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후보

      통합진보당 해산결정에 대한 검토 = Review on the Decision of Dissolution of the Unified Progressive Party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1590546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article addresses the constitutional review on the decision of dissolution of the United Progressive Party(UPP). On December 19, 2014, the Constitutional Court decided that UPP shall be dissolved and that the mandates of the lawmakers of UPP shal...

      This article addresses the constitutional review on the decision of dissolution of the United Progressive Party(UPP). On December 19, 2014, the Constitutional Court decided that UPP shall be dissolved and that the mandates of the lawmakers of UPP shall be deprived. The reason of the dissolution of UPP is that the purposes and activities of UPP are contrary to the democratic basic order. This is the first case decided by the Court after establishment of the Republic of Korea. In the decision, the Court systemized the purposes and legal conditions of adjudication on dissolution of a political party and the effects of decision. In this point, the decision is very meaningful.
      On the other hand, however, the decision has been exposed on the severe criticism that it has the logical contradiction, fallacies of the facts, misunderstanding about essence and functions of adjudication on dissolution of a political party, etc. As is generally known, the institution of adjudication on dissolution of a political party aims to protect both democracy and political party. The decision, however, neglects the function of the latter, whereas it exaggerates the former. Futhermore, it reveals the political and ideological bias. Besides, without the reservation of the appropriate statutes, the Court decided the deprivation of the mandates of the lawmakers of UPP. It cannot be justified on the light of the principle of the rule of law.
      In short, the decision cannot be justified on the aspect of constitution. The detailed rules regarding effects of decision of upholding shall be enacted in the pertinent statutes. They have to include the deprivation of the mandates of the lawmakers of the dissolved party.
      Meanwhile, the composition and qualifications of the justices of the Court should be diversified. Moreover, the appointment system should be also revised. It is desirable that the concurrent vote of two thirds or more of the total members of the National Assembly shall be required for the appointment of a justice.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는 헌법재판소에 의한 통합진보당 해산결정의 문제점을 분석하고 관련 법규 보완의 필요성, 더 나아가 헌법재판관 선출 및 구성 방식의 개선 필요성을 다룬 것이다. 이 결정은 정당...

      본 연구는 헌법재판소에 의한 통합진보당 해산결정의 문제점을 분석하고 관련 법규 보완의 필요성, 더 나아가 헌법재판관 선출 및 구성 방식의 개선 필요성을 다룬 것이다. 이 결정은 정당해산제도의 목적과 기능에 대한 이해 부족, 사실관계 오류, 논리적 비약, 근거가 박약한 사실관계의 인정, 법리적 오해 등 다양한 문제점을 노정했다는 비판을 면하기 어렵다고 본다. 또한 결과적으로 다원적 민주주의, 정당민주주의, 복수정당제도, 대의제도, 소수보호, 표현의 자유, 다양성과 관용성 등 중요한 헌법적 가치의 후퇴와 사회의 분열의 심화, 다수와 기득권의 횡포, 사법의 정치화를 야기시킬 수 있다는 우려도 나온다. 특히 법률의 근거도 없이 소속 국회의원들의 의원직 상실 결정을 내림으로써 헌법재판소 스스로가 헌법과 법률을 위반하면서 국회의 입법권한을 행사했다는 비판도 제기된다. 또한 소속 국회의원의 의원직을 상실시키는 결정을 내리면서 국회의원직을 상실한 소속 의원들의 보궐선거에서의 재출마 문제와 소속 지방의회의원의 의원직의 상실 여부 등에 대하여는 판단하지 아니한 것도 문제시 되고 있다. 따라서 정당해산제도 및 해산결정에 따른 소속 국회의원과 지방의회의원의 의원직 상실이나 재입후보 문제 등 제반 후속조치에 대한 법적 근거가 마련되어야 할 것이다.
      한편 이 결정은 지나친 이념적・정치적 편향성을 드러냈고, 결과적으로 사회통합을 저해할 수 있다는 우려가 제기된 바 있다. 이러한 평가가 사실이라면 이를 야기한 원인 중 하나는 헌법재판관 구성의 문제점이라고 하겠다. 즉 헌법재판관의 이념적 편향성과 다양성의 부족, 법조인 일색의 경험적 획일성 등이 문제로 거론된다. 이를 위해 차제에 헌재의 구성과 선발 방식도 재고해야 한다고 본다. 즉 헌재 구성의 이념적 균형성을 유념하면서 헌재의 구성을 다양화하고, 이를 위해 재판관의 자격을 다양화시켜야 하며, 재판관 선출방식도 재판관 전원을 국회에서 재적 2/3로 선출하도록 개정해야 할 것이다. 그럴 경우 여야 합의에 의한 재판관 선출과 재판부의 이념적 균형성의 제고가 가능해지고, 결국 대의기관의 다수 및 국민의 다수가 찬성하는 훌륭하고 균형잡힌 인사가 재판관이 될 수 있으며, 결과적으로 특정 세력과 특정 이념 및 정권이나 인사권자의 의중이 반영되는 편향된 결정의 가능성이 줄어들고, 소수보호 및 관용성과 다양성을 갖춘 결정이 가능해 져, 결국 헌법의 이념인 진정한 다원적 자유민주주의와 법치주의 및 사회국가원리를 바탕으로 한 기본권 실현과 사회통합이 강화될 수 있을 것이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헌법재판소, "헌법재판실무제요" 2008

