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초등학생의 자기결정성 동기, 자기주도적 학습능력, 학업적 자기효능감, 학업성취의 인과관계 = Analysis of the Causal Relationships among Self-Determination Motivation, Self-Directed Learning Ability, Academic Self-Efficacy and Academic Achievement of Elementary School Students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5217721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의 목적은 초등학생의 자기결정성 동기, 자기주도적 학습능력, 학업적 자기효능감, 학업성취 간의 구조적인 인과관계와 영향력을 규명하는 것이다. 모형 추정 가능성을 확인하기 위...

      본 연구의 목적은 초등학생의 자기결정성 동기, 자기주도적 학습능력, 학업적 자기효능감, 학업성취 간의 구조적인 인과관계와 영향력을 규명하는 것이다. 모형 추정 가능성을 확인하기 위해 최대우도 추정법으로 측정모형의 적합도를 추정하였으며, 변수들 간의 구조적 관계를 분석하기 위해 구조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에 따르면 자기결정성 동기는 자기주도적 학습능력에는 정적으로, 학업성취에는 부적으로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고, 학업적 자기효능감에는 자기주도적 학습능력을 통해서, 학업성취에는 자기주도적 학습능력과 학업적 자기효능감을 통해서 간접적으로 영향을 미친다. 결론적으로 자기결정성동기, 자기주도적 학습능력, 학업적 자기효능감은 모두 학업성취를 예언할 수 있는 변수이지만 독립적인 관계를 형성하기 보다는 서로 밀접한 관련을 가지면서 학업성취에 영향을 주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다. 그리고 이들 변수들간의 연계성이 중요하다는 것을 알 수 있으며, 초등학생들이 높은 학업성취에 도달하기 위해서는 변수들을 모두 포함하여 이들 간의 인과관계를 고려한 통합적 조력 프로그램이 요구됨을 알 수 있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purpose of the study is to examine the structural relationships among self-determination motivation, self-directed learning ability, academic self-efficacy and academic achievement. Model fit indices have been estimated to examine the model identi...

      The purpose of the study is to examine the structural relationships among self-determination motivation, self-directed learning ability, academic self-efficacy and academic achievement. Model fit indices have been estimated to examine the model identification using maximum likelihood estimation, and structural relationship has been analyzed using structural regression analysis. The results of this study indicated that the self-determination motivation positively affects self-directed learning ability, and negatively affects academic achievement. It affects academic self-efficacy indirectly via self-directed learning ability indirectly. It also affects academic achievement via self-directed learning ability and academic self-efficacy indirectly. In conclusion, self-determination motivation, self-directed learning ability, academic self-efficacy are variables to predict academic achievement. However, it is more effective when they are closely connected each other than when they affect academic achievement independently. To increase students academic achievement, all of these variables should be considered based on their cause and affect relationships. « Key Words: self-determination motivation, self-directed learning ability, academic self-efficacy, academic achievement.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Ⅰ. 서 론
      • Ⅱ. 연구방법
      • Ⅲ. 결 과
      • Ⅳ. 논의 및 결론
      • 참고문헌
      • Ⅰ. 서 론
      • Ⅱ. 연구방법
      • Ⅲ. 결 과
      • Ⅳ. 논의 및 결론
      • 참고문헌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김아영, "학업적 자기효능감 척도 개발 및 타당화 연구" 39 (39): 95-123, 2001

      2 김아영, "학업성취도에 대한 지능과 동기변수들의 상대적 예측력" 15 (15): 121-139, 2001

      3 한순미, "학습동기 변인들과 인지전략 및 학업성취간의 관계" 한국교육심리학회 18 (18): 329-350, 2004

      4 한영숙, "학습기술과 학습동기 및 자기효능감과 학교성취 간의 관계" 4 (4): 153-172, 2007

      5 손종식, "학년 및 성별에 따른 자기규제학습 수준과 학업성취 및 지능과의 관계" 동아대학교 대학원 1994

      6 정종진, "학교학습과 동기" 교육과학사 1996

      7 소연희, "학교급별에 따른 지각된 사회적 지지, 학업적 자기효능감 및 성취동기 및 학업성취도와의 관계: 경로모형을 중심으로" 한국아동교육학회 17 (17): 49-64, 2008

      8 임지현, "초등학생의 학년과 성별에 따른 자기결정성 수준이 학업성취도에 미치는 효과" 한국교육방법학회 19 (19): 163-181, 2007

      9 류지헌, "초등학생의 자기결정성 동기요인이 인지전략과 학업성취에 미치는 인과관계의 검증" 교과교육연구소 12 (12): 219-238, 2008

