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경신대기근(庚申大飢饉), 그리고 사설시조 = The "Gyeongsin Great Famine"(庚申大飢饉) and Saseolsijo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8955481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development and popularity of Saseolsijo are closely related to the growth of commoners’ consciousness. After the Japanese Invasion of Korea in 1592 and The Manchu war of 1636, commoners began to feel skeptical about the ideologies of the yangban class, whom they used to trust and follow. As commoners witnessed the incompetence of the yangban class, they grew to distrust their abilities, resulting in the growth of commoners’ consciousness. Taking into account the temporal gap between the Japanese Invasion of Korea in 1592 and The Manchu war of 1636 of the 16th and 17th centuries, and the flourishing of Saseolsijo in the 18th century, this study focuses on the Gyeongsin Great Famine of the late 17th century as an event that could bridge that gap.
      The Gyeongsin Great Famine was a nationwide famine that occurred between 1670 and 1671. As a result of the famine, one-fifth of the population lost their lives, and those who survived had to live in poverty, wandering around in search of food. During such a national disaster, it is unfortunate that the ruling class continued to engage in power struggles and neglected the proper governance of the country. Outraged by this, the angry populace formed groups of bandits and began to attack government offices, taking matters into their own hands and no longer relying on the state for their livelihood. They took responsibility for their own survival and well-being. Literature tends to reflect the reality of the time, so this study aimed to confirm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Gyeongsin Great Famine of the late 17th century and the popularity of Saseolsijo in the 18th century. The study examined Saseolsijo that depicted the impoverished lives of commoners during the famine, capturing the sense of futility they felt in a life without a future. These poems often took on a tone of resignation and a playful approach, reflecting the existential and hedonistic emotions experienced by the people. Furthermore, the study explored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Gyeongsin Great Famine and Saserlsijo through three main types of works: those depicting a satire of the ruling class, those reflecting the world at large, and those focusing on the lives of the common people. By examining these different types of works, the study aimed to uncover the intricate connection between the famine and the popularity of Saseolsijo.
      Based on this discussion, it was concluded that if the Japanese Invasion of Korea in 1592 and The Manchu war of 1636 acted as a catalyst in the growth of popular consciousness among commoners in the late Joseon period, the catalyst that further expanded it was the Gyeongsin Great Famine.
      번역하기

      The development and popularity of Saseolsijo are closely related to the growth of commoners’ consciousness. After the Japanese Invasion of Korea in 1592 and The Manchu war of 1636, commoners began to feel skeptical about the ideologies of the yangba...

      The development and popularity of Saseolsijo are closely related to the growth of commoners’ consciousness. After the Japanese Invasion of Korea in 1592 and The Manchu war of 1636, commoners began to feel skeptical about the ideologies of the yangban class, whom they used to trust and follow. As commoners witnessed the incompetence of the yangban class, they grew to distrust their abilities, resulting in the growth of commoners’ consciousness. Taking into account the temporal gap between the Japanese Invasion of Korea in 1592 and The Manchu war of 1636 of the 16th and 17th centuries, and the flourishing of Saseolsijo in the 18th century, this study focuses on the Gyeongsin Great Famine of the late 17th century as an event that could bridge that gap.
      The Gyeongsin Great Famine was a nationwide famine that occurred between 1670 and 1671. As a result of the famine, one-fifth of the population lost their lives, and those who survived had to live in poverty, wandering around in search of food. During such a national disaster, it is unfortunate that the ruling class continued to engage in power struggles and neglected the proper governance of the country. Outraged by this, the angry populace formed groups of bandits and began to attack government offices, taking matters into their own hands and no longer relying on the state for their livelihood. They took responsibility for their own survival and well-being. Literature tends to reflect the reality of the time, so this study aimed to confirm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Gyeongsin Great Famine of the late 17th century and the popularity of Saseolsijo in the 18th century. The study examined Saseolsijo that depicted the impoverished lives of commoners during the famine, capturing the sense of futility they felt in a life without a future. These poems often took on a tone of resignation and a playful approach, reflecting the existential and hedonistic emotions experienced by the people. Furthermore, the study explored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Gyeongsin Great Famine and Saserlsijo through three main types of works: those depicting a satire of the ruling class, those reflecting the world at large, and those focusing on the lives of the common people. By examining these different types of works, the study aimed to uncover the intricate connection between the famine and the popularity of Saseolsijo.
      Based on this discussion, it was concluded that if the Japanese Invasion of Korea in 1592 and The Manchu war of 1636 acted as a catalyst in the growth of popular consciousness among commoners in the late Joseon period, the catalyst that further expanded it was the Gyeongsin Great Famine.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사설시조의 발달과 유행은 서민의식의 성장과 밀접한 관련이 있다. 임·병양란을 거치면서 서민들은 양반들의 무능과 타락상을 목도(目睹)하게 된다. 그리하여 서민들은 양반들의 능력과 그들이 견지하던 이념에 회의를 느끼게 되고, 이는 곧 서민의식의 성장으로 이어지게 된 것이다. 본고는 16~17세기 임·병양란과 사설시조가 본격적으로 유행하기 시작한 18세기 사이에 다소 시간적인 거리가 있음에 착안하여, 그 간극(間隙)을 메울 수 있는 사건으로 17세기 후반에 발생한 ‘庚申大飢饉’에 주목해 보았다.
      경신대기근은 1670~1671년 사이에 발생하여 조선을 휩쓴 전국적인 기근이다. 대기근의 여파로 전국민의 5분의 1이 목숨을 잃었으며, 살아남은 자들조차 유리걸식(遊離乞食)하는 등 빈곤한 생활에서 벗어나기 어려웠다. 그러나 이러한 국가적인 재난 상황에서도 지배층은 당쟁을 일삼으며 국정을 제대로 돌보지 않았고 이에 분노한 백성들은 도적패를 형성하여 관아를 습격하는 등 더 이상 자신들의 삶과 운명을 무능한 지배층에 의탁하지 않고, 스스로 챙기기 시작하였다.
      문학은 당대 현실을 반영하기 마련이다. 따라서 본고에서는 17세기 후반에 발생한 경신대기근이 18세기 사설시조의 본격적인 유행에 어느 정도 영향을 끼쳤을 가능성을 확인하고자 하는 작업이다. 전쟁과 기근을 겪으며 더욱 피폐해진 서민들의 삶을 담고 있는 사설시조에서 이를 확인해 보고자 하였다. 그리하여 미래가 없는 삶 속에서 그들이 느낀 허무한 감정이 인생무상과 유희 지향적 어조로 형상화된 작품, 지배층과 세상에 대한 풍자를 담은 작품들을 살펴봄으로써, 경신대기근과 사설시조 유행의 연관성을 타진해 보았다.
      위와 같은 논의를 종합하여, 임·병양란이 조선후기 서민의식 성장의 촉매제 역할을 하였다면, 이를 본격화한 계기 중 하나가 바로 경신대기근이라고 보았다.
      번역하기

