음악교육의 궁극적인 목적은 학생들의 균형 잡힌 음악성을 개발시키도록 도와주는데 있다. 그러나 전통적인 피아노 교육은 오로지 연주의 테크닉적인 면의 개발에 초점을 두는 경향이 있다...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https://www.riss.kr/link?id=A101403545
2006
Korean
KCI등재
학술저널
1-20(20쪽)
0
상세조회0
다운로드국문 초록 (Abstract)
음악교육의 궁극적인 목적은 학생들의 균형 잡힌 음악성을 개발시키도록 도와주는데 있다. 그러나 전통적인 피아노 교육은 오로지 연주의 테크닉적인 면의 개발에 초점을 두는 경향이 있다...
음악교육의 궁극적인 목적은 학생들의 균형 잡힌 음악성을 개발시키도록 도와주는데 있다. 그러나 전통적인 피아노 교육은 오로지 연주의 테크닉적인 면의 개발에 초점을 두는 경향이 있다. 이러한 교수법은 음악학습의 단편적인 시각에 의한 편협성을 초래하게 된다. 1965년 노스웨스턴 대학교 세미나에서 공식화되었던 운동인 Comprehensive Musicianship(포괄적인 음악성)은 음악의 기초를 튼튼히 하기 위해서는 음악교육의 기본 영역인 연주, 분석, 창작이 개인 레슨 뿐 아니라 모든 교과에서 통합되어야 한다는 것이다. 따라서 이 논문은 Comprehensive Musicianship의 개념을 적용시켜 중급수준의 작품인 Grieg Lyric Pieces, Op. 12, No. 2를 중심으로 자료와 교수법이 개발되었다. Grieg의 작품을 제시하고 있는 장은 역사적인 배경, 연주를 위한 분석, 창작 활동으로 구성되어 있다. Grieg 왈츠의 분석에서는 연주자가 악곡의 내면적인 성질에 대한 통찰력을 가지고 작품을 해석하고 표현하도록 제시하고 있다. 악곡의 전체적인 구조, 악곡의 성격, 음악적인 사고, 동기와 텍스쳐의 발전은 이러한 분석을 통하여 드러낼 수 있다. 그러한 분석적인 포인트들은 음악의 좀 더 나은 이해를 통하여 창의적으로 연주하는 도구로 이용되어질 수 있다. Grieg 왈츠에 나타난 특유의 음악적인 요소에 근거한 창작 활동도 또한 마찬가지로 악곡의 분석과 연주를 통해 얻은 개념적인 이해를 강화시킨다. 학생들의 폭넓고 균형 잡힌 음악성을 개발하기 위해서는 실기와 이론교과와의 연관된 학습을 통해 효과적으로 달성할 수 있다. 이러한 접근의 진가를 통계적으로 확인하기 위해서는 앞으로 지속적인 실험연구가 더 필요하다.
American Piano Methods in Korea
한국피아노교수법학회논문집 : L. v. Beethoven Piano Sonata Op.110 제1악장 연주법 분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