      10 유경훈, "초등학생의 자기결정성 동기와 창의적 사고능력" 한국아동교육학회 16 (16): 229-240, 2007

      1 김아영, "학업적 자기효능감 척도 개발 및 타당화 연구" 39 (39): 95-123, 2001

      2 김아영, "학업성취도에 대한 지능과 동기변수들의 상대적 예측력" 15 (15): 121-139, 2001

      3 한순미, "학습동기 변인들과 인지전략 및 학업성취간의 관계" 한국교육심리학회 18 (18): 329-350, 2004

      4 한영숙, "학습기술과 학습동기 및 자기효능감과 학교성취 간의 관계" 4 (4): 153-172, 2007

      5 손종식, "학년 및 성별에 따른 자기규제학습 수준과 학업성취 및 지능과의 관계" 동아대학교 대학원 1994

      6 정종진, "학교학습과 동기" 교육과학사 1996

      7 소연희, "학교급별에 따른 지각된 사회적 지지, 학업적 자기효능감 및 성취동기 및 학업성취도와의 관계: 경로모형을 중심으로" 한국아동교육학회 17 (17): 49-64, 2008

      8 임지현, "초등학생의 학년과 성별에 따른 자기결정성 수준이 학업성취도에 미치는 효과" 한국교육방법학회 19 (19): 163-181, 2007

      9 류지헌, "초등학생의 자기결정성 동기요인이 인지전략과 학업성취에 미치는 인과관계의 검증" 교과교육연구소 12 (12): 219-238, 2008

      10 유경훈, "초등학생의 자기결정성 동기와 창의적 사고능력" 한국아동교육학회 16 (16): 229-240, 2007

      11 박순영, "초등학교 고학년 아동의 자기결정성 동기유형과 학업성취와의 관계" 대구교육대학원 2006

      12 임지현, "지각된 자율성 지지 정도와 학업성취의 관계에서 자기조절동기 및 학업적 자기효능감의 매개효과 검증"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2005

      13 송경애, "자아 존중감 및 자기결정 동기가 자기 주도적 학습에 미치는 영향" 10 (10): 177-202, 2006

      14 정은정, "자기조절 학습훈련이 학습부진아의 자기효능감과 학업성취에 미치는 효과" 한국교원대학교 교육대학원 2005

      15 임애리, "자기조절 학습전략 훈련이 자기효능감과 학업성취에 미치는 영향" 전북대학교 교육대학원 2005

      16 조현철, "자기결정적 학습동기의 학습결과 및 학습활동에 대한 관련" 38 (38): 95-121, 2000

      17 이지혜, "자기결정성 학습동기와 자기주도적 학습능력 및 학습몰입과의 관계" 11 (11): 57-77, 2008

      18 김아영, "자기결정성 정도에 따른 동기유형의 분류" 15 (15): 97-119, 2001

      19 김아영, "자기결정성 이론에 따른 학습동기유형 분류체계의 타당성" 한국교육심리학회 16 (16): 169-187, 2002

      20 김민수, "자기결정성 및 부모의 학습지원 행동과 학습전략 및 학업성취의 관계" 전북대학교 대학원 2006

      21 김청자, "자기결정성 동기유형과 창의적 인성 요인과의 관계 연구" 교육과학연구소 37 (37): 237-256, 2006

      22 이미봉, "자기결정동기와 자기조절학습이 학업성취에 미치는 영향" 연세대학교 대학원 2003

      23 안혜진, "자기결정동기, 인지전략, 학업성취와의 관계연구" 숙명여자대학교 대학원 2004

      24 이혜주, "예비유아교사의 인지전략과 자기결정성 동기와의 관계" 한국아동학회 27 (27): 55-69, 2006

      25 성태제, "연구방법론" 학지사 2006

      26 장경문, "아동이 지각하는 부/모의 심리적 통제와 아동의 내외향적 성격특성에 따른 자기결정성 및 학업성적의 차이" 한국초등교육학회 20 (20): 165-180, 2007

      27 최창석, "수치심, 죄책감의 이질성: 부모양육태도, 자기결정동기, 학교적응과 관련하여" 한양대학교 대학원 2009

      28 김은주, "부모자녀관계와 자기결정성 요인들이 대학신입생들의 학교생활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한국교육심리학회 21 (21): 539-555, 2007

