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디지털 시대 예술교육의 새로운 방향을 위한 탐색적 연구 = Seeking New Directions for Arts Education in a Digital Era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5549812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Rapid progression into a digital society in the 21st century has meant that the center of discourses regarding future education has shifted towards digital literacy and capabilities. Indeed, the strong preference shown by Generation Z toward new media...

      Rapid progression into a digital society in the 21st century has meant that the center of discourses regarding future education has shifted towards digital literacy and capabilities. Indeed, the strong preference shown by Generation Z toward new media indicates the emergence of completely different ways of social interactions and communication than ever before. This study proposes ‘Arts with Humanities in Education' as one of the arts education discourses with the capacity to efficiently contribute to the development of literacy and relevant capabilities for a digital era. The notion of ‘Arts with Humanities in Education' inherits and furthers the discourse of Martha C. Nussbaum, who emphasizes the liberal arts education as a crucial part of future education. Following on from this, this study argues ‘Arts with Humanities in Education' aims toward the realization of “imagination of praxis” through the signification of arts activities that are characterized by dialogic aesthetic experiences. On the basis of the theoretical analysis toward new directions for arts education in a digital era, this study reviews an exemplary of “Arts Together,” a program that has been organized and successfully implemented in 2018 by SFAC(Seoul Foundation for Arts and Culture) as part of the regular school curriculum across 103 middle schools in Seoul, and explores the possibility of ‘Arts with Humanities in Education' as a new practice of arts education in school.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21세기 디지털 사회 진입이 가속화하면서 미래교육의 중심 담론이 디지털 리터러시 및 핵심역량 교육으로 향하고 있다. 특히 현재 디지털 Z세대로 불리는 어린이ㆍ청소년 세대의 뉴미디어 ...

      21세기 디지털 사회 진입이 가속화하면서 미래교육의 중심 담론이 디지털 리터러시 및 핵심역량 교육으로 향하고 있다. 특히 현재 디지털 Z세대로 불리는 어린이ㆍ청소년 세대의 뉴미디어 선호는 지금까지와는 완전히 다른 사회적 상호작용과 소통방식을 예고하고 있어 디지털 환경에서 필요한 리터러시 이해에 기초하여 교육적 접근이 달라져야 할 것으로 보인다. 본 연구는 디지털 시대에 필요한 예술교육 담론의 하나로서 ‘인문예술교육’을 제안하고자 한다. ‘인문예술교육’은 미래교육의 핵심으로 인문학과 예술교육을 강조한 Martha C. Nussbaum의 인문교양교육 논의를 발전적으로 계승하고, ‘대화적 미적체험’을 특징으로 하는 예술 활동의 언어화 및 의미화를 통해 ‘실천적 상상력’을 실현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디지털 시대 인문예술교육의 방향에 대한 이론적 논의를 바탕으로 학교교육과정 내 인문예술교육 적용 가능성을 확인하기 위해 2018년 서울 103개 중학교 정규교육과정에서 실행되고 있는 서울문화재단 청소년 인문예술교육 지원사업 <예술로 함께> 프로그램 운영 사례를 참고자료로서 제시하였다. 이를 통해 디지털 시대 예술교육의 새로운 방향으로서 인문예술교육의 가능성을 확인할 수 있었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계보경, "해외 디지털 리터러시 교육과정 및 프로그램 운영 동향" 한국교육학술정보원 2017

      2 Kant, I., "판단력 비판" 아카넷 2009

      3 진중권, "테크노 인문학의 구상" (주)창비 2016

      4 조성준, "초연결사회에서의 디지털 리터러시 교육체계 확립에 관한 연구" 상명대학교 2018

      5 진은영, "청소년 인문예술교육 운영체계 및 TA 교육방법론 기초연구: 2017 서울형 학교예술교육 운영모델 개발 연구" 서울문화재단 2016

      6 성은모, "청소년 역량지수 측정 및 국제 비교 연구 I: IEA ICCS 2016 - 총괄보고서"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 2014

