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우수등재

      CrossFit을 적용한 건강영역 체육수업에 관한 사례연구 = A Case Study of Applying CrossFit to a Health Oriented Physical Education Class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6546949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신체활동 시설과 프로그램이 학교에 집중되어 있기 때문에 체육수업은 학생의 건강 증진을 책임져야한다. 그러나 체육수업은 축구, 피구와 같은 경쟁영역위주로 운영되며 건강영역은 체육...

      신체활동 시설과 프로그램이 학교에 집중되어 있기 때문에 체육수업은 학생의 건강 증진을 책임져야한다. 그러나 체육수업은 축구, 피구와 같은 경쟁영역위주로 운영되며 건강영역은 체육수업에서 기피되고 있다. 본 연구는 CrossFit을 적용한체육수업 사례를 통해 학생들의 건강에 대한 인식을 살펴보고 이를 통해 건강영역수업으로서의 실천 가능성을 밝히고자한다. 연구방법은 사례연구를 사용했으며, CrossFit을 2015년 2학기 P중학교 1학년 체육수업시간에 61명의 학생(남 39, 여22)이 주1회씩 15회 실시했다. 학생은 매시간 체육노트를 작성했고, 교사는 수업을 진행함과 동시에 관찰과 면담을 하고자료수집, 분석, 주제생성을 실시했다. CrossFit을 체험한 학생들은 건강영역 수업에 대해 다음과 같이 느꼈다. 첫째, 힘든운동이지만 재미와 보람과 같은 긍정적 정서를 체험하며 체력향상을 느꼈다. 둘째, 건강을 위해 일상에서 운동을 실천하기시작했으며, 건강한 삶이 가져오는 의미를 깨달았다. 셋째, 경쟁의 방식이 더해진 체력운동을 통해서 협력하고 배려하는방법을 체득했다. CrossFit수업은 학생들이 선호하는 팀 운동방식을 적용하여 동기를 유발하면서도 고강도 신체활동을 이끌어낼 수 있는 효율적인 건강영역 수업이다. 현재 교원양성 및 교사연수 프로그램에 건강교육 관련 강좌가 부족하다. 이에 CrossFit을 체육교사들에게 체육수업프로그램으로 제시하며, 교원양성 및 교사 연수 프로그램으로 CrossFit을 제안한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Unlike social and policy trends, physical education classes focus on competitive oriented P.E classes such as soccer and dodgeball. Health oriented P.E classes are replaced by PAPS measures because students are not preferred. As a P.E teacher, the res...

      Unlike social and policy trends, physical education classes focus on competitive oriented P.E classes such as soccer and dodgeball. Health oriented P.E classes are replaced by PAPS measures because students are not preferred. As a P.E teacher, the researcher applied CrossFit. A case study was conducted for this study. 61students(39 males and 22 females)were participated, 15 times a week, during the second semester of 2015 P junior school. The students wrote P.E notes for each class, and the teacher conducted observation, interviewing, and data collection, analysis, and topic generation. Through Crossfit class, students felt the following about health oriented class. First, students felt difficult to exercise, the other hand, students felt positive emotions such as fun and reward, and improved physical strength. Second, students are beginning to practice exercise in their daily lives for health and realize the meaning of healthy life. Finally students learned to cooperate and care for each other. CrossFit class is an effective class that can motivate students to apply high-intensity physical activity by applying their favorite team activity method. As a result, CrossFit is presented to physical education teachers as a physical education program, and CrossFit is proposed as a teacher training program.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신기철, "학생의 체육 학습경험에 관한 연구 동향과 과제" 한국초등체육학회 15 (15): 1-11, 2009

      2 강경진, "학생건강체력평가제(PAPS)에 대한 중학교 체육교사의 인식 및 효율적인 운영방안" 한국체육교육학회 18 (18): 35-49, 2013

      3 강민성, "크로스핏 트레이닝이 초등학생 건강체력 및 골밀도에 미치는 영향" 초등교육연구원 27 (27): 527-542, 2016

      4 김원경, "크로스핏 트레이닝이 비만중년여성의 건강관련체력과 피하지방두께 및 혈중지질에 미치는 영향" 조선대학교 대학원 2013

      5 노은초, "크로스핏 트레이닝이 무용전공자의 신체조성, 기초체력, 혈중지질 및 수행능력에 미치는 영향" 숙명여자대학교 대학원 2014

      6 박주식, "크로스핏 운동의 개념과 효과" 한국코칭능력개발원 16 (16): 173-179, 2014

      7 서재복, "초등학생의 방과 후 신체교육활동 참여에 따른 신체조성, 체력 및 신체적 자기개념의 변화" 한국스포츠학회 9 (9): 279-289, 2011

