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영남의 서사 <숙영낭자전>의 대중화 양상과 그 의미 = A Study on the Popularise Aspect and Its Meanings in Narration of Yeong-Nam <Suk-Yeong-Nang-Ja-Jeon>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4519399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paper is a study on the popularise aspects and its meanings in <Suk-Yeong-Nang-Ja-Jeon>. <Suk-Yeong-Nang-Ja-Jeon> is set in An- Dong, Kyŏngsang-do. And <Suk-Yeong-Nang-Ja-Jeon> is created and read in Yeong-Nam region. So <S...

      This paper is a study on the popularise aspects and its meanings in <Suk-Yeong-Nang-Ja-Jeon>. <Suk-Yeong-Nang-Ja-Jeon> is set in An- Dong, Kyŏngsang-do. And <Suk-Yeong-Nang-Ja-Jeon> is created and read in Yeong-Nam region. So <Suk-Yeong-Nang-Ja-Jeon> is namable to Narration of Yeong-Nam.
      Yang-Ban culture of Yeong-Nam region is popularise background of <Suk-Yeong-Nang-Ja-Jeon>. Ruined Yang-Ban’s consciousness of the family was overflowed in Yeong-Nam. And ideology of the chastity was severe in Yeong-Nam region. So women’s sufferings were intense.
      <Suk-Yeong-Nang-Ja-Jeon> is a great many different edition like manuscript, Seoul Block printed, printed books. Manuscript of this novel Seoul Block printed, printed books popularise. Because criticism about Baek-Gong is moderate and chastity of women character are magnified in Seoul Block printed, printed books of <Suk-Yeong-Nang-Ja-Jeon>.
      The regionality of Yeong-Nam is stand out popularise process of <Suk- Yeong-Nang-Ja-Jeon>. It is implicited that filial piety consciousness and patriarchal family order is reinforced in popularise aspect of this novel. Thus Yang-Ban’s taste about viewpoint of affection and marriage is embossed. Like this of cultual feature Yeong-Nam region and local residents’ consciousness is fundamental cause popularity of <Suk-Yeong-Nang-Ja- Jeon>.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본 논문은 경상도 안동을 배경으로 영남 지역에서 형성되고 향 유된 <숙영낭자전>의 대중화 양상과 의미를 밝히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영남 지역 몰락 양반들의 가문 의식과 조선 후기 ...

      본 논문은 경상도 안동을 배경으로 영남 지역에서 형성되고 향 유된 <숙영낭자전>의 대중화 양상과 의미를 밝히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영남 지역 몰락 양반들의 가문 의식과 조선 후기 정절 이데올로기로 인한 영남 지역 여성들의 수난으로 인해 영남의 서사로 전개되는 <숙영낭자전>이 대중성을 확보할 수 있었다. <숙영낭자전>은 대중성을 확보하는 과정에서 가부장인 백공에 대한 비판적 시각이 완화되고 숙영과 임소저의 열행과 절행은 더욱 부각된 것으로 보인다. 그리고 <숙영낭자전>의 대중화 양상에는 조선 후기 孝에 대한 인식과 가부장적 질서가 강화되고 양반 사대부적 취향의 여성관과 혼인관이 부각된 의미가 내포되어 있다. 이처럼 <숙영낭자전>은 대중성을 확보하는 과정에서 영남 지역의 특징적인 면모가 더욱 부각되는 작품이다. 따라서 보수적인 양반 문화로 대변되는 영남 지역의 특성과 지역민의 의식은 <숙영낭자전>이 영남의 서사로 형성되고 향유되는 과정을 거쳐 대중성을 확보하는 근본적인 동인으로 규정할 수 있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강성숙, "효행 설화 연구 - 『삼국사기』, 『삼국유사』에 나타나는 효행 양상을 중심으로 -" 동양고전학회 (48) : 7-39, 2012

      2 서거정, "태평한화골계전 1" 국학자료원 1998

      3 박주, "조선시대의 여성과 유교문화" 국학자료원 2008

      4 이성임, "조선시대 兩班의 蓄妾現像과 經濟的 부담" 한국고문서학회 33 : 319-345, 2008

      5 김태준, "조선소설사" 예문 1989

      6 민혜성, "정정렬과 박록주 <숙영낭자전>의 비교 분석 연구" 판소리학회 87-171, 2004

      7 김만수, "유성기 음반에 수록된 영화설명 대본에 대하여" 한국극예술학회 6 : 303-335, 1996

      8 조강희, "영남지방 양반가문의 혼인관계" 경인문화사 2006

      9 "언론기사 & 공연후기"

      10 임재해, "안동양반의 생활문화" 영남사 2000

      1 강성숙, "효행 설화 연구 - 『삼국사기』, 『삼국유사』에 나타나는 효행 양상을 중심으로 -" 동양고전학회 (48) : 7-39, 2012

      2 서거정, "태평한화골계전 1" 국학자료원 1998

      3 박주, "조선시대의 여성과 유교문화" 국학자료원 2008

      4 이성임, "조선시대 兩班의 蓄妾現像과 經濟的 부담" 한국고문서학회 33 : 319-345, 2008

      5 김태준, "조선소설사" 예문 1989

      6 민혜성, "정정렬과 박록주 <숙영낭자전>의 비교 분석 연구" 판소리학회 87-171, 2004

      7 김만수, "유성기 음반에 수록된 영화설명 대본에 대하여" 한국극예술학회 6 : 303-335, 1996

      8 조강희, "영남지방 양반가문의 혼인관계" 경인문화사 2006

      9 "언론기사 & 공연후기"

