계를 논의의 중심으로 설정하였다. 먼저 문헌연구를 통하여 미술사적 흐름 속에서 장소 특정성 개념의 변화와 주변 미술과의 영향 등을 알아보고 현장연구를 통하여 미술과 장소가 작용하는 방식과 대두된 쟁점들을 정리하였다. 특히, 공공디자인과 연계된 “장소 만들기” 특성에 따른 공공미술의 역할과 기능은 무엇이며 그것이 공간의 질적인 향상을 위해서 어떠한 역할을 했는지를 살펴보고 최근 장소를 기반으로 확장된 형태의 장소 특정성 작품과 프로젝트형 공공미술 작품을 연구사례로 선정하여 작품과 장소, 인간과 환경의 상관관계를 분석하였다. 또한 물리적인 공간과 통합되는 비물리적인 상황을 함께 살펴봄으로써 향후 도시환경에 대한 공공미술의 잠재성을 재발견하고 지속적인 발전방향을 모색하였다. 이에 본 연구가 공공미술의 당면문제에 대한 대처방안을 도출하고 더불어 공공디자인의 계획과 방향을 설정 할 때도 유용한 기초자료로 활용되는 계기가 되길 바란다.
      번역하기

      미술이 도시공간으로 나왔을 때 “장소의 맥락과 정체성”에 맞지 않는 “나 홀로” 작품은 공공미술로서의 가치를 옳게 평가 받을 수 없다. 공공미술의 문제점으로 여러 가지 원인이 있겠...

      미술이 도시공간으로 나왔을 때 “장소의 맥락과 정체성”에 맞지 않는 “나 홀로” 작품은 공공미술로서의 가치를 옳게 평가 받을 수 없다. 공공미술의 문제점으로 여러 가지 원인이 있겠지만 본 연구에서는 모더니즘이 강조한 내적 자율성과 작가의 독창성만을 지나치게 강조한 미술은 ‘장소의 적합성이나 시민의 공감을 고려하지 않은 결과다‘라는 점을 전제로 작품과 장소의 관계를 논의의 중심으로 설정하였다. 먼저 문헌연구를 통하여 미술사적 흐름 속에서 장소 특정성 개념의 변화와 주변 미술과의 영향 등을 알아보고 현장연구를 통하여 미술과 장소가 작용하는 방식과 대두된 쟁점들을 정리하였다. 특히, 공공디자인과 연계된 “장소 만들기” 특성에 따른 공공미술의 역할과 기능은 무엇이며 그것이 공간의 질적인 향상을 위해서 어떠한 역할을 했는지를 살펴보고 최근 장소를 기반으로 확장된 형태의 장소 특정성 작품과 프로젝트형 공공미술 작품을 연구사례로 선정하여 작품과 장소, 인간과 환경의 상관관계를 분석하였다. 또한 물리적인 공간과 통합되는 비물리적인 상황을 함께 살펴봄으로써 향후 도시환경에 대한 공공미술의 잠재성을 재발견하고 지속적인 발전방향을 모색하였다. 이에 본 연구가 공공미술의 당면문제에 대한 대처방안을 도출하고 더불어 공공디자인의 계획과 방향을 설정 할 때도 유용한 기초자료로 활용되는 계기가 되길 바란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이윤영, "현대미술가들의 개입적 공공미술의 양상"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2011

      2 김현정, "현대 공공 공간과 공공미술의 상호 작용에 관한 연구" 한국실내디자인학회 16 (16): 147-154, 2007

      3 우정아, "한 장소 다음에 또 한 장소: 장소특정적 미술과 지역의 정체성" 26 :

      4 이은정, "픽춰레스크 이미지 적용에 의한 도시 가로디자인 연구 : 대구도심 역사가로 공공디자인을 중심으로" 홍익대학교 대학원 2012

      5 김지현, "지역의 특성을 강조한 공공미술에 대한 연구 : '장소특정성(Site-Specificity)' 개념을 중심으로"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2008

      6 방승애, "장소특정적 미술을 넘어서 : 공간특정성 연구" 숭실대학교 대학원 2010

      7 이지희, "장소특정적 미술(Site-Specific Art)에 대한 담론적 연구 : 1960년대∼1990년대를 중심으로" 홍익대학교 대학원 2009

      8 박삼철, "왜 공공미술인가" 학고재 2006

      9 수잔레이시, "새로운 장르 공공미술: 지형그리기" 문화과학사 2010

      10 맬컴 마일스, "미술 공간 도시" 학고재 2000

      1 이윤영, "현대미술가들의 개입적 공공미술의 양상"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2011

      2 김현정, "현대 공공 공간과 공공미술의 상호 작용에 관한 연구" 한국실내디자인학회 16 (16): 147-154, 2007

      3 우정아, "한 장소 다음에 또 한 장소: 장소특정적 미술과 지역의 정체성" 26 :

      4 이은정, "픽춰레스크 이미지 적용에 의한 도시 가로디자인 연구 : 대구도심 역사가로 공공디자인을 중심으로" 홍익대학교 대학원 2012

      5 김지현, "지역의 특성을 강조한 공공미술에 대한 연구 : '장소특정성(Site-Specificity)' 개념을 중심으로"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2008

      6 방승애, "장소특정적 미술을 넘어서 : 공간특정성 연구" 숭실대학교 대학원 2010

      7 이지희, "장소특정적 미술(Site-Specific Art)에 대한 담론적 연구 : 1960년대∼1990년대를 중심으로" 홍익대학교 대학원 2009

      8 박삼철, "왜 공공미술인가" 학고재 2006

      9 수잔레이시, "새로운 장르 공공미술: 지형그리기" 문화과학사 2010

      10 맬컴 마일스, "미술 공간 도시" 학고재 2000

      11 "뮌스터 조각 프로젝트"

      12 박삼철, "도시 예술 산책" 나름북스 2012

      13 신혜경, "다니엘 뷔렝(D. Buren)의 탈역사주의와 공간의 재구조화 - ‘in situ’ 작업을 중심으로 -" 프랑스문화예술학회 32 : 537-564, 2010

      14 민지혜, "공론장(public sphere) 개념으로 본 1980년대 미국 공공미술 : <기울어진 호>와 <베트남참전용사기념비>를 중심으로" 홍익대학교 대학원 2010

      15 김지현, "공공미술을 통한 도심 속 공공공간 발전 방향에 관한 연구" 연세대학교 대학원 2009

      16 Ronald Lee Fleming, "The Art of Placemaking" Merrell Publishers 2007

      17 Ernst-Gerhard Güse, "Richard Serra" Rizzoli 1988

      18 김덕현, "Place and Placelessness" 논형 2005

      19 Mi won Kwon, "One place after another" MIT Press 2004

      20 Hatje Cantz, "Donald Judd Architecture" 2000

      21 유정아, "1970-90년대 뉴욕의 공공미술 : 장소와 관람자의 인식변화를 중심으로" 서울대학교 대학원 2005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7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5-02-09 학술지명변경 외국어명 : Bulletin of Korean Society of Basic Design & Art -> Journal of Basic Design & Art KCI등재
      201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6-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5-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3-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33 0.33 0.34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34 0.34 0.512 0.08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