      29 하대현, "내ㆍ외재 동기유형의 타당화와 성격과의 상관요인 연구" 한국교육심리학회 17 (17): 25-47, 2003

      30 김경희, "국제 학업성취도평가(TIMSS/PISA)에 나타난 우리나라 중․고등학생의 성취 변화의 특성" 한국교육과정평가원 2008

      31 문수백, "구조방정식모형링의 이해와 적용" 학지사 2009

      32 김판수, "공부의 절대시기 자기주도적 학습법" 교육과학사 2007

      33 신종호, "고등학생의 학업성취와 학업적 자기효능감, 지각된 교사기대, 가정환경요인 간의 관계 연구" 한국아동교육학회 15 (15): 5-23, 2006

      34 이동조, "개별화 열린수업이 아동의 자기주도적 학습특성 및 학업성취에 미치는 효과" 동아대학교 대학원 1999

      35 Morris, S. S, "The relationship between self-directed learning readiness and academic performance in a nontraditional higher education program" University of Oklahoma 1995

      36 Grolnick, W. S, "The inner resources for school performance: Motivation mediators of children's perceptions of their parents" 83 : 508-517, 1991

      37 Deci, E. L, "The "what" and "why" of goal pursuits: Human needs and the self-determination of behavior" 11 : 227-229, 2000

      38 Csikszentmihalyi, M, "Talented teenagers the roots of success and failure" Cambridge University Press 1993

      39 Diener, E, "Subjective well-being: The science of happiness and a proposal for a national index" 55 : 34-43, 2000

      40 Pintrich, P. R, "Student goal orientation and self regulation in the college classroom" 7 : 371-402, 1991

      41 Bandura, A, "Social foundation of thought and action: A social cognitive theory" Prentice-Hall 1986

      42 Zimmerman, B. J, "Self-motivation for academic attainment: The role of self-efficacy beliefs and personal goal setting" 29 : 663-676, 1992

      43 Vallerand, R. J, "Self-determination and persistence in a real-life setting: Toward a motivational model of high school dropout" 72 (72): 1161-1176, 1997

      44 Multon, K. D, "Relation of self-efficacy beliefs to academic outcomes: A meta-analytic investigation" 18 : 30-38, 1991

      45 Kline, R. B, "Principles and practice of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2nd ed.)" The Guilford Press 2005

      46 Long, H. B, "Philosophical, psychological and practical justifications for studying self-directed for in learning In Self-directed for learning: Application and research" Oklahoma Research Center for Continuing Professional and Higher Education 1992

      47 Bandura, A, "Perceived self-efficacy in cognitive development and functioning" 28 : 117-148, 1993

      48 Ryan, R. M, "Perceived locus of causality and internalization: Examining reason for acting in two domains" 57 (57): 749-761, 1989

      49 이미경, "PISA 2003 결과분석연구" 한국교육과정평가원 2005

      50 Vallerand, R. J, "Intrinsic, extrinsic, and motivational styles as predictors of behaviors: A prospective study" 60 : 599-620, 1992

      51 Deci, E. L, "Intrinsic motivation and self-determination in human behavior" Plenum 1986

      52 하정효, "ICT활용수업 유형이 영어 학습 태도, 학업성취도 및 학업적 자기 효능감에 미치는 효과"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2003

      53 Bandura, A, "Human agency in social cognitive theory" 1988

      54 Schunk, D. H, "Goal setting and self-efficacy during self-regulated learning" 26 : 207-231, 1990

      55 Koestner, R, "Distinguishing three ways of being internally motivated a closer look at introjection, identification, and intrinsic motivation: Handbook of self-determination research" The University of Rochester Press 2002

      56 Levesque, C, "Autonomy and competence in German and American university students: A comparative study based on self-determination theory" 96 (96): 68-84, 2004

      57 Deci, E. L, "An overview of self-determination theory. An organismic-dialectical perspective: Handbook of self-determination research" The University of Rochester Press 2002

      58 Long, H. B, "An analysis of a modified form of Guglielmino's self-directed leaning readiness scale In Self-directed learning: Application and research" Oklahoma Research Center for Continuing Professional and Higher Education 1992

      59 김계수, "Amos 16.0 구조방정식 모형 분석" 한나래 출판사 2007

      60 Fortier, M. S, "Academic motivation and school performance: Toward a structural model" 20 : 257-274, 1995

      61 Hektner, J, "A longitudinal exploration of flow and intrinsic motivation in adolescents" 1996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7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7-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6-01-06 학술지명변경 외국어명 : Journal of Learner-Centered Curriculum and Instruction -> The Journal of Learner-Centered Curriculum and Instruction KCI등재후보
      2006-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4-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1.29 1.29 1.31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1.37 1.42 1.436 0.33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