      7 성은모, "청소년 역량지수 구성체제의 개발 및 타당화 연구" 교육연구소 16 (16): 117-144, 2015

      8 손승남, "인문교양교육의 원형과 변용" 교육과학사 2011

      9 서수현, "우리나라 초등학생의 디지털 리터러시 태도 양상" 한국초등국어교육학회 (61) : 153-188, 2016

      10 강정묵, "스마트시대의 디지털 리터러시 측정을 위한 진단도구의 개발과 적용" 한국지역정보화학회 17 (17): 143-173, 2014

      1 계보경, "해외 디지털 리터러시 교육과정 및 프로그램 운영 동향" 한국교육학술정보원 2017

      2 Kant, I., "판단력 비판" 아카넷 2009

      3 진중권, "테크노 인문학의 구상" (주)창비 2016

      4 조성준, "초연결사회에서의 디지털 리터러시 교육체계 확립에 관한 연구" 상명대학교 2018

      5 진은영, "청소년 인문예술교육 운영체계 및 TA 교육방법론 기초연구: 2017 서울형 학교예술교육 운영모델 개발 연구" 서울문화재단 2016

      6 성은모, "청소년 역량지수 측정 및 국제 비교 연구 I: IEA ICCS 2016 - 총괄보고서"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 2014

      7 성은모, "청소년 역량지수 구성체제의 개발 및 타당화 연구" 교육연구소 16 (16): 117-144, 2015

      8 손승남, "인문교양교육의 원형과 변용" 교육과학사 2011

      9 서수현, "우리나라 초등학생의 디지털 리터러시 태도 양상" 한국초등국어교육학회 (61) : 153-188, 2016

      10 강정묵, "스마트시대의 디지털 리터러시 측정을 위한 진단도구의 개발과 적용" 한국지역정보화학회 17 (17): 143-173, 2014

      11 곽덕주, "서울문화재단 예술교육의 교육철학적 가치 정립 및 중장기 발전계획 수립을 위한 연구" 서울문화재단 2011

      12 Greene, M., "블루 기타 변주곡" 다빈치 2011

      13 곽덕주, "미적체험과 예술교육" (주)이음스토리 2014

      14 김수현, "미적 교육론" 현실문화연구 2011

      15 곽덕주, "무엇을 위한, 그리고 누구를 위한 예술교육인가?: 예술경험의 인문 교육적 가치 재탐색" 동아대학교 부민캠퍼스 BC-0110 77-91, 2018

      16 김정희, "디지털아트 읽기를 통한 문화교육" 한국문화교육학회 10 (10): 113-131, 2015

      17 김수환, "디지털리터러시의 교육과정 적용 방안 연구" 한국교육학술정보원 2017

      18 이성회, "디지털 세대의 학생 문화 연구" 한국교육개발원 2016

      19 이애화, "디지털 리터러시 교육을 위한 디지털 역량의 개념적 특성과 한계" 교육연구소 21 (21): 179-200, 2015

      20 이어령, "디지로그" 생각의나무 2006

      21 Flusser, V., "글쓰기에 미래는 있는가" 엑스북스 2015

      22 방진하, "교육의 인문성(人文性) 회복의 미래가치 탐색" 교육연구소 14 (14): 109-141, 2013

      23 Nussbaum, M. C., "공부를 넘어 교육으로" 궁리출판 2013

      24 "韓, 세계 최고 '연결사회'…인터넷·스마트폰 사용률 1위"

      25 "[빅데이터] Z세대의 지식검색 수단 1위는?"

      26 김혜숙, "OECD PISA 자료를 활용한 우리나라 학생들의 ICT 접근 및 활용 수준 추이 분석" 한국정보화진흥원 24 (24): 17-43, 2017

      27 김혜숙, "OECD PISA 2015를 통해 본 한국의 교육정보화 수준과 시사점. KERIS 이슈리포트 2017" 한국교육학술정보원 2016

      28 "Media Smart Canada"

      29 "JISC_Joint Information Systems Committee"

      30 강인애, "21세기 학습자의 핵심역량 제고를 위한 교육방법: e-PBL의 가능성 탐색 연구"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14 (14): 331-363, 2014

      31 강인애, "21세기 맥락에서 본 구성주의의 진화 – 교수 학습이론으로서의 ‘카니발 페다고지(Carnival Pedagogy)’의 가능성에 대한 탐색 -" 한국문화교육학회 11 (11): 53-72, 2016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8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2-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6-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2-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11-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9-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2008-04-18 학회명변경 한글명 : 문화교육학회 -> 한국문화교육학회
      영문명 : The Korean Society for Culture Education (KSCE) -> The Korean Society for Culture and Arts Education Studies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84 0.84 1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1.02 1.01 1.133 0.39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