      2 양건, "헌법재판소법의 개정방향에 관한 연구용역보고서" 헌법재판소 1999

      3 신평, "헌법재판법 전면개정판" 법문사 2011

      4 정연주, "헌법소원심판청구취하의 효과 : 헌법재판소 1995.12.15.95헌마221・233・297(병합)결정과 관련하여" 28 (28): 191-207, 2000

      5 허영, "헌법소송법론" 박영사 2015

      6 김하열, "헌법소송법" 박영사 2014

      7 정종섭, "헌법소송법" 박영사 2005

      8 양건, "헌법강의" 법문사 2011

      9 조유진, "헌법 사용설명서: 공화국 시민, 헌법으로 무장하라" 이학사 2012

      10 송석윤, "정당해산제도의 딜레마 -독일 연방헌법재판소의 독일 민족민주당 사건을 중심으로-" 세계헌법학회한국학회 16 (16): 59-90, 2010

      1 헌법재판소, "헌법재판실무제요" 2008

      2 양건, "헌법재판소법의 개정방향에 관한 연구용역보고서" 헌법재판소 1999

      3 신평, "헌법재판법 전면개정판" 법문사 2011

      4 정연주, "헌법소원심판청구취하의 효과 : 헌법재판소 1995.12.15.95헌마221・233・297(병합)결정과 관련하여" 28 (28): 191-207, 2000

      5 허영, "헌법소송법론" 박영사 2015

      6 김하열, "헌법소송법" 박영사 2014

      7 정종섭, "헌법소송법" 박영사 2005

      8 양건, "헌법강의" 법문사 2011

      9 조유진, "헌법 사용설명서: 공화국 시민, 헌법으로 무장하라" 이학사 2012

      10 송석윤, "정당해산제도의 딜레마 -독일 연방헌법재판소의 독일 민족민주당 사건을 중심으로-" 세계헌법학회한국학회 16 (16): 59-90, 2010

      11 이성환, "정당해산심판제도에 관한 연구" 헌법재판소 15 : 2004

      12 전민형, "정당해산심판 결정의 유형과 법적 효과" 안암법학회 (44) : 473-515, 2014

      13 장영수, "정당해산 요건에 대한 독일 연방헌법재판소의 판단기준에 관한 연구" 한국헌법학회 20 (20): 295-335, 2014

      14 박규환, "정당해산 심판기준에 관한 연구 ― 해산기준 명확화를 위한 기본권이론 도입에 관한 제언 ―" 한국헌법학회 14 (14): 479-508, 2008

      15 정연주, "정당민주주의와 지방자치제도- 헌법재판소 2003. 1. 30, 2001헌가4 사건을 중심으로" 한국공법학회 33 (33): 493-512, 2004

      16 정연주, "정당등록취소와 정당설립의 자유" 한국헌법학회 20 (20): 57-88, 2014

      17 이재희, "전투적 민주주의(Militant Democracy)로부터의 민주주의 수호" 한국비교공법학회 15 (15): 105-141, 2014

      18 윤정인, "유럽인권재판소의 정당해산 심판기준" 한국비교공법학회 15 (15): 45-77, 2014

      19 최희수, "심천 계희열 박사화갑기념논문집" 444-479, 1995

      20 김종철, "민주공화국과 정당해산제도 - 통합진보당 해산심판청구를 소재로 -" 한국비교공법학회 15 (15): 35-66, 2014

      21 정연주, "대의제도와 정당기속 : 전국구국회의원의 당적이탈・변경시 의원직 상실문제와 관련하여" 276 : 82-101, 1999

      22 김승환, "금랑 김철수교수정년기념논문집" 229-251, 1998

      23 Pestalozza, "Verfassungsprozeßrecht" 1991

      24 Benda, "Verfassungsprozeßrecht" 2001

      25 Denninger, E., "Handbuch des Verfassungsrechts, 2" 675-716, 1994

      26 Kunig, "Handbuch des Staatsrechts, Bd. 3" 40-, 2005

      27 Klein, "Grundgesetz Kommentar, Art. 21"

      28 Schlaich, "Das Bundesverfassungsgericht" 2001

      29 Umbach, "Bundesverfassungsgerichtsgesetz" 1992

      30 Klein, "Bundesverfassung sgerichtsgesetz Kommentar. Bd. 1" 43-47,

      31 Bethge, "Bundesverfassung sgerichtsgesetz Kommentar, Bd. 1, §35"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8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2-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6-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KCI등재
      2014-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33 0.33 0.32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32 0.32 0.589 0.15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