      사설시조의 발달과 유행은 서민의식의 성장과 밀접한 관련이 있다. 임·병양란을 거치면서 서민들은 양반들의 무능과 타락상을 목도(目睹)하게 된다. 그리하여 서민들은 양반들의 능력과 그...

      사설시조의 발달과 유행은 서민의식의 성장과 밀접한 관련이 있다. 임·병양란을 거치면서 서민들은 양반들의 무능과 타락상을 목도(目睹)하게 된다. 그리하여 서민들은 양반들의 능력과 그들이 견지하던 이념에 회의를 느끼게 되고, 이는 곧 서민의식의 성장으로 이어지게 된 것이다. 본고는 16~17세기 임·병양란과 사설시조가 본격적으로 유행하기 시작한 18세기 사이에 다소 시간적인 거리가 있음에 착안하여, 그 간극(間隙)을 메울 수 있는 사건으로 17세기 후반에 발생한 ‘庚申大飢饉’에 주목해 보았다.
      경신대기근은 1670~1671년 사이에 발생하여 조선을 휩쓴 전국적인 기근이다. 대기근의 여파로 전국민의 5분의 1이 목숨을 잃었으며, 살아남은 자들조차 유리걸식(遊離乞食)하는 등 빈곤한 생활에서 벗어나기 어려웠다. 그러나 이러한 국가적인 재난 상황에서도 지배층은 당쟁을 일삼으며 국정을 제대로 돌보지 않았고 이에 분노한 백성들은 도적패를 형성하여 관아를 습격하는 등 더 이상 자신들의 삶과 운명을 무능한 지배층에 의탁하지 않고, 스스로 챙기기 시작하였다.
      문학은 당대 현실을 반영하기 마련이다. 따라서 본고에서는 17세기 후반에 발생한 경신대기근이 18세기 사설시조의 본격적인 유행에 어느 정도 영향을 끼쳤을 가능성을 확인하고자 하는 작업이다. 전쟁과 기근을 겪으며 더욱 피폐해진 서민들의 삶을 담고 있는 사설시조에서 이를 확인해 보고자 하였다. 그리하여 미래가 없는 삶 속에서 그들이 느낀 허무한 감정이 인생무상과 유희 지향적 어조로 형상화된 작품, 지배층과 세상에 대한 풍자를 담은 작품들을 살펴봄으로써, 경신대기근과 사설시조 유행의 연관성을 타진해 보았다.
      위와 같은 논의를 종합하여, 임·병양란이 조선후기 서민의식 성장의 촉매제 역할을 하였다면, 이를 본격화한 계기 중 하나가 바로 경신대기근이라고 보았다.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