      10 임재해, "안동양반의 생활문화" 영남사 2000

      11 손경희, "숙영낭자전 연구" 延世大學校 大學院 1987

      12 김일렬, "숙영낭자전 연구" 역락 1999

      13 김태희, "서사텍스트, 무대 안으로 들어오다, <숙영낭자전을 읽다> <손택 : 다시 태어나다>" 한국연극평론가협회 72 : 124-128, 2014

      14 조동일, "서사민요 연구" 계명대학교 출판부 1979

      15 순천시립 뿌리깊은나무박물관, "뿌리깊은나무 02-한글 고소설 우리말 이야기" 디자인 길 2013

      16 임석재, "봉산탈춤" 고려대학교 민족문화연구소 1993

      17 서인석, "봉건시대 여성의 이념과 행동" 한국고전여성문학회 (6) : 79-114, 2003

      18 윤분희, "박록주 창본 <숙영낭자전> 연구" 숙명여대어문학연구소 6 : 89-116, 1996

      19 박송희, "박녹주 창본" 집문당 1988

      20 김종철, "난대 이응백 박사 고희 기념 논문집" 한샘출판사 831-856, 1992

      21 이주영, "구활자본 고전소설 연구" 월인 1998

      22 조희웅, "고전소설 이본목록" 집문당 1999

      23 조희웅, "고전소설 연구보정 上" 박이정 2006

      24 서유석, "고소설에 나타나는 여성적 공간과 장소의 의미 연구-<숙영낭자전>의 ‘옥련동’을 중심으로-" 중앙어문학회 58 : 177-198, 2014

      25 서혜은, "경판본 소설의 후대적 변모 양상 연구" 민족문화연구소 (58) : 519-555, 2014

      26 서혜은, "경판 방각소설의 대중성과 사회의식 연구" 경북대학교 대학원 2008

      27 김재웅, "경북 지역에 유통된 필사본 고소설에 대한 실증적 연구" 한국고소설학회 (24) : 219-252, 2007

      28 박창원, "경남 방언의 모음변화와 상대적 연대순-필사본 <수겡옥낭좌전>을 중심으로" 경남대학교 가라문화연구소 9 : 43-76, 1992

      29 김혈조, "燕巖의 『烈女咸陽朴氏傳』再考 -새로운 자료 소개를 겸하여-" 대동한문학회 (구.교남한문학회) (24) : 339-374, 2006

      30 안동민, "淑英娘子傳" 예서각 1977

      31 김덕균, "『세종실록』을 통해본 조선초 효문화의 특징과 문제" 한국효학회 (19) : 31-65, 2014

      32 최지녀, "‘香娘’을 형상화하는 두 가지 방식 -향랑전과 향랑전설" 국문학회 (19) : 255-284, 2009

      33 정출헌, "<향랑전>을 통해 본 열녀 탄생의 메카니즘-선산지방의 향랑이 ‘국가 열녀’로 탄생하기까지의 보고서" 한국고전여성문학회 3 : 127-163, 2001

      34 이미영, "<쌍가락지 노래>의 욕망, 그리고 저항의 목소리" 한국민요학회 40 : 117-144, 2014

      35 서영숙, "<쌍가락지 노래>의 서사구조와 전승양상" 어문연구학회 65 : 207-237, 2010

      36 최윤영, "<숙영낭자전을 읽다>에 나타난 전통변용양상 - 고소설연행과 관련하여 -" 한국극예술학회 (40) : 165-199, 2013

      37 김선현, "<숙영낭자전>의 이본과 공간 의식 연구" 숙명여자대학교 2014

      38 구현경, "<숙영낭자전>을 읽다" 공연과 이론을 위한 모임 49 : 268-272, 2013

      39 김선현, "<숙영낭자전>에 나타난 여성 해방 공간, 옥연동" 한국고전문학교육학회 (21) : 281-308, 2011

      40 성현경, "<숙영낭자전>과 <숙영낭자가>의 비교-소설의 판소리화 과정 연구-" 판소리학회 6 : 5-53, 1995

      41 김미령, "<숙영낭자전> 서사에 나타나는 대중성" 남도문화연구소 (25) : 195-220, 2013

      42 김형철, "<수겡옥낭좌전>의 어휘 연구" 경남대학교 가라문화연구소 9 : 15-41, 1992

      43 김정대, "<수겡옥낭좌전>에 반영된 경상도 방언 문법적 요소에 대하여" 경남대학교 가라문화연구소 9 : 77-111, 1992

      44 김영태, "<수겡옥낭좌전>에 대하여" 경남대학교 가라문화연구소 9 : 5-14, 1992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2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1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6-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2-01-01 평가 등재 1차 FAIL (등재유지) KCI등재
      200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8-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6-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95 0.95 0.79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73 0.76 1.328 0.17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