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경남지역 폐교의 활용실태에 관한 연구 = A Study on the Actual Conditions of the Utilization of Closed Schools in Gyeongnam Area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5114298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esent the basic data for the active use of closed schools by analyzing the actual conditions of closed schools in Gyeongnam area. As a method of this study, we examined the population change in Gyeongnam area through the literature survey and the internet site survey, and grasped the characteristics of the policies related to the closed school. Through the homepage survey of the local education financial alerts, we analyzed the contents, location, period after the closure, land area, and total floor area of the closed schools that have been in use or invaluable as of March 2017. As the results, In the case of self-utilization, the utilization rate of educational facilities was overwhelmingly high. In the case of lease utilization, the utilization ratio was higher in the order of education facilities, income increase facilities, and cultural facilities. Overall, 62.8% of the closed schools are located in the base towns (urban areas). The average of the period after the closure was 16.2 years, the land area average was 9,291.1㎡, and the total area average was 1,153.8 ㎡.
      번역하기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esent the basic data for the active use of closed schools by analyzing the actual conditions of closed schools in Gyeongnam area. As a method of this study, we examined the population change in Gyeongnam area through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esent the basic data for the active use of closed schools by analyzing the actual conditions of closed schools in Gyeongnam area. As a method of this study, we examined the population change in Gyeongnam area through the literature survey and the internet site survey, and grasped the characteristics of the policies related to the closed school. Through the homepage survey of the local education financial alerts, we analyzed the contents, location, period after the closure, land area, and total floor area of the closed schools that have been in use or invaluable as of March 2017. As the results, In the case of self-utilization, the utilization rate of educational facilities was overwhelmingly high. In the case of lease utilization, the utilization ratio was higher in the order of education facilities, income increase facilities, and cultural facilities. Overall, 62.8% of the closed schools are located in the base towns (urban areas). The average of the period after the closure was 16.2 years, the land area average was 9,291.1㎡, and the total area average was 1,153.8 ㎡.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는 경남지역 폐교의 경남지역을 대상으로 하여 보유폐교의 구체적인 실태를 분석하여 폐교의 적극적인 활용을 위한 기초자료를 제시함을 목적으로 하고 있다. 연구방법으로 문헌조사와 인테넛조사를 통하여 를 통하여 경남지역 인구의 변화와 폐교정책에 대해 고찰하였다. 또한, 2017년3월 기준의 지방교육재정알리미의 폐교정보에 대해 활용내용, 폐교의 입지, 폐교이후의 경과기간, 대지면적, 연면적 등을 분석하였다.
      결론으로서 자체활용의 경우 교육시설로의 이용이 대부분을 차지하며, 임대(대부) 활용인 경우는 교육시설,속득증대시설, 문화시설의 순으로 비율이 높게 나타났다. 전체적으로 입지측면에서 거점마을(시가지)내 위치하는 폐교가 62.8%를 차지하며, 폐교 이후 경과기간은 평균 16.2년으로 나타났으며, 대지면적 평균은 9,291.1㎡, 연면적 평균은 1,153.8㎡로 나타났다.
      번역하기

      본 연구는 경남지역 폐교의 경남지역을 대상으로 하여 보유폐교의 구체적인 실태를 분석하여 폐교의 적극적인 활용을 위한 기초자료를 제시함을 목적으로 하고 있다. 연구방법으로 문헌조...

      본 연구는 경남지역 폐교의 경남지역을 대상으로 하여 보유폐교의 구체적인 실태를 분석하여 폐교의 적극적인 활용을 위한 기초자료를 제시함을 목적으로 하고 있다. 연구방법으로 문헌조사와 인테넛조사를 통하여 를 통하여 경남지역 인구의 변화와 폐교정책에 대해 고찰하였다. 또한, 2017년3월 기준의 지방교육재정알리미의 폐교정보에 대해 활용내용, 폐교의 입지, 폐교이후의 경과기간, 대지면적, 연면적 등을 분석하였다.
      결론으로서 자체활용의 경우 교육시설로의 이용이 대부분을 차지하며, 임대(대부) 활용인 경우는 교육시설,속득증대시설, 문화시설의 순으로 비율이 높게 나타났다. 전체적으로 입지측면에서 거점마을(시가지)내 위치하는 폐교가 62.8%를 차지하며, 폐교 이후 경과기간은 평균 16.2년으로 나타났으며, 대지면적 평균은 9,291.1㎡, 연면적 평균은 1,153.8㎡로 나타났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김홍기, "한국과 일본의 농촌지역 폐교활용 정책 비교" 한국농촌건축학회 19 (19): 1-8, 2017

      2 채희재, "폐교를 활용한 재가노인복지센터의 공간구성에 관한 연구 - 강원도 삼척지역을 중심으로 -" 한국농촌건축학회 10 (10): 1-8, 2008

      3 김재영, "폐교 활용을 위한 대구지역 폐교의 배치유형 분석에 관한 기초 연구 - 교육과정 변화를 중심으로 -" (사)한국교육녹색환경연구원 12 (12): 11-18, 2013

      4 유경진, "농어촌 지역 소규모 학교 통폐합에 관한 연구" 경북대학교 행정대학원 2010

      5 "http://www.law.go.kr/lsInfoP.do?lsiSeq=151806&efYd=20140311#0000"

      6 "http://www.gne.go.kr/index.gne?menuCd=DOM_000000109001002011&cpath="

      7 "http://stat.kosis.kr/statHtml_host/statHtml.do?orgId=217&tblId=DT_217F2010F00015&dbUser=NSI_IN_217"

      8 "http://stat.gyeongnam.go.kr/jsp/sub02/02_03.jsp"

      1 김홍기, "한국과 일본의 농촌지역 폐교활용 정책 비교" 한국농촌건축학회 19 (19): 1-8, 2017

      2 채희재, "폐교를 활용한 재가노인복지센터의 공간구성에 관한 연구 - 강원도 삼척지역을 중심으로 -" 한국농촌건축학회 10 (10): 1-8, 2008

      3 김재영, "폐교 활용을 위한 대구지역 폐교의 배치유형 분석에 관한 기초 연구 - 교육과정 변화를 중심으로 -" (사)한국교육녹색환경연구원 12 (12): 11-18, 2013

      4 유경진, "농어촌 지역 소규모 학교 통폐합에 관한 연구" 경북대학교 행정대학원 2010

      5 "http://www.law.go.kr/lsInfoP.do?lsiSeq=151806&efYd=20140311#0000"

      6 "http://www.gne.go.kr/index.gne?menuCd=DOM_000000109001002011&cpath="

      7 "http://stat.kosis.kr/statHtml_host/statHtml.do?orgId=217&tblId=DT_217F2010F00015&dbUser=NSI_IN_217"

      8 "http://stat.gyeongnam.go.kr/jsp/sub02/02_03.jsp"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6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KCI등재
      2016-12-01 평가 등재후보로 하락 (계속평가) KCI등재후보
      2012-01-01 평가 등재 1차 FAIL (등재유지) KCI등재
      200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8-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7-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등재후보2차) KCI등재후보
      2006-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5-03-21 학술지등록 한글명 : 한국농촌건축학회논문집
      외국어명 : JOURNAL OF THE KOREAN INSTITUTE OF RURAL ARCHITECTURE
      KCI등재후보
      2005-03-21 학술지등록 한글명 : 한국농촌건축학회논문집
      외국어명 : JOURNAL OF THE KOREAN INSTITUTE OF RURAL ARCHITECTURE
      KCI등재후보
      2004-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34 0.34 0.39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37 0.37 0.81 0.18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