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대시조란 명칭은 그 자체로 역설적이다. ‘현대’란 당대성을 가리키지만 ‘시조’란 조선시대에 절정을 이룬 전통적 문학 장르이기 때문이다. 그래서 현대시조는 전통과 혁신, 과거와 ...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국문 초록 (Abstract)
현대시조란 명칭은 그 자체로 역설적이다. ‘현대’란 당대성을 가리키지만 ‘시조’란 조선시대에 절정을 이룬 전통적 문학 장르이기 때문이다. 그래서 현대시조는 전통과 혁신, 과거와 ...
현대시조란 명칭은 그 자체로 역설적이다. ‘현대’란 당대성을 가리키지만 ‘시조’란 조선시대에 절정을 이룬 전통적 문학 장르이기 때문이다. 그래서 현대시조는 전통과 혁신, 과거와 현재의 미의식이 상호 충돌하고 교감하는 과정 속에서 생성되는 진행형의 양식이다. 현대시조의 미적 완성도 역시 이러한 법고창신(法古創新)의 균형감각을 얼마나 온전히 성취해내느냐에 있다. 이 점은 형식론과 내용 가치에 걸쳐 공통적으로 적용된다.
고려말에 형성되어 조선시대에 절정을 이룬 시조는 성리학적 세계관의 시적 표현 양식이다. 특히 시조의 형식미학은 성리학의 학문하는 태도에 해당하는 격물치지(格物致知)에 이르는 거경궁리(居敬窮理)의 원리가 기반을 이룬다. 내용의 측면에서도 초반기의 시조가 대체로 절의, 훈민, 강호, 학문, 충정 등에 집중되고 있는 점은 이를 거듭 확인시켜준다. 그러나 조선 후기에 이르면 성리학적 이상주의가 와해되고 상업의 발달과 더불어 실용주의가 전면화되면서 신분 사회에 균열이 일어나기 시작한다. 이러한 시대 변화에 상응하여 조선 후기에 들어서면서 위항인들이 주도하는 여항시조(閭巷時調)가 부상한다. 현대시조에서도 여항 의식의 감각화는 면면히 이어지고 있다. 이것은 민주공화국이 출범되었으나 민중이 역사의 주체가 되지 못하는 구조적 모순이 다양한 양상으로 변주되며 지속 되고 있기 때문이다. 특히 후기산업사회가 심화 되면서 인간의 주체성 상실과 사물화 현상이 확산 되고 있는 것은 민주공화정의 취지에 균열을 일으키는 또 다른 양상이기도 하다.
이 논문은 이러한 문제의식 속에서 현대시조가 지향해야 할 법고창신의 형식론과 여민 정신의 현대적 감각화에 대해 집중적으로 논의해 보고자 한다.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name modern sijo is paradoxical in itself. This is because “modern” refers to contemporary times, but “sijo” is a traditional literary genre that reached its peak during the Joseon Dynasty. Modern sijo is an ongoing style created in the pr...
The name modern sijo is paradoxical in itself. This is because “modern” refers to contemporary times, but “sijo” is a traditional literary genre that reached its peak during the Joseon Dynasty. Modern sijo is an ongoing style created in the process of mutual conflict and communication between tradition and innovation, and past and present aesthetics. The aesthetic perfection of modern sijo depends on this sense of balance between old and new in terms of both form and content.
Sijo, which was formed in the late Goryeo Dynasty and reached its peak during the Joseon Dynasty, is a form of poetic expression of the Neo-Confucian worldview. In particular, the formal aesthetics of sijo is based on the principle of Geogyeonggunri (居敬窮理), which leads to the knowledge of things by themselves, corresponding to the academic attitude of Neo-Confucianism. In terms of content, the fact that sijo in the early period generally focused on fidelity, righteousness, strength, learning, and loyalty repeatedly confirms this. However, in the late Joseon Dynasty, as Neo-Confucian idealism collapsed and pragmatism came to the fore along with the development of commerce, cracks began to appear in class society. Corresponding to these changes in the times, Yeohang sijo (閭巷時調), led by Wihang people, emerged in the late Joseon Dynasty. Even in modern sijo, the sensualization of Yeohang consciousness continues. This is because the structural contradiction that prevents people from becoming the subject of history despite the launch of the democratic republic continues to change in various ways. In particular, as the post-industrial society deepens, the loss of human subjectivity and the phenomenon of objectification are spreading, causing cracks in the purpose of a democratic republic.
This paper aims to intensively discuss the formalism of Beopgo Changsin and the modern sensibility of the spirit of the Yeomin people that modern sijo should aim for in this critical awareness.
현대시조 3장의 의미구조: <한국현대시조대사전>의 단시조를 중심으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