      8 김경숙, "초등학교 체육 수업에 대한 여학생과 남학생의인식, 경험 및 요구 분석" 12 (12): 115-138, 2005

      9 이옥선, "초등학교 여학생 건강 및 체력 증진을 위한 학교 체육 프로그램의 구성 방향과 실제" 한국초등체육학회 17 (17): 143-156, 2012

      10 송지환, "초등학교 방과후 체육활동 운영실태 및 성별에 따른 요구분석" 한국체육교육학회 16 (16): 133-145, 2012

      1 신기철, "학생의 체육 학습경험에 관한 연구 동향과 과제" 한국초등체육학회 15 (15): 1-11, 2009

      2 강경진, "학생건강체력평가제(PAPS)에 대한 중학교 체육교사의 인식 및 효율적인 운영방안" 한국체육교육학회 18 (18): 35-49, 2013

      3 강민성, "크로스핏 트레이닝이 초등학생 건강체력 및 골밀도에 미치는 영향" 초등교육연구원 27 (27): 527-542, 2016

      4 김원경, "크로스핏 트레이닝이 비만중년여성의 건강관련체력과 피하지방두께 및 혈중지질에 미치는 영향" 조선대학교 대학원 2013

      5 노은초, "크로스핏 트레이닝이 무용전공자의 신체조성, 기초체력, 혈중지질 및 수행능력에 미치는 영향" 숙명여자대학교 대학원 2014

      6 박주식, "크로스핏 운동의 개념과 효과" 한국코칭능력개발원 16 (16): 173-179, 2014

      7 서재복, "초등학생의 방과 후 신체교육활동 참여에 따른 신체조성, 체력 및 신체적 자기개념의 변화" 한국스포츠학회 9 (9): 279-289, 2011

      8 김경숙, "초등학교 체육 수업에 대한 여학생과 남학생의인식, 경험 및 요구 분석" 12 (12): 115-138, 2005

      9 이옥선, "초등학교 여학생 건강 및 체력 증진을 위한 학교 체육 프로그램의 구성 방향과 실제" 한국초등체육학회 17 (17): 143-156, 2012

      10 송지환, "초등학교 방과후 체육활동 운영실태 및 성별에 따른 요구분석" 한국체육교육학회 16 (16): 133-145, 2012

      11 이병준, "체육수업에서 팀 구성과 역할 분담에 대한 학생의 경험" 한국스포츠교육학회 17 (17): 125-144, 2010

      12 신진균, "체육교육과정에서의 ‘건강’의 의미와 방향 탐색"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11 (11): 181-201, 2011

      13 오승환, "체육과 교육과정에 따른 중학교 평가실태 분석" 한국교원대학교 교육대학원 2016

      14 박재정, "체력향상프로그램의 실천과 이를 경험한 학생의 인식"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14 (14): 381-407, 2014

      15 이기봉, "체력운동 수업 방향탐색을 위한 청소년의 체력발달 경향분석" 한국스포츠교육학회 10 (10): 141-155, 2003

      16 편미영, "체력강화 준비운동이 아동의 신체조성과 체력에 미치는 영향" 한국자료분석학회 12 (12): 3477-3491, 2010

      17 김경중, "중학생들의 체육수업에 관한 선호도 분석" 국민대학교 교육대학원 2002

      18 황태환, "중학생들의 체육수업 선호 종목 및 체육수업 인식도 비교" 경남대학교 교육대학원 2008

      19 김윤희, "중학생들의 체육 수업 선호 이유 분석" 6 (6): 93-110, 1999

      20 강형길, "중학생 신체활동의 영역별·강도별 수준 및 신체적 자기효능감과의 관계" 국민체육진흥공단 부설 한국스포츠개발원 26 (26): 904-916, 2015

      21 국태식, "중등 체육교사와 학생이 선호하는 체육수업내용 분석" 한국체육대학교 교육대학원 2011

      22 윤양진, "줄넘기 인증 프로그램을 활용한 학교스포츠클럽활동이 초등학생의 신체적 자기개념과 건강체력 변화에 미치는 효과" 교과교육연구소 13 (13): 133-151, 2009

