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연구는 현대시에 나타난 ‘흥부’ 인물형에 주목함으로써 흥부전의 현대적 의미를 모색하는 데 목적을 둔다. 현대시에서 흥부전의 변용 양상은 시인들의 개인적 체험 및 시�...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https://www.riss.kr/link?id=A109355269
이은란 (광운대학교)
2024
Korean
Contemporary Poetry ; Heungbujeon ; Modern Transformation ; Park Jae-sam ; Kim Gwang-seop ; Hwang Dong-gyu ; Kim Hye-soon ; Mun Jeong-hee ; 현대시 ; 흥부전 ; 현대적 변용 ; 박재삼 ; 김광섭 ; 황동규 ; 김혜순 ; 문정희
KCI등재
학술저널
361-386(26쪽)
0
상세조회0
다운로드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는 현대시에 나타난 ‘흥부’ 인물형에 주목함으로써 흥부전의 현대적 의미를 모색하는 데 목적을 둔다. 현대시에서 흥부전의 변용 양상은 시인들의 개인적 체험 및 시�...
본 연구는 현대시에 나타난 ‘흥부’ 인물형에 주목함으로써 흥부전의 현대적 의미를 모색하는 데 목적을 둔다. 현대시에서 흥부전의 변용 양상은 시인들의 개인적 체험 및 시대의식과 밀접하게 연관되기에 중요하게 살펴볼 필요가 있다. ‘흥부’를 모티프로 한 박재삼의 시는 그의 디아스포라 체험을 기반으로 일제 강점기와 해방기, 한국전쟁이라는 역사적 격동기 안에서 끊임없이 이산 및 이주해야 했던 민중의 고난을 형상화한다. 그리고 김광섭, 황동규, 김혜순의 시는 ‘흥부’ 인물형을 통해 1960년대 이후 급속한 대도시화 및 산업화에 따른 농촌의 붕괴 현상과 도시문명의 타락을 실감 있게 드러낸다. 그런데 박재삼, 김광섭, 황동규, 김혜순 시의 ‘흥부’가 억압받는 민중이나 하위계층의 전형으로 등장하므로 원 텍스트의 틀을 크게 벗어나지 않는다면, 문정희의 시는 ‘흥부’에 내재된 불온함을 재발견한다는 점에서 보다 창조적으로 원 텍스트를 변용한 경우라고 볼 수 있다. 문정희의 시는 권선징악이라는 기존의 해석적 틀에서 벗어나 ‘흥부’라는 인물이 가진 ‘불온함’을 재발견함으로써 여성의 자유와 해방을 꿈꾼다는 점에서 2000년대 시의식과 맞닿아있다. 이처럼 현대시에 나타난 흥부전의 변용이 교훈적ㆍ교술적 해석에 머무르지 않고 인간 본연의 욕망을 드러낸다면 원 텍스트의 현대성을 극대화하면서 동시에 작품을 존속시키는 원동력이 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study aims to investigate the modern significance of “Heungbujeon” by focusing on the character type of “Heungbu” as it appears in Korean contemporary poetry. The variations of “Heungbujeon” in contemporary poetry are closely related ...
This study aims to investigate the modern significance of “Heungbujeon” by focusing on the character type of “Heungbu” as it appears in Korean contemporary poetry. The variations of “Heungbujeon” in contemporary poetry are closely related to the personal experiences of poets and the consciousness of the era, thus rendering it essential to examine them closely. Park Jae-sam’s poems, which are inspired by “Heungbu,” embody the suffering of people who had to constantly migrate and be displaced during the rough historical periods of Japanese colonial rule, liberation, and the Korean War, based on his diaspora experience. Meanwhile, the poems of Kim Kwang-seop, Hwang Dong-kyu, and Kim Hye-soon vividly reveal the collapse of rural areas and the corruption of urban civilization that followed the rapid urbanization and industrialization after the 1960s through the character type of “Heungbu.” Whereas “Heungbu” in the poems of Park Jae-sam, Kim Kwang-seop, Hwang Dong-kyu, and Kim Hye-soon emerges as a symbol of oppressed people or subaltern, Moon Jung-hee’s poetry can be viewed as a more creative transformation of the original text, as it rediscovers the inherent subversiveness within “Heungbu.” Moon Jung-hee’s poetry, by transcending the existing interpretative framework of moral lessons, visualizes women’s freedom and liberation through the rediscovery of “subversiveness” possessed by the character “Heungbu,” which connects it to the consciousness of poetry in the 2000s. Thus, if the transformations of “Heungbujeon” in contemporary poetry extend beyond didactic interpretations and reveal the inherent desires of humanity, then they are expected to both maximize the modernity of the original text and promote the work’s continuity.
식민주의를 돌파하는 이주의 경험 -백석과 윤동주의 경우-
K Zombie drama 서사의 공간사회학적 연구 -〈지금 우리 학교는〉을 중심으로-
허수경 산문과 시의 아버지 표상과 젠더의식 연구 -아버지와의 전기적 관련성을 중심으로-