      23 김주영, "줄넘기 운동이 초등학교 여학생의 건강체력과 골밀도에 미치는 영향"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16 (16): 621-638, 2016

      24 조필환, "자전거 교육활동이 초등학생의 건강·여가활동과 체육수업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교과교육연구소 18 (18): 663-681, 2014

      25 김윤희, "운동기능이 낮은 학생의 체육수업 체험에 관한 질적 연구" 한국스포츠교육학회 10 (10): 57-76, 2003

      26 이규일, "연간 SPARK M-SPAN(Middle School Physical Activity and Nutrition) 기반 중학교 체육수업의 중-고강도 신체활동 및 체력 효과 분석" 한국체육학회 56 (56): 713-726, 2017

      27 이규일, "여학생 건강 교육 프로그램 설계 및 실천을 통한 건강 교육의 실천 방향 탐색" 한국여성체육학회 24 (24): 127-142, 2010

      28 강형길, "신체활동 증진 전략 기반 여고생 체력수업 설계 및 실행: 질적 연구 중심 혼합연구" 한국체육학회 56 (56): 287-304, 2017

      29 오덕자, "배드민턴 운동이 비만 초등학생의 체지방률과 건강관련체력에 미치는 영향" 한국여성체육학회 28 (28): 1-11, 2014

      30 방순영, "단시간 서킷트레이닝이 초등학생의 건강체력에 미치는 영향" 한국초등체육학회 21 (21): 11-22, 2015

      31 교육과학기술부, "교육과학기술부 공고 제2009-51호"

      32 이기복, "과외체육활동 참여 중학생의 체육수업 선호종목 및 인식에 관한 조사연구" 동아대학교 교육대학원 2007

      33 김효림, "『팀』에서 찾는 체육 수업의 가치" (14) : 72-85, 2015

      34 Benjamin A. Sibley, "Using sport education to implement a CrossFit unit" 83 (83): 42-48, 2012

      35 Benjamin A. Sibley, "The V in MVPA:Vigorous physical activity in physical education" 87 (87): 3-4, 2016

      36 Sharon A. Plowman, "The History of FITNESSGRAM" 3 (3): S5-S20, 2006

      37 Glassman, G., "The CrossFit Training Guide"

      38 이규일, "SPARK 체력 초점 프로그램을 이용한 체육과 건강활동 수업 설계와 실천" 국민체육진흥공단 부설 한국스포츠개발원 25 (25): 157-177, 2014

      39 이규일, "SPARK 기반 학교체육 프로그램의 청소년 건강(체력과 신체적 라이프스타일) 효과 및 경험적 의미 탐색" 국민체육진흥공단 부설 한국스포츠개발원 25 (25): 556-574, 2014

      40 이규일, "SPARK M-SPAN(Middle School Physical Activity and Nutrition)을 적용한 중학교 육상수업의 신체활동 증진 효과 분석" 한국체육학회 55 (55): 699-708, 2016

      41 Creswell, J. W., "Qualitative inquiry and research design: Choosing among five traditions" Sage 1998

      42 Bailey, R., "Physical education and sport in school : a review of benefits and outcomes" 76 (76): 397-407, 2006

      43 National Association for Sport and Physical Education, "Opportunity to Learn: Guidelines for Middle School Physical Education"

      44 Narelle eather, "Improving health-related fitness in adolescents : CrossFit Teens randomised controlled trial" 34 (34): 209-223, 2016

      45 Kridel, C., "Encyclopedia of curriculum studies(Vol. 1)" Sage 2010

      46 Narelle eather, "Effects of exercise on mental health outcomes in adolescents : Findings from the CrossFit teens randomized controlled trial" 26 : 14-23, 2016

      47 Steven H. Kelder, "Chapter 1. Setting the stage : coordinated approaches to school health and physical education" 33 : 440-448, 2014

      48 교육부, "2015 개정 체육과 교육과정"

      49 이광무, "2009 개정 교육과정에 따른 건강활동 지도의 운동생리학적 접근" 한국초등체육학회 19 (19): 179-188, 2014

      50 이규일, "2007 개정 체육과 교육과정에 따른 중학교 체육과 평가 실태 분석" 한국스포츠교육학회 18 (18): 39-58, 2011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2 평가예정 계속평가 신청대상 (등재유지)
      2017-01-01 평가 우수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2013-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6-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3-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2-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1-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1.34 1.34 1.4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1.44 1.45 1.24 0.33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